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Pb)은 매우 무거우면서도 부드럽고 무른 특이한 성질을 갖고 있다.
가공하기가 쉬워 고대 로마 시대부터 수도관, 페인트 등을 만드는데 사용돼왔지만 19세기 독성이 발견되면서 지금은 납 축전지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미국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의 과학자들이 납에 압력을 가해 강도를 강화하려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리고 정상적인 납과 비교해 250배 더 강한 납을 만들었다.
과학자들이 무른 납(Pb)에 강한 압력을 가해 250배 강한 납을 만들어내는데 성공했다. 향후 신소재를 개발하는데 이정표가 되는 중요한 실험으로 평가받고 있다. ⓒWikipedia
400 기가파스칼에서 구조 변화 일어나
19일 ‘사이언스 뉴스’에 따르면 이번 실험 결과는 소재공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다.
어떤 물질에 기술적으로 압력을 가했을 때 강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철보다 훨씬 강하면서도 부드럽게 구부릴 수 있는 거미줄 같은 신소재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논문은 지난주 미국 물리학회지(Physical Review)에 게재됐다. 논문 제목은 ‘Extreme Hardening of Pb at High Pressure and Strain Rate’이다.
그동안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의 과학자들은 납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해왔다.
납의 경우 다른 고체들보다 밀도가 더 높았으나 매우 유연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손톱으로도 생채기를 낼 수 있을 정도다.
연구팀은 이 물질에 강한 압력을 가했을 때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밝혀내기 위해 세계에서 가장 큰 레이저 장치인 국립 점화시설(NIF, National Ignition Facility)을 활용, 400 기가파스칼(GPa = 10억 N/m2)의 압력을 가했다.
400 기가파스칼의 압력은 외부로부터 지구 중심부에 가해지는 중력과 비슷한 수준의 매우 강한 압력이다.
그러자 느린 시간에 걸쳐 납의 구조에 변화가 일어났다. 전체적인 구조에 잔물결이 일면서 형태가 변형됐으며 그 강도가 이전보다 훨씬 더 강해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를 이끈 물리학자 앤드루 크리기어(Andrew Krygier) 박사는 “변화된 납의 강도가 정상적인 상태의 납보다 250배 더 높은 강도를 지니고 있었으며, 고강도의 철과 비교해 약 10배 더 강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공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다. 기체, 액체, 혹은 무른 고체와 같은 물질에 강한 압력을 가했을 때 새로운 성질을 지닌 물질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압력 조절해 신소재 개발 가능해져
그동안 물리학자들은 압력(pressure)에 깊은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해왔다.
응집물리학(condensed-matter physics)이 대표적인 경우다. 원자‧분자들 간에 서로 작용하는 힘을 분석해 물질 구조와 성질을 이해하고 있었다.
응집물리학자들이 특히 관심을 기울인 것은 여압(pressurization)이었다. 일정한 부피의 물체에 압력을 가하면 부피가 줄어들고, 이때 발생하는 응력과 변형은 서로 비례하면서 새로운 구조물을 형성하는 과정을 말한다.
과학자들은 이런 성질을 이용해 질소에 압력을 가해 부피가 줄어든 액체 질소(liquid nitrogen), 산소에 압력을 가해 액체 산소를 만들 수 있었다.
기체가 고체로 변화할 수도 있다. 금속 수소(metallic hydrogen)가 대표적인 경우다.
우주과학자들에 의하면 목성이나 토성과 같이 거대한 행성의 경우 중심부에 강한 압력이 가해지면서 수소 원자가 찌그러지고 원자핵(양자)이 격자 모양으로 늘어서게 된다. 그 사이를 자유전자가 돌아다니는데 이런 수소를 금속 수소라고 한다.
최근 들어서는 금속수소를 만들어내는데 성공하고 있다.
최근 미국 샌디아 국립연구소(Sandia National Laboratories)는 강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Z 머신(Z machine)’을 사용해 강한 전자 펄스로 수소를 자극했고 금속 수소로 변화시킬 수 있었다.
지구 과학자들은 또 이런 원리를 이용해 강한 중력이 가해지고 있는 지구 중심부, 더 나아가 지구보다 훨씬 더 강한 중력이 가해지고 있는 다른 행성 중심부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형상화할 수 있었다.
그러나 과학자들이 특히 고대하고 있는 것은 신소재 개발이다. 이번 연구 결과를 지켜본 과학자들은 새로운 공법을 활용해 혁신적인 소재를 만들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그동안 납은 독성 때문에 사람들로부터 기피 물질로 인식돼왔다. 그러나 특수한 구조 때문에 신소재 개발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실험실을 통해 또 어떤 구조의 물질로 변화할 수 있을지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3973)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바이오나노연구센터 임은경 박사 연구팀과 건양대 문민호 교수 공동연구팀이 혈액 검사로 초기 알츠하이머병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기억 상실·인지 장애를 동반하는 노인성 치매인 알츠하이머병은 현재까지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없어 정확한 조기 진단으로 증상의 진행을 늦추는 게 최선이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 환자 혈액에서 마이크로RNA(miRNA)의 일종인 miR-574가 매우 증가하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검출할 수 있는 진단시스템을 개발했다.
북한은 평양 강동군 구석기 동굴에서 2만여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인류의 화석이 발견됐다고 주장했다. 11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일성종합대학 역사학부 연구팀은 최근 강동군 임경노동자구 구석기 동굴을 탐사하던 중 2층 문화층에서 인류 화석 7점, 짐승 뼈 화석 9종에 300여점, 포분화석 274개를 발굴했다.
서울대학교 교수들과 학부생들이 질병 치료에 중요한 유전자를 발굴하는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11일 서울대는 의과대학 한범·정기훈 교수팀이 세포 분류를 선행하지 않고 신약개발 타깃 '마커 유전자'를 효율적으로 발굴할 수 있는 AI 알고리즘 '마르코폴로'를 개발했다고 전했다.
국내 연구진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물질을 파괴하지 않고 검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한 OLED 비파괴 검사 기술이 상용화된다면 OLED 디스플레이 제작 과정에서 결함을 확인하고 수율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가 자체 기술로 2031년 달 표면에 우주선을 보내 착륙시킨다는 계획을 추진함에 따라 이를 위한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에 관심이 쏠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최근 이 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에 착수했다. 11일 과기정통부와 전문가 등의 설명을 종합하면 2030년에 차세대 발사체 성능 검증을 위한 발사가, 2031년에 달 착륙선을 보내기 위한 발사가 각각 예정돼 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꽃향기가 분비되는 것을 실시간 측정해 가시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기계공학과 유체 및 계면 연구실 김형수 교수와 생명과학과 생태학 연구실 김상규 교수 연구팀은 레이저 간섭계로 휘발성 유기물 증기(VOCs)의 상대 굴절률을 측정해 백합에서 나오는 꽃향기를 직접 측정해 냈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지난 3월 제76차 유엔총회에서 매해 5월 12일이 '세계 식물건강의 날'로 지정됐다고 10일 밝혔다. 이는 우리나라가 회원국인 식물검역 국제기구 '국제식물보호협약'(IPPC)이 2020년부터 세계 식물건강의 날의 유엔 지정을 추진한 결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