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347년부터 흑사병(黑死病, Black Death)이 유럽 일대를 휩쓸었다. 사망률이 매우 높아 흑사병이 전염된 도시에서는 인구의 절반 또는 그 이상이 사망했다. 1350년까지 유럽 인구의 3분의 1이 줄어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후에도 흑사병은 계속 퍼져나갔다. 1354년까지 유럽 인구의 절반이 줄어들었다. 궁금했던 것은 이처럼 무서운 흑사병 균이 어떤 경로를 통해 전해졌는지 그 경로였다. 그동안 오리무중에 싸여 있었지만 최근 과학자들을 통해 그 비밀이 밝혀지고 있다.
26일 ‘사이언스’ 지에 따르면 이달 초 미국 플로리다 주 올랜도 시에서 미국 고고학회 학술발표회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 과학자들은 당시 유럽에 수 세기 동안 흑사병균이 잠복해있었으며, 아시아 등 또 다른 지역으로 균을 전파할 위험성을 안고 있었다고 말했다.
흑사병균, 수 세기 동안 유럽 지역에 잠복
흑사병균인 페스트의 확산 경로를 분석한 사람은 막스 플랑크 연구소의 유전공학자 요하네스 크라우스 (Johannes Krause) 박사다. 그는 인류역사를 규명하기 위해 유전자 분석 등의 연구를 진행해왔다.
14세기 중엽 유럽에 창궐해 유럽 인구 절반 가량을 죽게한 흑사병균 여시니아 페스트(Yersinia pestis) 바이러스. 과학자들은 DNA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이 흑사병균이 서유럽에서 등장해 세계 전역으로 퍼져나갔다고 주장하고 있다. ⓒ Wikipedia
논문 내용은 중세 흑사병으로 인해 사망한 인간 뼈에서 발견된 병원균 DNA를 분석한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이번 연구 결과 흑사병이 창궐한 14세기 이후에도 수백 년 동안 유럽에 병균이 살아남아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독일 지역에서 보존되고 있는 유골 대상의 DNA 분석에서 14세기 이후 적어도 3세기 이상 페스트균이 잠복해 있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주장한 독일 뮌헨 대학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올해 1월 막스프랑크 연구소 기르스텐 보스(Kirsten Bos) 박사 연구팀이 DNA 분석을 통해 발표한 내용, 즉 1722년 프랑스 마르세이유에서 흑사병이 발생했다는 연구 결과도 페스트균의 유럽 잠복설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크라우스 박사는 “흑사병이 창궐한 14세기 이후 수백년 동안 유럽 곳곳에 페스트균이 잠복해 있었다는 사실을 확신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일부 역사가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흑사병이 아시아 지역으로부터 반복해 유입됐다는 주장 역시 신빙성이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곧 서적으로 재편집돼 출판될 예정이다. 주 필자는 마리아 스퓌루(Maria Spyrou)이다. 흑사병과 관련된 사안은 큰 피해가 있었던 유럽 지역에서 아직도 민감한 반응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주제다.
유골을 대상으로 한 DNA 분석에서 연구팀은 러시아 볼가 강가의 볼가, 스페인의 바르셀로나, 영국 런던에 남아있는 흑사병 희생자들의 시신들을 대상으로 유전자를 분석했다. 그 결과 시신 모두가 여시니아 페스트(Yersinia pestis) 균에 의해 희생된 것으로 밝혀졌다.
유럽에서 시작돼 중국, 아프리카로 퍼져나가
이 페스트 균은 주로 쥐벼룩에 의해 전염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온혈동물에 기생하여 출혈성 패혈증을 일으킨다. 열이 높이 오르고, 임파선이 부풀어 오르며, 피부에 검은 반점이 생기기 때문에 사람들은 이를 흑사병이라고 불렀다.
놀라운 것은 당시 유럽 지역에서 확산되고 있던 이 흑사병균이 돌연변이를 일으키면서 동쪽으로 나아가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크라우스 박사는 서유럽에서 발생한 흑사병이 아시아 지역으로 퍼져나갔다고 말했다.
연구에 공동 참여한 머서 대학의 고고학자 에릭 클링엘호퍼(Eric Klingelhofer) 박사는 “이렇게 퍼져나간 흑사병균이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19세기 중국, 오늘날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에서 발생하고 있는 흑사병의 원인이 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지난 2014년 8월 아프리카 동부의 섬나라 마다가스카르 소아마하타마나에서 처음 발병한 페스트는 16개 지역으로 확산됐으며 119명이 감염돼 그중 47명이 숨졌다. 수도 안타나나리보에서도 2명의 감염자가 발생해 한 명이 사망한 바 있다.
