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환경·에너지
연합뉴스
2023-06-05

"기후변화 따라 소나무·잣나무 자생지, 완전히 없어질 수도" 기후변화 경로별 분포 적합지 변화 연구…지금처럼 탄소배출 시 80% 감소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지금처럼 온실가스를 배출하면 소나무와 잣나무가 살만한 지역이 2051~2080년에는 80%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화석연료 사용량이 늘어나고 도시를 중심으로 한 무분별한 개발이 확대되면 국내에서 소나무 등이 자생할 수 있는 지역은 사실상 사라질 것으로 예상됐다.

4일 고려대 연구진이 한국기후변화학회 학술지 최신호에 게재한 'RCP와 SSP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한 우리나라 미래 수종 분포 예측 연구'를 보면 기후변화로 기온이 높아지고 강수량이 늘면서 산림생태계에 큰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진은 기후변화 시나리오로 RCP(대표농도경로)와 RCP에 사회경제 변화를 반영한 SSP(공통사회경제경로)를 모두 활용했다. SSP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제6차 평가보고서에 활용된 시나리오다.

'온실가스 저감 정책이 상당히 실현돼 2100년 온실가스 농도가 540ppm인 경우'인 RCP4.5 시나리오를 적용하면 소나무 분포 적합지는 2021~2050년 2만5천880㎢에서 2051~2080년 1만764㎢로 59%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잣나무 분포 적합지는 2021~2050년 1만3천651㎢에서 2051~2080년 3천681㎢로 73%, 활엽수로 탄소 흡수능력이 뛰어난 상수리나무와 신갈나무·굴참나무 분포 적합지는 같은 기간 61~69% 감소했다.

'지금처럼 온실가스를 배출해 2100년 온실가스 농도가 940ppm이 되는 경우'인 RCP8.5 시나리오를 적용했을 때는 2021~2050년과 2051~2080년 소나무 분포 적합지가 2만401㎢에서 4천965㎢로 76% 줄었다. 잣나무 분포 적합지는 1만1천505㎢에서 1천577㎢로 86% 줄어들고 상수리나무·신갈나무·굴참나무는 81~83% 작아졌다.

'재생에너지 기술이 발달해 화석연료 사용이 최소화되고 친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이루는 경우'(SSP1-2.6)에도 나무 분포 적합지가 줄어드는 것은 마찬가지였다.

이 시나리오를 적용했을 때 2021~2050년과 2051~2080년 소나무 분포 적합지는 1만5천126㎢에서 7천140㎢로 51%, 잣나무는 1만317㎢에서 4천684㎢로 55% 감소했다. 상수리나무·신갈나무·굴참나무 분포 적합지 감소율은 46~56%였다.

반면 '산업기술의 빠른 발전에 중심을 둬 화석연료를 많이 사용하고 도시를 위주로 한 무분별한 개발이 확대될 경우'(SSP5-8.5)에는 소나무 분포 적합지가 1만4천638㎢에서 834㎢로 94%나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잣나무 분포 적합지는 8천861㎢에서 78㎢로 99%가 사라질 것으로 예상됐고 상수리나무·신갈나무·굴참나무 분포 적합지도 97~99% 감소하면서 앞서 다른 나무와 같은 운명을 맞을 것으로 전망됐다.

연구진은 "모든 기후변화 시나리오에서 강원도 고산지대 부근에서만 분포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거나 분포 적합지가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저지대에서 고지대로 이동하리라 예측됐으며 크게는 적합지가 대부분 사라지는 것으로 확인됐다"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 연구는 기후인자만으로 서식 적합지 변화를 예측해 토양의 특성과 각 나무가 지닌 환경적응력 등을 고려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진은 인간의 노력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 기후변화가 가장 적게 나타나는 SSP1-2.6 시나리오에서도 나무들의 분포 적합지가 줄어들지만, 온실가스를 지금처럼 배출하는 경우(RCP8.5)보다는 감소율이 낮다면서 "기후변화 대응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3-06-05 ⓒ ScienceTimes

태그(Tag)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