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연 편집장] 우리나라 국민들은과학기술자들이 직업별 사회기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공계 기피현상의 가장 큰 원인으로 의사, 변호사 등 전문직에 대한 사회적 선호가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같은 사실은 한국과학문화재단이 지난 3월11일부터 25일까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만 18세이상 남녀 1천7명을 대상으로 개별면접 조사를 통해 실시한 `과학기술 분야 국민이해도 조사'에서 밝혀졌다.
이번 조사에서 이공계 기피원인들 가운데 `전문직에 대한 사회적 선호'는 조사대상자의 86%가 공감한다고 응답, 다른 원인들보다 높은 공감을 얻었다. 이어 `취업의 어려움 때문' 과 ‘열악한 사회적 대우 때문’ 항목에 대해서는 각각 82.2%, 78%가 공감을 표시했다.
반면 지난 2002년 조사 때는 81.6%로 가장 높았던 ‘수학.과학 공부의 어려움 때문’이라는 항목에 대한 공감도는 이번 조사에서는 4위(73.6%)로 떨어졌다. 반면 전문직에 대한 선호도 때문이라는 응답은 81.2%로 2위였다가 이번에 1위로 올라섰다.
취업의 어려움 때문이라는 항목은 68.2%로 3위였다가 이번에 2위로 올라섰으며 열악한 사회적 대우 때문이라는 항목은 67.3%로 4위였다가 3위로 높아졌다.
직업별 사회발전 기여도는 과학자가 94.7%의 동의를 얻어 의사(91.0%), 교사.교수(85.0%), 군인(84.2%) 등 다른 직업에 비해 높은 점수를 얻었다.
초.중.고교 과학교육에 대해서는 잘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는 응답이 67.4%로 부정적인 평가가 많았고 과학교육 발전에 가장 필요한 것은 과학활동 지원(30.9%)을 꼽았다. 그다음이 과학교육 시설 확충(17.9%), 이공계 출신자에 대한 사회적 대우개선(17.1%)의 순으로 지적했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 가운데 과학기술에 대해 관심이 있고 잘 안다는 주목층은 6%, 관심을 갖고 있다는 관심층은 30.2%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 2002년 조사때 보다 주목층 (4%) 관심층(25%)보다 약간 높아졌다. 그러나 미국 국민의 과학기술 관심 및 이해수준(주목층 10%, 관심층 48%) 보다는 여전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과학기술에 대한 지식을 묻는 17개 문항에 대한 평균 정답률은 67.9%(정답수 11개)로 지난 2002년의 56.8%에 비해 크게 높아졌고 미국의 28.3%(정답수 6개) 비해서도 크게 높아 실질적인 우리국민의 과학상식 실력은 상당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응답자들은 90.5%는 ‘과학연구의 국가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을 하고 있으며, 89.1%는 ‘기초과학 연구가 경제, 기술 발전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또 과학기술 부총리제 등 최근 정부의 과학기술 분야 위상강화 노력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78.1%로 나타났지만, 과학연구 분야에 대한 국가예산이 적다고 생각한다는 응답 자는 66.5%에 그쳐 빈민층 구제(81%)나 노인문제(78.1%), 국민건강증진(74.3%)보다는 예산증액의 우선순위를 낮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국민 대다수는 아직 차세대 성장동력 육성사업이나 과학기술 중심사회 구축 등의 노력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여론조사 전문업체인 한국갤럽을 통해 실시됐으며 95%의 신뢰수준에 오차범위는 ±3.1%포인트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