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의료산업 규제자유특구로 춘천과 원주가 1일 최종 지정됨에 따라 강원도가 정밀의료산업 메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강원도는 1일 김부겸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규제자유특구위원회에서 중소벤처기업부 등이 주관하는 정밀의료산업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됐다고 밝혔다.
도내에서 규제자유특구 지정은 원주의 '디지털 헬스케어'(2019년)와 삼척·동해·평창·강릉의 '액화수소산업'(2020년)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2019년 4월부터 도입된 규제자유특구는 기업들이 규제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4차 산업혁명 신기술·신제품 등을 실증·상용화할 수 있는 제도다.
특구로 지정받으면 혁신 성장의 요람은 물론 지역 균형발전의 촉진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특구 지정으로 강원은 4개의 정밀의료 AI 솔루션 개발 및 2개의 신의료기술평가 실증을 할 계획이다.
즉, 환자의 유전체 정보나 임상정보 등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해 특정 질환에 대한 예측, 진단 인공지능 AI 솔루션을 개발하는 신산업이다.
정밀의료 데이터를 활용한 AI 솔루션 개발은 만성(알코올성) 간 질환, 전립선암, 뇌 손상, 안면 골절 등 4개 분야이고, 신의료기술 평가 실증은 만성 간 질환과 전립선암 2개 분야다.
사업 참여 기관은 한림대 춘천성심병원과 강원대병원, 원주 연세의료원 등 3개 병원을 비롯해 강원테크노파크, 주식회사 더존비즈온, 헬스케어융합혁신센터 등 19개 기관·기업이 참여한다.
이들 병원의 의료 데이터를 수집해 AI 솔루션을 개발하면 식약처 승인을 거쳐 산업화하는 구조다.
특구 기간은 내년부터 2025년까지 4년간이며 이 기간 국비와 지방비, 민자 등 100억원이 투입된다.
이를 통해 도는 2027년까지 의료 관련 기업 200개 유치와 일자리 3천700대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명중 도 경제부지사는 "정밀의료 빅데이터산업을 강원도 핵심 디지털 뉴딜 사업으로 본격적으로 육성하는 등 정밀의료산업의 메카로 거듭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1-07-02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