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군에서 소총탄이나 수류탄 등 탄약을 관리할 때 일일이 손으로 수량을 세지 않아도 자동 체크되는 방식이 적용된다.
국방부는 올 11월까지 45억원의 예산을 들여 육.해.공군 54개 탄약부대가 보유하고 있는 소총탄, 수류탄 등 특별관리대상 탄약에 무선인식(RFID) 태그를 부착해 실시간으로 자동식별 관리하는 시스템을 시범 구축한다고 29일 밝혔다.
물품에 태그를 부착해 무선으로 정보를 읽는 시스템인 RFID는 10㎝ 거리에서 물품을 1개씩만 인식하는 바코드와 달리 3m 이상 거리에서 무선으로 초당 수백개까지 물품을 인식할 수 있어 일반적으로 유통물류를 혁신시킬 것으로 기대되는 기술이다.
따라서 군이 탄약에 RFID 태그를 부착하고 탄약부대 정문과 탄약고 출입문 등에 판독기를 설치하면 탄약수불(受拂)시 수량 정보가 실시간으로 종합센터로 전달돼 탄약관리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뤄지게 된다.
현재의 탄약관리는 장병들의 수작업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이 사업은 작년에 5억7천만원의 예산을 투자해 시범 실시됐다.
특히 탄약에 대한 RFID 적용은 전세계에서 우리 군이 처음으로, 세계적인 기술표준이 아직 확립되지 않았고 안전성 검증이 미흡하다는 등의 이유로 미군도 탄약 등을 제외한 일부 군수품에만 이 같은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 관계자는 "우리 군도 전자파 영향을 받지 않는 특별관리대상 탄약에만 우선 적용해 전자파 영향을 받는 다른 탄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국내 및 국제 기술을 선도해간다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올해 사업이 완료되면 특별관리대상 탄약 전체의 7%가 이 시스템의 적용을 받게 되며 국방부는 사업 성과를 평가한 뒤 확대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정보통신부는 RFID 확산을 위해 지난 3월 통일부, 국방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등 4개 부처에 관련 사업을 각각 선정한 바 있다.
(끝)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서울=연합뉴스) 이상헌 기자
- 저작권자 2006-05-29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