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성학자들에게 있어 2019년 8월 24일은 언짢은 날이다. 명왕성(Pluto) 때문.
13년 전인 2006년 국제천문연맹(IAU)은 새로운 행성분류법에 따라 명왕성을 행성이 아닌 왜소행성(dwarf planet)으로 분류했다.
왜소행성이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면서 구(球) 형태를 유지할 만큼 충분한 질량을 가지고 있지만 다른 행성의 위성이 아니고, 궤도 주변의 다른 천체들을 끌어들이지 못한 지구와 다른 행성을 말한다.
국제천문연맹(IAU)에서 명왕성의 태양계 9번째 행성 지위를 탈락시킨 지 13년째가 되는 8월 24일 기해 NASA 등의 천문학자들이 명왕성 복권을 위한 발언이 잇따르고 있다. 사진은 명왕성 데이터를 분석해 컬러화한 영상. ⓒNASA
IAU 결정에 다수의 천문학자들 불복
그러나 모든 천문학자가 IAU 결정에 승복한 것은 아니다.
특히 NASA(미 항공우주국)의 짐 브리덴스틴(Jim Bridenstine) 국장은 태양계 행성 그룹 안에 명왕성을 포함시키기 위해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중이다.
26일 과학 전문매체 ‘사이언스 얼러트(sciencealert)’에 따르면 그는 콜로라도 대학 볼더 캠퍼스에 있는 우주공학빌딩을 방문한 자리에서 “명왕성은 왜소행성이 아니라 명왕성”이라고 거듭 주장했다.
그동안 브리덴스틴 국장의 비공식 석상에서 이 같은 발언을 반복해왔다. 가볍게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는 즉흥적인 발언이었지만 뉴스를 통해 이 소식이 알려지면서 명왕성을 행성그룹에서 제외하는데 큰 역할을 한 행성학자들의 심기를 불편하게 하고 있다.
IAU 처사에 대한 불만이 제기될 때마다 다양한 이유를 들어 강력히 반박을 해왔지만 별다른 호응을 얻지 못했다. 이번의 경우도 유사한 경우다. 학계에서 별다른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2006년 IAU가 명왕성의 지위를 행성에서 왜소행성으로 격하하는 과정에서 지금과 같은 사태가 이미 예견됐었다.
IAU의 결정이 있기 전인 2005년 7월 29일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의 천문학자인 마이크 브라운(Mike Brown) 교수는 명왕성보다 큰 천체를 발견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천체에는 ‘2003 B313’이란 임시 명칭이 부여됐다.
문제는 이 천체가 당시 명왕성처럼 행성의 모습을 지니고 있으면서 질량의 크기가 27% 크다는 데 있었다. 사실상 태양계 행성 서열로 보면 명왕성보다 한 단계 앞선 9번째 행성이었다. 이런 결과는 천문학자들 사이에 행성에 대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논란을 매듭지어야 하는 입장에 서 있었던 IAU는 2006년 8월 24일 체코 프라하에서 정기총회를 열고 행성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의결한다. 새 기준에 따라 명왕성과 ‘2003 B313’은 왜소행성으로 분류됐다.
“명왕성과 다른 왜소행성들 구분해야”
이어 ‘2003 B313’을 발견한 마이크 브라운 교수는 IAU에 ‘2003 B313’에 그리스의 여신 ‘에리스(Eris)’란 이름을 붙여줄 것을 요청했고, 이 제안이 받아들여지게 된다.
브라운 교수가 다른 행성들처럼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여신 이름을 제안한 것은 이 왜소행성이 어느 때인가 다시 행성으로 복권될 것을 예상한데 따른 것이다. 이런 희망을 가질 수 있는 만큼 IAU 결정에 변화가 있을 수 있음을 기대했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많은 천문학자들이 문제를 제기할 만큼 당시 IAU 결정은 많은 논란의 소지를 안고 있었다.
당시 IAU를 당혹게 하고 있었던 것은 해왕성 바깥에서 태양의 주위를 도는 200여 개의 작은 천체들의 집합체 카이퍼 벨트(Kuiper Belt) 가까운 곳에 명왕성이 있었기 때문.
당시 천문학자들은 명왕성이 카이퍼 띠를 끌어들일 만큼 충분한 중력을 지니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명왕성보다 큰 에리스가 발견되면서 명왕성에 대한 불신이 팽배했다.
명왕성을 기존의 행성 그룹에 포함시킬 경우 카이퍼 벨트 내 많은 천체들을 어떻게 정의해야 할지 곤혹한 상황이었다. IAU 입장에서 명왕성을 우대하고, 다른 천체들을 쓰레기 취급하기 힘들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그러나 새 기준과 정기총회를 통해 명왕성의 지위가 격하된 이후 새로운 발견이 이어졌다. 지난 2011년 에리스에 대한 새로운 측정에 의해 2600km에 달했던 지름이 명왕성의 지름인 2306km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 2326km로 줄어들었다.
