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제공 : 한국연구재단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원문 보러 가기]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저작권자 2022-09-30 ⓒ ScienceTimes 태그(Tag) #간헐적단식 #공복 #다이어트 #비만 #식사시간제한요법 #신체변화 #연구정보중앙센터 #지방감소 #체중감소 #혈압조절 관련기사 "아빠보다 엄마 유전자가 자녀 체중에 미치는 영향 더 크다" 엄마의 유전자는 자녀에게 유전되지 않더라도 '유전적 양육'(genetic nurture) 과정을 통해 자녀의 체중에 영향을 미쳐 아빠보다 아이의 과체중이나 비만에 더 큰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임신 체중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리암 라이트 박사팀은 6일 과학 저널 플로스 유 "다이어트엔 최소가공식품…체중 감량효과 초가공식품의 2배" 미국 마트에 진열된 초가공식품들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열량을 포함해 영양상으로 비슷한 식단이더라도 최소가공식품(MPF)을 선택하면 초가공식품(UPF)을 섭취할 때보다 두 배의 체중 감량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새뮤얼 디킨 박사팀은 5일 의학 저널 네이처 메디신(Natu "소지방·돼지기름, 종양 성장 촉진하고 면역은 약화시켜" 실험용 생쥐.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제공 미국 프린스턴대·루드윅 암연구소 리디아 린치 교수팀은 31일 의학 저널 네이처 메타볼리즘(Nature Metabolism)에서 동물성 지방과 식물성 지방이 비만 생쥐 종양 모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에서 섭취한 지방의 종류가 종양 성장을 촉진하는 주요 "간암 60% 원인은 예방 가능한 요인…비만 관련 간암 증가" 전 세계에서 발생하는 간암 사례 5건 중 3건은 바이러스성 간염, 음주, 대사 이상 지방간질환(MASLD) 등 예방 가능한 위험 요인에 의한 것이며, 특히 비만 관련 간암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또 간암에 대한 긴급 조치가 없을 경우 향후 25년 내 간암 신규 발생과 사망이 두 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연간 간암 신규 발생을 2~ 체중 감량 효과 비교해보니…"비만 수술이 약물 치료의 5배" 체중 감량 효과 비교 연구에서 위소매절제술(sleeve gastrectomy)과 위 우회술(gastric bypass) 같은 비만 수술의 효과가 위고비나 젭바운드 같은 비만 치료제보다 5배 크다는 결과가 나왔다. 고도 비만 ⓒ연합뉴스 자료사진 미국 뉴욕대 랑곤헬스 에이버리 브라운 박사팀은 18일 워싱턴DC에서 열린 미국대사비만수술학 갈색지방의 숨겨진 가능성, 비만 해결의 열쇠 될까? 현대 사회에서 비만 인구는 점차 늘어나고 있다 ⒸGetty Images 우리 몸은 섭취한 음식물로부터 에너지를 생성하고 일상생활이나 운동, 체온조절을 하는 과정에서 에너지를 소비한다. 이 둘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곧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다. 현대 사회는 과거보다 활동량이 줄어들고 먹거리는 풍부해져서 에너지 과잉 상태인 비만 인구의 비율이 "고지방 식단, 비만뿐 아니라 불안·인지장애 위험도 높여" 고지방 식단으로 인해 유발된 비만이 뇌 신호와 장내 미생물군에 변화를 일으켜 불안증과 인지장애 위험도 높일 수 있다는 동물 실험 결과가 나왔다. "고지방 식단, 비만뿐 아니라 불안·인지장애 위험도 높여" 15주 동안 고지방 먹이를 먹은 수컷 생쥐는 마른 생쥐에 비해 체중 및 체지방 증가와 함께 불안증 유사 행동이 "비만이 암세포 키우는 이유, '호르몬' 아닌 '지방산산화' 때문" SLC25A20 유전자 발현 억제를 통해 지방산산화를 차단하면 고지방 식이에 의한 종양 촉진 효과가 억제되는 기전 요약도 ⓒ국립암센터 제공 지방산을 분해해 에너지를 만드는 과정인 '지방산산화 대사'가 고지방 식단으로 인한 비만인의 암세포 성장을 촉진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립암센터는 16일 이 센터의 김수열 박사 "추운 계절에 잉태된 사람, 성장 후 비만 가능성 적어" "추운 계절에 잉태되면 갈색 지방 활발…BMI 낮고 내장비만 감소" 부모가 자녀를 잉태할 때 추위와 큰 일교차에 노출되면, 후생 유전학적 영향이 자녀에게 미쳐 건강에 좋은 갈색 지방 조직(BAT:brown adipose tissue )이 활발하게 작동, 에너지 소비와 열 발생이 증가하면서 체질량지수(BMI)가 낮아지고 쌍둥이를 통한 미생물 전이 실험 쌍둥이를 이용한 연구: 미세한 생태계가 비만과 체중 조절에 어떤 역할을 할까? 인간의 장내에는 수조 개의 미생물이 살고 있으며 이들은 우리의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 최근 과학계는 이 미세한 생태계가 비만과 체중 조절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주목하고 있다. 워싱턴 대학교 세인트루이스의 제프리 고던(Jeffrey Gordon) 박사는 2006년부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모닝커피의 마법? 카페인 ‘골든타임’ 아침으로 밝혀져 화성에서 드디어 35억년 전 생명체의 강력한 증거를 발견하다 없어진 눈을 통째로 다시 만드는 달팽이의 재생 능력 꿀벌 살리기 대작전 '버섯 살인마'의 완전범죄 시도? 아프리카 청년들이 외롭다? 도파민 터지는 ‘숏폼’, 우리의 집중력은 ‘47초’ "납 없는 실리콘 초음파 패치 개발…웨어러블 혈압계 등 적용" 암세포 DNA만 골라 제거한다…유전자 가위 기술 개발 UNIST "AI 품질 검사로 2.79초 만에 초미세 불량 찾는다" 속보 뉴스 화성 퇴적암 분석해보니…"과거 생명체 서식 환경 가능성 시사" 스마트폰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선별…국내 연구진 AI 모델 개발 독성연 "BPA 대체물질에도 독성…예쁜꼬마선충 통해 규명" 조울증 치료제 왜 안 들을까…뇌 속 별세포의 대사 차이 밝혔다 김치서 찾은 유산균, 궤양성 대장염 증상 잡는다 독감은 왜 노인에게 더 치명적일까…"ApoD 단백질 증가 때문" UNIST, 기술이전 계약 자동 분석하는 AI 시스템 구축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