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암 치료에서는 우리 몸의 면역력을 활용하는 면역치료요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런 최신 치료법을 동원해도 암이 치료하기 어려운 이유 중 하나는 인체 면역체계의 공격을 피할 수 있는 다양한 회피기제를 발전시켜 왔기 때문이다.
암의 면역 회피기제 가운데에는 골수 유래 억제 세포(MDSCs)로 불리는 한 면역세포도 포함된다. 최근 미국 로스웰 파크 암연구소 연구진은 이 MDSCs가 어떻게 암으로 하여금 면역체계의 공격을 피하도록 하는지를 밝혀내고, 그에 따라 암 면역치료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생의학 및 생명과학 저널 ‘이라이프’(eLife) 최근호에 게재됐다.

첨단 현미경으로 T임파구 활동 관찰
암 세포들은 골수 유래 억제 세포를 광범위하게 팽창시켜 여러 유형의 암환자들에 대한 예후를 잘 알 수 없게 만든다. 로스웰 파크 암연구소의 샤론 에반스(Sharon Evans) 교수(종양학 및 면역학)팀은 첨단 현미경으로 우리 몸의 면역체계 무기 가운데서도 암세포 전문킬러로 꼽히는 T임파구를 관찰했다.
연구팀은 이 현미경 관찰을 통해 골수 유래 억제세포들이 T임파구가 림프절에 들어가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암에 대한 면역반응을 무디게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림프절은 침입한 암세포에 대한 면역반응이 증강되는 중요한 곳이다.
골수 유래 억제세포들은 T임파구의 표면에서 L-selectin이라 불리는 분자를 제거해 이런 방해작용을 완수한다. L-selectin은 T임파구가 림프절로 들어가는 세포 간 여행의 필수요소다. 그 결과 암에 대한 방어적 면역작용은 심각하게 손상을 받는다.
골수 면역억제세포가 B임파구에도 방해공작
이번 연구에서 발견된 놀라운 사실 중 하나는 T세포가 림프절로 많이 들어가지 못 하도록 제한하기 위해 골수 유래 억제세포가 빠른 혈류 안에서도 T세포에 방해작용을 한다는 것이다.
골수 유래 억제세포의 이런 반체제적 행동은 비단 T임파구에만 그치지 않고 암세포에 대항해 방어 항체를 생성하는 B임파구에도 뻗친다. 암에서 B임파구가 골수 유래 억제세포의 타겟이 된다는 사실은 이번 연구에서 처음 밝혀졌다.
논문의 시니어 저자이기도 한 에반스 교수는 “이번 연구는 암 같은 전이성 질환이 몸에 퍼지는 것에 대항해 인체의 방어 기제를 강화하기 위한 새로운 치료 타겟을 제시해 준다”며, “연구에서 얻은 새로운 통찰들은 어떤 암 환자들이 T임파구 기반 면역치료에서 가장 많은 도움을 얻을 것인가 하는 시급한 의문을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논문 제1저자인 에이미 쿠( Amy Ku) 로스웰 파크 면역학과 박사과정생은 “면역 억제 골수세포들은 암에 반응하는 T임파구의 활동을 원거리에서 방해하는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에, 이번 연구는 ‘조직 안에 있는 세포 성분의 통상적인 프로파일링이 항상 암의 전체적인 그림을 제공하지는 않는다’는 중요한 메시지를 재확인해준다”고 강조했다.
- 김병희 객원기자
- kna@live.co.kr
- 저작권자 2017-01-02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