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치료하는 물질을 개발했다고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가 12일 밝혔다. 이는 지방간의 발생을 억제하는 데 필요한 세포 신호전달 체계를 규명한 것이다.
교과부에 따르면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이인규(51) 교수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이기업(53) 교수팀,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박근규(37) 교수팀은 ‘알파-리포산’이라는 물질이 간에서 지방합성을 억제해 지방간을 치료하는 근거를 마련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비만, 당뇨병 등 대사증후군 환자에게 흔히 나타나는 심각한 간 질환으로 비만 때문에 체내의 중성지방이 증가된다. 특히 간세포 내 중성지방의 축적이 증가해 지방간염, 간경화증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조기 치료 및 예방이 필요하나 현재까지 뚜렷한 치료방법이 없다.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치료를 위해 메트포민(metformin)이나 PPAR-γ 리간드와 같은 당뇨병 치료제가 AMPK라는 세포 내 에너지 센서를 활성화시켜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치료에 시도되고 있으나 효과는 미미하다. 다만 식사요법, 운동요법 등을 통한 체중감량 등 기본적인 치료법만이 권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알파-리포산은 AMPK 활성 물질인 메트포민과 같은 기존 치료제와는 달리 AMPK를 활성화시켜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효과 이외에 LXR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지방합성을 조절하는 유전자인 SREBP-1c의 발현을 억제한다. 이번 연구결과에 적용된 알파-리포산은 약물의 독성 및 부작용 면에서 문제가 없다고 규명된 약물이다. 알파-리포산은 조속한 임상시험을 거쳐 실제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을 전망이다.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재단이 지원하는 국가지정연구실사업(NRL)의 일환으로 수행됐다. 이인규 교수는 “동 연구 성과는 비만 및 대사증후군의 조건에서 지방간의 발생과 이를 억제하는 물질의 세포 신호전달 체계를 규명함으로써 지방간, 지방간염, 간경변증 등 대사성 간질환의 발병 원인을 밝히고 이의 임상적용에 기여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연구 결과는 간질환 분야 권위지인 헤파톨로지(Hepatology) 인터넷판 8월호에 게재될 예정이다.
◆ 용어 설명 AMPK : 세포내 에너지 센서 역할을 하는 물질로 세포내 에너지 고갈 상태에서 활성화 된다. 활성화된 AMPK는 지방산의 베타-산화(beta oxidation)를 증가시키고 지방산의 합성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AMPK에 의한 지방산 합성 억제의 주된 기전은 SREBP-1c라는 지방합성 조절 유전자의 활성을 억제함에서 비롯된다. LXR : LXR(Liver receptor X)은 간 조직에서 많이 발현하는 유전자이다. SREBP-1c의 발현을 조절하는 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사인자이다. |
- 김재호 기자
- jhkim@ksf.or.kr
- 저작권자 2008-08-13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