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천문연구원은 9일 오전 4시 12분(한국 시간)부터 수성이 태양 앞 면을 가로질러 통과하는 현상이 일어나 오전 9시 10분에 종료된다고 6일 밝혔다.
수성의 태양면 통과는 태양과 수성, 지구가 일직선으로 일치할 때 발생하며 2003년 5월 7일 이후 3년만으로, 수성의 궤도면이 지구 궤도면과 7도 가량 기울어져 대략 100년에 13-14번 발생한다고 천문연구원 측은 설명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일출시각(오전 7시 5분) 이후에 수성이 태양면의 중간 정도에서 빠져나올 때까지 관측할 수 있다.
수성의 겉보기 크기는 태양의 200분의 1로, 망원경 없이 육안으로는 관측하기 어려우며 배율이 30배 이상 되는 소형 망원경에 태양 필터를 사용해야 하고 필터가 없으면 하얀 종이 위에 태양을 투영, 관측할 수 있다.
태양을 필터 없이 맨 눈이나 망원경으로 관측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수성의 태양면 통과 현상은 21세기에 모두 14번 발생하며 2016년과 2019년에 일어나는 현상은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고 26년 뒤인 2032년에야 가능하다.(끝)
- (대전=연합뉴스) 조성민 기자
- 저작권자 2006-11-07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