[KOFAC 동향리포트] Vol.27-7 기후위기를 테마로 한 게임 점점 많아져
ⓒ게티이미지뱅크
[주요 동향]
미국 경제월간지 패스트컴퍼니(Fastcompany)는 최근 기후변화를 주제로 한 다양한 게임들을 소개하며 ‘게임이 사람들의 인식을 바꾸는 데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고찰했다. ‘서바이브 센츄리(Survive Century)’라는 게임의 플레이어는 뉴스 편집자가 되어 어떤 의제를 뉴스에 실을지 선택할 수 있다. 흥미로운 것은 플레이어의 선택에 따라 게임 속 경제 상황이나 지구 평균기온 등이 변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지금으로부터 약 10년 후인 2031년 11월, 각종 허리케인과 산불이 인류를 강타하고 수백 명이 폭염으로 사망하는 와중에 세계기후정상회의가 열린다. 이 상황에서 플레이어는 어떤 의제를 뉴스에 실을지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에너지 전환을 우선하되, 사람들의 생활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선택지를 고르면 경제와 지구 평균기온이 함께 올라간다. 반면 “2035년 순 배출 제로를 약속해야 한다”는 선택지를 고를 경우 경제는 하락하지만 지구 평균기온은 유지된다. 정책 분석가, 기후과학자와 경제학자, 소설가들이 힘을 모아 제작한 이 게임은 기후위기 시대에 인류가 마주하게 될 정치적, 사회적, 환경적 상황을 생생히 담아냈다.
국제연합(UN)의 오존 사무국은 올해 ‘리셋 어스(Reset Earth)’라는 애니메이션과 모바일 게임을 출시했다. 리셋 어스는 오존층의 중요성에 대한 청소년과 학부모들의 인식을 높이고, 관련 행동을 촉구하기 위한 교육 플랫폼이다. 2084년 디스토피아 종말 이후의 세계를 배경으로, 지구를 구하기 위해 모험을 떠나는 세 청소년들의 이야기다.
컬럼비아 대학 게임연구소 조이 리(Joey J. Lee) 소장은 이런 기후변화 게임들에 대해 “게임이라는 형식은 사람들의 경계심을 무너뜨릴 수 있다”며 “정치적 또는 감정적 주제에 방어적으로 대응하는 사람에게도 쉽게 다가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결과적으로 “게임은 교과서와는 매우 다른 방식으로 사람들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리 소장은 이어 “주제를 다루는 방법이 다양하고, 각 유형의 게임이 서로 다른 목적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기후변화 게임은 계속해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이를 위해선 게임 개발자, 기후 과학자 및 타 분야 학자들 간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현황 분석]
올 6월, 국제 여론조사네트워크 윈(WIN)과 한국갤럽은 전 세계 34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기후변화 인식’ 관련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그에 따르면, 한국인의 기후위기 인식은 세계 평균을 훨씬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 94%, 세계평균 85%). 더불어 “기후변화를 막기에는 이미 너무 늦었다”는 비관적 인식 역시 한국인이 세계 평균을 웃돌았다(한국 54%, 세계평균 40%).
한국콘텐츠진흥원은 국민들의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게임콘텐츠 지원 사업 분야 중 하나로 ‘기후위기 대응 전략게임’을 선정한 바 있다. 올해 말,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게임이 출시될 예정이다. 한편 여타 국내 기업과 지자체들도 기후위기 인식 제고를 위한 활동에 동참하고 있다.
[시사점]
인류 공동의 난제인 ‘기후위기’에 대한 전 세계인들의 위기의식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관련 문제 해결에 시민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론들이 나오고 있다.
이중 학생과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게임’이라는 효과적인 방법론을 적용하기 위한 노력이 해외에서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특히 눈여겨 볼만한 점은 세계적 게임회사들이 힘을 합쳐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모습이다.
지난 2019년 결성된 ‘플레잉 포 더 플래닛 얼라이언스(Playing for the Planet Alliance)’는 “게임을 통해 ‘탄소 배출 감축’ 및 ‘환경 보호’에 기여하겠다”는 취지로 모인 협의체다. 마이크로소프트, 소니, 슈퍼셀, 유비소프트, 나이언틱 등 전 세계 굴지의 게임 개발사들이 활발히 참여하고 있으며, 유럽 인터랙티브 소프트웨어 연맹(ISFE), 독일 게임산업협회(game) 등 관련 기관 역시 이에 동참하고 있다. 국내 기업이나 기관, 단체들도 개별적인 대응보다는 연대를 통해 파급력을 높여야 할 시점이다.
*이 글은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발행하는 ‘동향리포트’로부터 제공받았습니다.
(2777)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지구 지각 160㎞ 아래에 암석이 부분적으로 녹아있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층이 존재하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됐다.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학과 CNN 등에 따르면 이 대학 '잭슨 지구과학대학원'의 화쥔린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지구 전체에 걸쳐 이런 층이 존재한다는 점을 밝힌 연구 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 지구과학'(Nature Geoscience) 최신호(6일자)에 발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피부가 늘어나고 줄어드는 양과 방향을 정확히 측정해 재활 치료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진은 3개의 센서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인접 배치해 이들에서 나오는 신호의 조합으로 특정 부위 신축 방향과 변형량을 동시에 뽑아냈다.
멸종 인류인 네안데르탈인이 살던 선사시대 동굴에서 현대인도 즐겨 먹는 것과 같은 종의 게 껍데기가 무더기로 나와 9만 년 전에 이미 게 맛을 알고 즐겼던 것으로 제시됐다. CNN 등 외신에 따르면 '카탈루냐 인류고생물학 및 사회진화연구소'의 마리아나 나바이스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리스본 인근 피게이라 브라바 동굴에서 발굴된 게 껍데기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환경 고고학 프런티어스'(Frontiers in Environmental Archaeology)에 발표했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는 신소재공학부 권인찬 교수 연구팀이 산업 폐기물 속에 포함된 수소를 이용해 폐기물 속 이산화탄소를 연료전지의 원료인 '개미산(포름산)'으로 쉽게 전환하는 효소를 발굴했다고 8일 밝혔다. 지스트에 따르면 기후 온난화에 영향을 미치는 산업 폐가스를 유용한 화학연료로 전환하는 연구에서 핵심은 산업 폐가스에 포함된 다른 가스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전기와 같은 별도의 에너지 공급이 필요 없는 공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우주에서 한반도와 주변 해역을 감시할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이 본격화한다. 정부는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을 위해 참여 부처, 개발기관, 소요기관 간 추진 계획을 공유하는 회의를 9일 대전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사업은 국가 우주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국방부 및 방위사업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양경찰청, 국가정보원 등 다부처 협력사업으로 추진한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정한길·김택균 교수, 신경과 윤창호 교수 공동 연구팀은 두경부(머리와 목 부분)의 X-선 영상을 이용해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수면무호흡증은 자는 동안 호흡이 일시적으로 멈추거나 호흡량이 줄어드는 상태를 말한다. 이런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고혈압,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
한국재료연구원은 배터리 핵심 소재 리튬이온으로 차세대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를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고 8일 밝혔다.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는 인간 뇌를 모사해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고효율로 인공지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반도체 소자다. 재료연구원 나노표면재료연구본부 김용훈·권정대 박사 연구팀이 이 기술을 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