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뇌에서 시냅스의 생성을 촉진하는 새로운 단백질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발견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과학과 김은준(42.시냅스 생성 창의연구단장) 교수팀이 특정 단백질이 흥분성 시냅스의 생성에 관여한다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했다고 18일 밝혔다.
시냅스(synapse)는 신경 세포의 신경 돌기 말단이 다른 신경 세포에 접합하는 부위로, 한 뉴런의 축색돌기 말단과 다음 뉴런의 수상돌기 사이의 연접 부위에 해당되며 이 곳에서 한 신경 세포에 있는 충격이 다음 신경 세포로 전달된다.
이 연구결과는 이 날짜로 발표되는 신경과학 권위지인 '네이처 뉴로사이언스(Nature Neuroscience)' 9월호에 실렸다.
김 교수팀은 후(後) 시냅스에 있는 '엔지엘(NGL)'이란 막단백질이 전(前) 시냅스의 네트린지(netrin-G)라는 다른 막단백질과 연결되면서 가교역할을 해 새로운 시냅스 생성을 촉진하는 것을 발견했다.
'엔지엘'은 '뉴로리긴(neuoroligin)'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새롭게 발견된 시냅스 가교 단백질로, 이 단백질의 발견은 시냅스 생성원리는 물론 다양한 뇌질환 발병 원인을 추정할 수 있게 됐다.
김 교수는 "엔지엘과 연결돼 있는 네트린지가 정신분열증과 관련 있고 엔지엘과 비슷한 기능을 가진 다른 시냅스 가교 단백질인 뉴로리긴이 정신지체 및 자폐증과 연결돼 있어 이번에 발견한 엔지엘도 정신분열증을 비롯한 다양한 뇌질환과 관련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끝)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대전=연합뉴스) 조성민 기자
- 저작권자 2006-09-18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