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IT기반시설을 갖춘 u-City 건설을 공동 추진하는 정통부와 건교부 양부처 장관과 지자체 및 도시건설 관계자 5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6일 서울 조선호텔에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본격적인 추진에 나서기로 했다. 이어 발표된 2006년 정책 추진방향에는 건교부와 정통부가 공동으로 'u-City 건설지원법(가칭)' 제정(건교부 중심)과 표준모델 개발 (정통부 중심) 등을 중점추진하기로 했다. 정통부는 2007년부터 u-City Test-bed환경 구축 및 실증시험 등을 추진해 유비쿼터스 기술이 도시에 안정적으로 접목할 수 있는 기반조성에 노력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u-City는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 서비스를 도시공간에 융합해 도시기능을 혁신적으로 제고시킴으로써, 거주민의 생활 편의 증대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한편, 대규모 IT수요 창출에 의한 선순환 산업 구조 창출이 가능한 21C 첨단도시를 말한다.
앞으로 건설되는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신도시, 공공기관이 새로 들어서는 이전도시 등은 수준 높은 주거와 교육, 문화 등 생활여건과 함께 바로 u-city의 기능을 갖고 탄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2~3년 전부터 토지공사, 주택공사, 지자체, 관련업계 등이 깊은 관심을 갖고 모델을 그려왔으나 올해는 그 실체가 구체적으로 나타나는 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협의로 국가 차원에서 u시티 건설계획을 구체화해 나가기로 함에 따라 그동안 기관별로 추진해 오던 방식에서 나아가 추진속도가 한층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u시티는 새로 조성되는 신도시를 중심으로 구현될 예정이어서 행정중심복합도시, 기업도시 건설이 실제로 국가 u시티 모델이 적용되는 테스트베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들 도시 건설사업이 어느 정도 마무리되면 우리나라는 u시티와 관련해 세계적인 벤치마킹 대상으로 자리잡고, u시티가 유망 수출품목으로도 부상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MOU체결을 통해서 양 부처는 ①u-City구축을 위한 법제도 정비, ②표준화된 u-City 모델 개발 및 인증, ③u-City 시범사업 추진, ④u-City관련 요소기술 연구개발, ⑤u-City과제 발굴 및 추진, ⑥정보 및 인력교류, ⑦u-City분야 전문인력 양성, ⑧법 제정 등 공동보조, ⑨ 국제 표준화 및 해외진출 지원 등 국제협력 활동, ⑩ 기타 협력이 필요한 사항 등에 포괄적으로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이 체결에 따라 정보통신부는 유비쿼터스 IT 관점에서 정보통신 인프라, 정보통신 관련 법제도 정비, IT기술 및 서비스의 표준화, 정보화 역기능 방지 등의 분야에서 주된 역할을 담당한다. 건설교통부는 u-City의 계획 및 건설, 관리와 운영관점에서 u-City 건설지원법(가칭)을 제정, 도시계획 및 건설 관점에서 도시개발 관련 법제도 정비, 도시기능 및 유형 정비, 난개발 방지 등의 분야에서 주된 역할을 맡아 수행하게 된다.
이번 양부처의 u-city 전략 발표 이전부터 전국의 지자체는 지자체선거를 앞두고 'u-city'구축을 위해 사활을 걸고 총력전을 벌여 왔다. 일부에서는 뚜렷한 비전과 사업운영계획도 없이 청사진만 난무하는 지자체들의 과열경쟁 양상에 우려를 표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이번 양부처의 명확한 역할에 대한 교통정리와 함께 향후 국가균형 발전과 지역개발이라는 정부의 핵심키워드와 맞물려, 급진전하는 IT분야의 기술에 힘입어 한층 가속화될 전망이다.
유비쿼터스 도시구축을 위해 정부는 올해부터 5년간 1조5천205억원을 투입해 교통, 해양 등 10개 분야의 지리 정보 체계를 구축한다. 이에 따라 정부는 5년간 국비 1조1천983억원, 지방비 3천222억원 등을 투입해 전자태그(RFID),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등을 GIS에 적용한 차세대 핵심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또 교통 및 해양, 시설물, 행정경계 등 10개 분야의 지리 정보를 산정, 전국에 구축하고 관련 제도 정비, 표준 체계 확립, 산업 육성, 인력양성, 전자정부 실현 등을 추진키로 했다.
