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환경·에너지
연합뉴스
2024-04-09

해양 플라스틱 종착지는?…“해저에 최대 1천100만t 쌓여 있어” 호주 연구팀 “해양 플라스틱 54%, 200m 이상 심해 바닥에”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플라스틱 쓰레기가 세계적인 환경 문제가 되는 가운데 깊은 바다 밑바닥에 최대 1천100만t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쌓여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바다에 떠 있는 플라스틱 쓰레기
연구팀은 전 세계에서 매분 트럭 한 대 분량의 플라스틱이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Brian Yurasits, Unsplash

호주 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CSIRO) 브리타 데니스 하데스티 박사팀은 6일 과학 저널 '심해 연구 파트 I'(Deep Sea Research Part I Oceanographic Research Papers)에서 해저의 플라스틱 양과 분포를 추정하는 예측 모델을 구축해 분석한 결과 해저에 300만~1천100만t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쌓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현재 1분마다 트럭 한 대 분량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로 흘러 들어가고 있으며, 2040년까지 플라스틱 사용량이 두 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쓰레기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데스티 박사는 "매년 수백만t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로 유입된다는 사실은 알고 있지만 이것이 어디로 어떻게 이동하는지, 어디에 얼마나 쌓이는지는 몰랐다"고 연구 배경을 설명했다.

연구팀은 5㎜ 이상 크기의 플라스틱 쓰레기로 인한 오염을 파악하기 위해 이전 연구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이 데이터를 사용해 해저에 존재하는 플라스틱의 양과 분포를 추정하는 예측 모델을 구축했다. 모델에는 원격 조종 장비(ROV)와 저인망 트롤을 통해 확보한 해저 플라스틱 쓰레기 데이터가 사용됐다.

“해저에 쌓여 있는 플라스틱 쓰레기 최대 1천100만톤”
ⓒDeep Sea Research Part I Oceanographic Research Papers/Britta Denise Hardesty et al.

분석 결과 2020년 기준으로 해저에 쌓여 있는 플라스틱 쓰레기의 양은 최저 300만t에서 최대 1천100만t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 제1 저자인 샤 주 연구원(박사과정)은 이런 해저 플라스틱 쓰레기 추정치는 해수면에 떠다니는 플라스틱 양보다 최대 100배나 많은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해저 플라스틱 쓰레기 가운데 46%는 대륙 주변 해안이나 인구 밀집 해안 지대 근처의 수심 200m 이내 해저에 쌓여 있는 반면, 54%는 수심 200m에서 최대 1만1천m의 심해에 가라앉아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하데스티 박사는 이 연구에서는 그물, 컵, 비닐봉지 등 큰 쓰레기까지 조사했다며 이 결과는 플라스틱 쓰레기가 작게 부서져 해양 퇴적물에 섞이기 전에 해저에 얼마나 도달해 쌓이는지 처음으로 추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주 연구원은 "이 연구는 해저가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플라스틱 쓰레기의 종착지가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심해의 플라스틱 이동과 축적 과정을 이해하면 대책 마련하고 해양 생물에 미치는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출처 : Deep Sea Research Part I Oceanographic Research Papers, Britta Denise Hardesty et al., 'Plastics in the deep sea - A global estimate of the ocean floor reservoir', http://dx.doi.org/10.1016/j.dsr.2024.104266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4-04-09 ⓒ ScienceTimes

태그(Tag)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