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산 폭발을 일으키는 용융 암석은 지구의 지각에 1000년 동안 저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를 이용하면 화산 위험관리와 함께 화산 폭발 시점을 좀 더 잘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가 나왔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연구팀은 ‘결정체 시계(crystal clocks)’로 알려진 화산 광물을 이용해 마그마가 화산 시스템의 가장 깊은 곳에 얼마나 오랫동안 저장될 수 있는지를 계산했다.
이는 모호(Moho)라 불리는 지구 맨틀과 지각 경계 근처에서의 마그마 저장 시간을 처음으로 계산해낸 추정치다. 이 연구는 과학저널 ‘사이언스’(Science) 19일 자에 발표됐다.
논문 제1저자인 케임브리지대 지구과학부 유안 머치(Euan Mutch) 박사는 “이 연구는 지리학 탐사작업과 같았다”고 말했다.
머치 박사는 “화산 분출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재구성하기 위해 암석 속 물질들을 연구함으로써 마그마가 어떤 종류의 조건 아래 저장돼 있는지를 알 수 있으나, 화산 시스템의 더욱 깊은 곳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는 알기가 어렵다”고 밝혔다.
지각과 맨틀 경계에서 마그마가 저장되는 시간은 지표로 올라오는 시간을 계산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연구가 나왔다. 1983년 하와이 화산 폭발 당시 용암이 솟아오르는 모습. ⓒ Wikimedia / J.D. Griggs
1만 년 전 일어난 아이슬란드 화산 분출 연구
논문 공저자인 케임브리지대 지구과학부의 존 매클레넌(John Maclennan) 박사는 “마그마가 지구 지각에 얼마나 오랫동안 저장될 수 있는가를 알 수 있다면 화산 폭발 촉발 과정 모델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매클레넌 박사는 “마그마가 솟아올라와 저장되는 속도는 화산지역 지각에 있는 열 및 화학물질 전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것은 지열과 화산 가스의 대기 방출에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북아이슬란드에 있는 테이스타레이키르 화산의 보르가라운(Borgarhraun) 분출을 연구했다. 이 화산 분출은 약 1만 년 전에 일어났고, 마그마 등이 Moho로부터 직접 솟아올라왔다.
이 경계 영역은 용융물이 맨틀로부터 지표를 향해 올라왔기 때문에 용융물 처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수직 단면으로 본 화산 폭발 가상도. 1.Large magma chamber 2.Bedrock 3.Conduit(pipe) 4.Base 5.Sill 6.Dike 7.Layers of ash emitted by the volcano 8.Flank 9.Layers of lava emitted by the volcano 10.Throat 11.Parasitic cone 12.Lava flow 13.Vent 14.Crater 15.Ash cloud ⓒ Wikimedia / MesserWoland
결정체 원소 확산 속도로 마그마 저장 기간 확인
연구팀은 마그마가 경계 영역에 얼마나 오랫동안 저장됐는지를 계산하기 위해 첨정석(spinel)으로 알려진, 작은 스톱워치나 결정체 시계 같은 화산 광물을 사용했다.
연구팀은 결정체 시계 방법을 이용해 마그마가 저장되는 동안 첨정석 결정 구성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바뀌는지를 모델링 할 수 있었다.
이들은 특히 결정체 안에 들어있는 알루미늄과 크롬의 확산 속도와 함께 이 원소들이 어떻게 ‘구역화(zoned)’되는지를 살펴봤다.
매클레넌 박사는 “이런 원소의 확산은 결정체가 주변 환경과 화학적 평형을 이루도록 작용한다”고 말하고, “이 원소들이 얼마나 빨리 확산되는지를 알면 광물들이 마그마에 얼마나 오랫동안 저장됐는지를 알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알루미늄과 크롬이 결정체 안에서 어떻게 구역화돼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 패턴이 마그마 저장시간에 대한 흥미롭고 새로운 사실을 말해준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이번 연구에서는 마그마 상승 속도와 이산화탄소 배출 사이에 연관성이 있음이 밝혀졌다. 2017년 페루의 사반카야 화산 분출 모습. ⓒ Wikimedia / Galeria del Ministerio de Defensa del Perú
“화산은 많은 분출구 가진 배관 시스템”
확산 속도는 이전의 실험실에서 수행한 실험 결과를 사용해 추정했다. 연구팀은 이어 유한 요소 모델링과 베이시안 중첩 샘플링(Bayesian nested sampling)을 결합한 새로운 방법을 이용해 저장 기간을 추산했다.