한편 페스트 균이 아시아 지역에서 유럽으로 전파됐다는 주장은 지지를 얻지 못하고 있는 중이다. 독일연방 미생물연구소의 홀게르 숄츠(Holger Scholz) 박사는 “특히 중국으로부터 페스트가 전파됐다는 주장은 신빙성이 없는 주장”이라고 말했다.
현재 크라우스 박사 연구팀은 서유럽에서부터 시작한 흑사병균이 어떤 경로를 통해 퍼져나갔는지를 추적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1348~1350년까지 영국 런던에서 발생한 흑사병이 스페인 바르셀로나, 러시아 지역으로 확산됐던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러시아의 경우 1360년대 초부터 1360년까지 흑사병으로 사망한 시신들이 대거 발견되고 있다. 연구팀은 19세기 말에 중국에서 발생한 흑사병과 서유럽에서 시작된 흑사병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당시 중국 윈난성에서 발생한 흑사병은 중국 전역으로 확산됐고 인구 30% 이상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지역별로 흑사병 환자 발생 시기를 확인한 후 어디에서 흑사병이 처음 시작됐으며, 어느 방향으로 확산됐는지 확인하고 있는데 따른 결론이다.
그동안 많은 역사학자들은 흑사병이 아시아에서 시작돼 유럽으로 전파된 것으로 판단해왔다. 그러나 이번 연구 결과로 유럽 지역에서 발생해 아시아, 아프리카 지역으로 퍼져나간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역사 기록에 변화가 예상된다.
(16987)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올해 공공 분야의 소프트웨어·정보통신기술(ICT) 장비·정보보호 사업 규모가 작년보다 2.7% 증가한 6조2천239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소프트웨어 구축 사업 예산이 4조5천406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상용 소프트웨어 구매에 3천605억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컴퓨팅, 네트워크, 방송 장비 등 ICT 장비 구매 비용은 1조 3천227억원으로 나타났다. (10)
/ 36개국이 한국에 모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술 협력방안 도출에 머리를 맞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유엔기후변화협약 기술메커니즘 이사회가 24일 개막했다고 밝혔다. 이사회는 오는 29일까지 인천 송도에서 계속된다. 유엔기후변화협약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1992년 설립된 협약이다. 총 198개국이 참여하는 규범으로, 매년 당사국총회를 열어 주요 사항을 결정한다. 기후메커니즘은 2010년 당사국총회에서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과학기술 중요성에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혈관이 막혀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는 응급 질환인 망막혈관폐쇄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실마리를 발견했다고 23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화학과 조재흥 교수팀은 서울아산병원 안과 이준엽 교수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백무현 교수팀과 망막혈관폐쇄질환의 새로운 치료법을 찾기 위한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공동연구진은 폐쇄된 혈관을 확장해 효과적으로 흐름을 복구하는 ‘철-일산화질소 복합체’ 개발에 성공했다 일산화질소는
/ 충남 천안아산 KTX역세권 연구개발(R&D) 집적지구 1호 사업인 충남지식산업센터가 23일 준공됐다. 센터는 천안시 서북구 불당동 4천510㎡ 부지에 지하 1층·지상 6층 규모(연면적 1만2천471㎡)로 건립됐다. 입주대상은 지식산업, 정보통신, 제조업과 관련 지원시설 등이다. 반도체 장비 제조,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개발, 산업용 필터 등 12개 기업이 이달 중 입주할 예정이다. 충남도는 지식산업센터를 통해 일자리
/ 한국과학기술원(KAIST) 부설 인공지능(AI) 바이오 영재고가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에 들어선다. 개교 목표 시기는 2027년 3월이다. 충북도는 23일 한국과학기술원이 희망하는 학교 부지요건 등에 대한 의견을 듣고 도교육청과 함께 숙고한 끝에 오송읍을 건립 부지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부지 선정의 결정적 요건은 향후 설립될 한국과학기술원 오송캠퍼스와의 접근성, 핵심인력 양성의 용이성 등이었다. 오송에는 첨단의료제품
/ 교육부는 교원의 인공지능(AI)·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2023년 아이에답(AIEDAP) 사업 착수보고회’를 23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연다고 밝혔다. 아이에답은 민·관·학 디지털 전문가가 현직 교원과 예비 교원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난해 시작됐다. 올해는 지역 여건에 맞는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권역별 사업지원단을 꾸리고, 교육 현장에서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수업을
/ 강원 양구군은 치매 환자, 독거노인 등 돌봄이 필요한 고령자를 대상으로 인공지능(AI) 말벗 인형 ‘천사친구 효돌·효순이’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23일 밝혔다. 군은 치매안심센터에 등록한 맞춤형 사례관리 대상자 중 우울 척도가 높은 10명에게 오는 12월까지 말벗 인형을 지원한다. 이는 정서·인지 정도가 다소 낮은 어르신을 돕는 인형 모양의 로봇이다. 일상 중 말벗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