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어러블 기기·사물인터넷(IoT) 응용분야 해결책될 것"
아주 미미한 전력으로도 작동하는 전자소자를 구현할 수 있는 개념이 나왔다. 실제 기술로 개발돼 생활에 적용되면, 배터리 충전이나 교체가 필요 없게 될 전망이다.
27일 아로키아 나탄 영국 케임브리지대 교수팀에 따르면 전원이 거의 꺼진 것과 다름없는, 수십pW(피코와트·1pW는 1조 분의 1W)의 전력에서도 동작하는 트랜지스터의 개념과 이를 위한 소자구조를 세계 최초로 제안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 21일 자에 실렸다.
트랜지스터는 전기적인 신호를 증폭하거나 차단·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스위치’라고 할 수 있다. 연구진은 전원이 거의 꺼진 상태에서도 전기신호를 증폭할 수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구조를 설계했다. 이는 전류를 차단하는 능력이 기존 소재보다 100배 뛰어난 산화물 반도체로 만들 수 있다.
사이언스 지는 이번 연구 결과를 ‘거의 꺼진 트랜지스터'(Almost-off transistors)라고 소개했다. 이 연구원은 “‘거의 꺼졌다’라는 것은 노트북의 수면모드(sleep-mode)를 떠올리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며 “수면모드에서 전력소모는 최소화되지만, 완전히 꺼져있지 않아 최소한의 동작을 느리게 수행하는데, 이 이치와 같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가 웨어러블 전자시스템 및 사물인터넷(IoT) 응용분야의 유망한 해결책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분야에서는 전력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지만, 빠른 속도의 신호처리를 요구하지는 않는다.
이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반의 초저전력 회로설계분야를 개척하기 위한 새로운 시작점”이라며 “앞으로 이를 더 발전시키고 개선해나갈 전 세계의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가 기대된다”고 전했다.
(1758)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이광형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은 8일 "성공 가능성이 80% 이상으로 높은 연구에는 연구비를 지원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에너지화학공학부 김건태 교수 연구팀이 수소이온(양성자)이 얼마나 빠르게 이중층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물질을 통과하는지를 알려 주는 정량 지표를 최초로 계산했다고 8일 밝혔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8일 서울 한국광고문화회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블록체인법학회·한국정보보호학회와 함께 '블록체인으로 혁신하는 디지털 경제' 정책 콘퍼런스 개최
이에 따라 구미시는 국비 10억원을 확보하고 총사업비 20억원으로 2022년까지 양포도서관 3층에 놀이·체험 중심의 어린이 과학체험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는 8일 제149회 임시이사회를 열어 한국천문연구원 신임 원장에 박영득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을 임명했다고 밝혔다.
3조5천억원 매출에 종사자 58만명…음식배달 매출액이 가장 많아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8일 윤성로 위원장 주재로 유통 산업의 의견을 듣기 위해 간담회를 열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