머치 박사는 “우리는 이제 마그마가 얼마나 깊은 곳에서 올라왔는지에 대해 상당히 훌륭한 추정치를 갖게 됐다”고 말하고, “지금까지 누구도 깊은 지각으로부터 이런 종류의 시간 정보를 얻지 못했다”고 밝혔다.
마그마 저장시간 계산은 또한 마그마가 어떻게 지표로 올라오는지를 알아내는 데도 도움을 주었다.
연구팀은, 화산이란 아래에 커다란 마그마 저장 공간이 있는 고전적인 화산 모델 대신 마그마가 빠르게 지표로 이동하는 수많은 작은 ‘분출구(spouts)’를 가진 화산 ‘배관 시스템(plumbing system)’에 가깝다고 말한다.
이들은 최근 ‘네이처 지구과학’(Nature Geoscience)에 발표한 두 번째 논문에서 마그마의 상승 속도와, 화산 모니터링에 영향을 미치는 이산화탄소 배출 사이에 연관성이 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화산 분출이 있기 며칠 전부터 충분한 양의 이산화탄소가 마그마에서 가스로 옮겨가는 것을 관찰했다. 이는 이산화탄소 모니터링이 아이슬란드에서 화산 분출의 전조를 밝히는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음을 가리킨다.
(9568)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올해 공공 분야의 소프트웨어·정보통신기술(ICT) 장비·정보보호 사업 규모가 작년보다 2.7% 증가한 6조2천239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소프트웨어 구축 사업 예산이 4조5천406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상용 소프트웨어 구매에 3천605억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컴퓨팅, 네트워크, 방송 장비 등 ICT 장비 구매 비용은 1조 3천227억원으로 나타났다. (8)
/ 36개국이 한국에 모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술 협력방안 도출에 머리를 맞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유엔기후변화협약 기술메커니즘 이사회가 24일 개막했다고 밝혔다. 이사회는 오는 29일까지 인천 송도에서 계속된다. 유엔기후변화협약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1992년 설립된 협약이다. 총 198개국이 참여하는 규범으로, 매년 당사국총회를 열어 주요 사항을 결정한다. 기후메커니즘은 2010년 당사국총회에서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과학기술 중요성에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혈관이 막혀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는 응급 질환인 망막혈관폐쇄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실마리를 발견했다고 23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화학과 조재흥 교수팀은 서울아산병원 안과 이준엽 교수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백무현 교수팀과 망막혈관폐쇄질환의 새로운 치료법을 찾기 위한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공동연구진은 폐쇄된 혈관을 확장해 효과적으로 흐름을 복구하는 ‘철-일산화질소 복합체’ 개발에 성공했다 일산화질소는
/ 충남 천안아산 KTX역세권 연구개발(R&D) 집적지구 1호 사업인 충남지식산업센터가 23일 준공됐다. 센터는 천안시 서북구 불당동 4천510㎡ 부지에 지하 1층·지상 6층 규모(연면적 1만2천471㎡)로 건립됐다. 입주대상은 지식산업, 정보통신, 제조업과 관련 지원시설 등이다. 반도체 장비 제조,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개발, 산업용 필터 등 12개 기업이 이달 중 입주할 예정이다. 충남도는 지식산업센터를 통해 일자리
/ 한국과학기술원(KAIST) 부설 인공지능(AI) 바이오 영재고가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에 들어선다. 개교 목표 시기는 2027년 3월이다. 충북도는 23일 한국과학기술원이 희망하는 학교 부지요건 등에 대한 의견을 듣고 도교육청과 함께 숙고한 끝에 오송읍을 건립 부지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부지 선정의 결정적 요건은 향후 설립될 한국과학기술원 오송캠퍼스와의 접근성, 핵심인력 양성의 용이성 등이었다. 오송에는 첨단의료제품
/ 교육부는 교원의 인공지능(AI)·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2023년 아이에답(AIEDAP) 사업 착수보고회’를 23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연다고 밝혔다. 아이에답은 민·관·학 디지털 전문가가 현직 교원과 예비 교원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난해 시작됐다. 올해는 지역 여건에 맞는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권역별 사업지원단을 꾸리고, 교육 현장에서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수업을
/ 강원 양구군은 치매 환자, 독거노인 등 돌봄이 필요한 고령자를 대상으로 인공지능(AI) 말벗 인형 ‘천사친구 효돌·효순이’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23일 밝혔다. 군은 치매안심센터에 등록한 맞춤형 사례관리 대상자 중 우울 척도가 높은 10명에게 오는 12월까지 말벗 인형을 지원한다. 이는 정서·인지 정도가 다소 낮은 어르신을 돕는 인형 모양의 로봇이다. 일상 중 말벗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