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4-04-23

‘현실 장벽 낮추자’…장애인 눈·귀·손발 되는 첨단기술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장애인 돕는 첨단기술 ⓒ연합뉴스TV 제공

4월 20일은 장애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장애인의 재활 의욕을 끌어올리기 위해 제정한 '장애인의 날'이다. 의료·과학계에서도 인공지능(AI)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장애인이 신체·정신적 제약을 넘어 주체적으로 삶을 살 수 있게 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9일 뉴냅스의 인지치료 소프트웨어 '비비드 브레인'(VIVID Brain)을 국내 제3호 디지털 치료기기로 허가했다고 밝혔다. 비비드 브레인은 모바일 앱으로 구현한 소프트웨어 의료기기로, 뇌 질환으로 시야가 좁아진 시야 장애 환자의 증상 개선을 목적으로 개발됐다. 줄무늬 방향을 비교하는 등 반복적인 시지각 훈련을 통해 자극에 대한 환자 지각을 향상해 시지각 기능 회복을 도모한다.

식약처는 최근 '의료기기 품목 및 품목별 등급에 관한 규정'을 개정해 장애인의 일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AI 자율주행 휠체어, 의료용 착용형 로봇, 청력 재활 소프트웨어 등에 대한 소분류 체계를 마련하기도 했다.

이 가운데 AI 자율주행 휠체어는 주변 환경을 인식하는 센서로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해 이용자 조작 없이 원하는 장소에 도착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기다. 목표 지점을 설정하면 알고리즘이 주변 환경 상황을 고려해 최적의 경로를 계산한다. 이동 도중 장애물을 발견하면 이를 반영해 실시간으로 경로를 수정하거나 긴급히 정지할 수 있다. 아직은 경로가 확실하고 장애물이 적은 실내용으로 주로 개발되고 있지만, 기술이 더욱 발전하면 실제 도로에서도 사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청각이 남아있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AI 보청기도 있다. AI 보청기는 사람의 두뇌 작동 방식을 모방해 환경이 변해도 선명하게 말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개발됐다.

삼성전자 릴루미노 ⓒ삼성전자 제공

저시력 장애인이 앞을 더 잘 볼 수 있게 해주는 시각 보조 설루션 '릴루미노'도 첨단 기술을 장애인 생활 보조에 활용한 사례다. 삼성전자 사내 벤처 육성 프로그램 'C랩'을 통해 개발된 릴루미노는 특별 제작한 안경을 통해 시각장애인이 인식하기 쉬운 형태로 바뀐 영상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게 한다.

한편 의료 기술 발달로 장애 진단도 조기에, 신속히 이뤄질 수 있다. 특히 자폐성 장애는 조기에 치료를 시작할수록 치료 가능성이 높아 관련 진단 방법이 다양하게 개발되는 추세다.

예컨대 SK텔레콤과 서울대병원이 개발한 'AI 리빙랩'은 부모를 등진 아이를 불렀을 때 고개를 돌리는지 여부를 관찰하는 검사에서, 아동이 반응하기 전까지 호명 횟수, 반응 속도, 고개를 돌리는 각도 등을 평가하는 등 장애 정도를 수치화해 자폐 스펙트럼 조기 진단을 돕는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4-04-23 ⓒ ScienceTimes

태그(Tag)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