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특성화대학이 공동 기술지주회사를 설립해 연구성과의 사업화에 나선다. 미래창조과학부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광주과학기술원(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 등 4개 과기특성화대학이 공동기술지주회사 설립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4개 대학은 내년 상반기 중 ‘과기특성화대학 연구성과사업화 전문회사’(가칭)를 설립하고 이 전문회사의 자회사 형태로 기술벤처를 세워 대학이 보유한 우수 연구성과의 사업화를 추진한다.
이는 대학들이 연구개발(R&D)을 통해 우수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나 기술료 수입이나 연구개발생산성이 연구비에 비해 현저히 적다는 비판에 따른 것이다. 현재 과기특성화대학의 연간 총 연구비는 3천800억원 규모이나 기술료 수입은 66억원 수준이다.
공동기술지주회사의 초기 출자금은 140억원으로, 각 대학이 분담해 5년간 순차적으로 출자할 계획이다. 출자금은 기술벤처의 직접 투자금으로 활용된다.
대학들은 공동기술지주회사를 통해 기술벤처의 전문적인 보육과 인수합병(M&A), 기업공개(IPO)까지 지원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지주회사를 대학의 R&D 성과를 사업화하는 지렛대 역할을 하도록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미래부 임승철 연구공동체지원과장은 “과기특성화대학들이 공동기술지주회사를 설립하면 자금이나 인력 운영 등의 측면에서 규모의 경제를 통해 경영 안정성을 꾀할 수 있고 각 대학이 강점을 가진 기술을 융·복합해 대형 기술사업화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미래부와 과기특성화대학은 운영 중인 공동기술지주회사 설립위원회를 통해 연내 설립방안을 확정하고 내년 1월 최고경영자(CEO) 선정을 거쳐 3월 중 설립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 연합뉴스 제공
- 저작권자 2013-10-29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