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신소재·신기술
김문균 객원기자
2007-01-09

따뜻한 정보화 실현의 첫발 '100달러 노트북' 비즈니스 2.0, 올 가장 주목할 상품 1위 선정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최근 미 경제전문지 ‘비즈니스 2.0’이 올해 주목할 만한 신상품 1위로 100달러 노트북을 선정하면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 잡지는 발기부전 치료용 콘돔, 선이 없는 USB(WUSB), 애플사의 iTV, 칼로리를 태워 없애는 다이어트 음료, 마이크로소프트의 새로운 컴퓨터 운영체제 '윈도 비스타', 기존 PDP나 LCD에 이어 등장할 새로운 디스플레이 패널 SED를 올해 주목해야 할 깜짝 신상품으로 꼽았다.


이 중 가장 주목해야 할 상품으로 꼽은 ‘100달러 노트북’은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부설 미디어랩의 공동 창설자인 니콜라스 네그로폰테 교수가 설립한 비영리단체 ‘어린이 한 명 당 노트북 한 대씩을(OLPC, One Laptop Per Child)'에서 추진 중인 IT복지 운동의 도구다.

첨단 IT에 PC생산기술을 결합하여 100달러짜리 노트북을 만들어 가난한 나라 어린이들에게 대량 보급하겠다는 구상이 OLPC다. 네그로폰테는 리비아, 브라질, 아르헨티나, 나이지리아, 태국 다섯 나라 교육당국과 협의를 마쳐 현재 이들 나라에 노트북 시제품을 제출해 놓고 있으며, 올 여름까지 이들 시제품의 실용성이 검증되면 OLPC는 올해 말까지 남미, 아프리카, 동남아 최빈국 어린이들에게 PC 1천만대를 공급하게 된다.


실제로 현재 인구 100명당 PC보유현황을 살펴봐도 정보화의 디지털 디바이드는 심각한 상황이다.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이 발간한 2005년 국가간 정보격차 해소 백서에 따르면, 오세아니아가 50.84대, 아메리카가 34대인 데 반해 아시아는 6.37대, 아프리카는 1.76대에 불과할 정도로 정보사회에 대한 지역별 격차는 심각하다. PC는 이른바 정보화의 가장 기본이며 접근을 위한 최소한의 도구다.


100달러 노트북 운동이 성공한다면 IT를 통한 나눔과 복지 실현은 물론 기술적인 면에서도 일대 혁신이 일어나는 의미있는 운동이다. 비즈니스 2.0 잡지에서도 이 컴퓨터의 전력 소비량은 일반 컴퓨터의 13%에 지나지 않고, 해당 지역에 큰 비용이 드는 네트워크나 서버 장비가 갖춰져 있지 않아도 PC끼리 자유롭게 통신하고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고 밝혔다.


‘100달러 노트북’ 설계자들은 혁신적인 노트북을 고안해 냈다. 전원이 없는 곳에서는 발로 페달을 1분간 밟아 노트북에 10분치 전력을 공급한다. 또 이 노트북에는 또 메쉬 네트워킹 기술이 채용되어 인터넷 접속의 범위를 극대화했다. 7.5인치짜리 노트북 화면은 배경 조명을 받는 저해상도 컬러모드, 그리고 밝은 햇빛 아래에서도 판독할 수 있도록 고해상도 흑백모드가 함께 채택되었다. OLPC 기술자들은 LCD 화질에 버금가는 이 미니 스크린을 LCD 제작원가의 4분의 1인 35달러에 생산하는 쾌거를 이뤄냈다.


현재로서는 대당 생산단가를 150달러 밑으로 끌어내리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IT업계에서는 보고 있다. 하지만 OLPC 운동에 가속도가 붙어 ’100달러 노트북‘이 양산단계에 들어서면 노트북 가격이 이름과 같아지리라고 OLPC는 기대한다. PC 생산에서도 일대 혁명이 일어나는 셈이다.


현재 사막과 원시림에 이르는 다양한 사용 환경에서 어린이들 손으로 가기 위해 시험되고 있는 100달러 노트북의 거대한 시도는 '인간의 얼굴을 한 정보화' 실험이라는 의미를 부여하며 실험의 성공소식을 손꼽아 기다려 본다.

김문균 객원기자
저작권자 2007-01-09 ⓒ ScienceTimes

태그(Tag)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