정부가 추진하는 u-시티는 지역내 위치한 건물과 기반시설을 초고속 인터넷으로 연결해 도시통합관제센터에서 일괄 관리하는 미래형 도시를 말한다. u-시티가 구축되면 지역내 모든 시설들이 인터넷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가정에서 인터넷으로 업무와 교육은 물론이고 TV도 보고 쇼핑도 하며 간단한 진료까지 받을 수 있다. 지자체에서도 인터넷으로 연결된 카메라를 통해 화재 및 범죄예방 등의 치안과 지하철, 항만, 공항, 상하수도, 전기 및 도시가스 등 각종 시설물 관리, 민원서류 발급 업무 등을 빠르고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다.
국내에서도 부산에 이어 인천 송도, 용인 흥덕지구, 파주, 오송, 제주, 광주, 경주, 전주 등 u-시티 구축을 발표한 곳만 10여 곳이 넘을 정도다.
우선 세계 최초로 u-시티 구축을 선언한 부산은 오는 2010년까지 총 1조원을 이 프로젝트 구축에 투자할 계획이다. 광대역통합망(BcN)과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킹(USN) 등 최첨단 인프라를 통해 도시 생활의 모든 부분을 네트워크로 연결하겠다는 것이 핵심이다. 물류도시, 항만도시 부산을 유비쿼터스 환경으로 네트워크화 시켜 u물류, u포트에 이어 국제회의 및 관광 등까지 원스톱으로 해결할 수 있는 u컨벤션까지 구축할 예정이다. 이미 지난해 11월 부산 APEC 행사에서 세계 정상 및 방문자들을 대상으로 시험을 마친 상태라 진행도 순조롭다.
행정중심도시 건설청은 지난달 24일 충남 연기, 공주에 들어설 행정중심도시 전체를 유비쿼터스 도시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u시티의 실제 모습을 표방한 도시건설 프로젝트도 잇따라 진행되고 있다. 서울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DMC)에는 연건평 4만6천152평 규모로 지상 22층, 지하 4층의 첨단 IT 인프라를 갖춘 IT 콤플렉스인 `누리꿈 스퀘어(NuriTcum Square)' 건설이 정부 주도로 추진되고 있고, 유비쿼터스 기술을 곳곳에 심은 유비쿼터스 거리도 조성될 예정이다.
인천 송도 신도시도 동북아의 경제, 물류, 금융, 첨단산업의 중심지인 동시에 세계적인 u시티로 건설될 예정이다. 또 한국토지공사는 오는 2008년 말까지 총 9천300여 세대가 건설되는 용인 흥덕 택지개발지구와, 오는 2007년 말까지 총 4만 세대가 건설되는 동탄 신도시를 u시티로 조성할 계획이다.
대한주택공사와 파주시도 경기도 파주시 교하읍에 조성되는 285만평, 인구 12만4천평 규모의 신도시인 운정신도시를 u시티로 조성하기로 하고 KT를 통해 미래도시 청사진을 구상 중이다.
이들 외에도 전주, 광주, 제주, 충북, 경북 등의 지자체들이 u시티 건설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어 향후 진행상황이 주목된다.
특히 이례적으로 기업으로는 삼성그룹이 u시티 프로젝트에 뛰어들었다. 삼성그룹 내 삼성전자, 삼성물산, 삼성SDS, 삼성테크윈, 삼성네트웍스 등 5개사는 최근 u시티 추진실무위원회를 결성하고 u시티 사업과 관련, 그룹 관계사 간의 유기적인 협력관계를 구축 중이다. 이 중 IT전문기업인 삼성SDS는 홈네트워크 및 단말기, 시스템통합(SI) 망구축, 전자태그(RFID) 등 분야별로 u시티 시장을 집중 공략해 구체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할 계획이다.
- 이창은 객원기자
- 저작권자 2006-02-06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