궤도상으로 볼 때 에리스는 명왕성보다 태양계 외곽을 훨씬 더 많이 돌고 있기 때문에 명왕성의 격을 행성으로 다시 회복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끊이지 않았다.
더구나 지난해 지구와 명왕성의 거리보다 3.5배 먼 곳에서 태양을 돌고 있는 왜소행성 ‘2018VG18(별명 Farout)’가 발견되면서 명왕성과 ‘파아웃(Farout)’을 동일시 해야 하느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명왕성의 지위를 격하시킬 당시 표결에 참여한 천문학자가 9000명의 전체 회원 중 424명에 불과했다는 점 역시 논란의 쟁점이 되고 있다. 이미 수 백 명의 천문학자들이 표결 결과 반발해 재표결을 탄원하고 있는 중이다.
NASA의 뉴 호라이즌 미션 담당자인 행성학자 알랜 스턴(Alan Stern) 박사는 2006년 IAU 결정에 대해 끊임없이 실망감을 표명해온 인물이다.
그는 ‘사이언스 얼러트’와의 인터뷰를 통해 “IAU 결정이 설득력이 없는 데다 과학적으로 모순을 제기하면서 큰 오점을 남겼다.”고 말했다. 이에 그는 “명왕성의 지위를 격하시킨 결정에 대해 승복할 수 없다.”며 논란을 이어갈 것임을 시사했다.
(8101)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올해 공공 분야의 소프트웨어·정보통신기술(ICT) 장비·정보보호 사업 규모가 작년보다 2.7% 증가한 6조2천239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소프트웨어 구축 사업 예산이 4조5천406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상용 소프트웨어 구매에 3천605억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컴퓨팅, 네트워크, 방송 장비 등 ICT 장비 구매 비용은 1조 3천227억원으로 나타났다. (10)
/ 36개국이 한국에 모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술 협력방안 도출에 머리를 맞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유엔기후변화협약 기술메커니즘 이사회가 24일 개막했다고 밝혔다. 이사회는 오는 29일까지 인천 송도에서 계속된다. 유엔기후변화협약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1992년 설립된 협약이다. 총 198개국이 참여하는 규범으로, 매년 당사국총회를 열어 주요 사항을 결정한다. 기후메커니즘은 2010년 당사국총회에서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과학기술 중요성에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혈관이 막혀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는 응급 질환인 망막혈관폐쇄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실마리를 발견했다고 23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화학과 조재흥 교수팀은 서울아산병원 안과 이준엽 교수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백무현 교수팀과 망막혈관폐쇄질환의 새로운 치료법을 찾기 위한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공동연구진은 폐쇄된 혈관을 확장해 효과적으로 흐름을 복구하는 ‘철-일산화질소 복합체’ 개발에 성공했다 일산화질소는
/ 충남 천안아산 KTX역세권 연구개발(R&D) 집적지구 1호 사업인 충남지식산업센터가 23일 준공됐다. 센터는 천안시 서북구 불당동 4천510㎡ 부지에 지하 1층·지상 6층 규모(연면적 1만2천471㎡)로 건립됐다. 입주대상은 지식산업, 정보통신, 제조업과 관련 지원시설 등이다. 반도체 장비 제조,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개발, 산업용 필터 등 12개 기업이 이달 중 입주할 예정이다. 충남도는 지식산업센터를 통해 일자리
/ 한국과학기술원(KAIST) 부설 인공지능(AI) 바이오 영재고가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에 들어선다. 개교 목표 시기는 2027년 3월이다. 충북도는 23일 한국과학기술원이 희망하는 학교 부지요건 등에 대한 의견을 듣고 도교육청과 함께 숙고한 끝에 오송읍을 건립 부지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부지 선정의 결정적 요건은 향후 설립될 한국과학기술원 오송캠퍼스와의 접근성, 핵심인력 양성의 용이성 등이었다. 오송에는 첨단의료제품
/ 교육부는 교원의 인공지능(AI)·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2023년 아이에답(AIEDAP) 사업 착수보고회’를 23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연다고 밝혔다. 아이에답은 민·관·학 디지털 전문가가 현직 교원과 예비 교원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난해 시작됐다. 올해는 지역 여건에 맞는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권역별 사업지원단을 꾸리고, 교육 현장에서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수업을
/ 강원 양구군은 치매 환자, 독거노인 등 돌봄이 필요한 고령자를 대상으로 인공지능(AI) 말벗 인형 ‘천사친구 효돌·효순이’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23일 밝혔다. 군은 치매안심센터에 등록한 맞춤형 사례관리 대상자 중 우울 척도가 높은 10명에게 오는 12월까지 말벗 인형을 지원한다. 이는 정서·인지 정도가 다소 낮은 어르신을 돕는 인형 모양의 로봇이다. 일상 중 말벗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