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의 위상을 조작해 배율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기존 렌즈 1천분의 1 수준 두께를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나노구조물리 연구단 김튼튼 연구위원이 민범기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계공학과 교수팀·장슈앙 영국 버밍엄대학 교수팀과 공동 연구로 메타표면과 그래핀을 접합한 그래핀 메타렌즈를 제작했다고 27일 밝혔다.
카메라 렌즈는 빛을 모아 상을 만들어 피사체를 재현한다.
이 과정에서 상이 흐려지거나 비뚤어지는 등의 ‘수차'(收差)가 생길 수 있다
그래핀 메타렌즈는 유(U)형 금박 광학안테나를 촘촘하게 배열한 메타표면으로 만든다.
메타표면은 빛의 위상을 통해 굴절방향·편광을 조절할 수 있는 인공 구조다.
기존 3차원 메타물질보다 전달 손실이 낮아 초박형 카메라나 현미경 등 적용 가능성에 대해 주목받고 있다.
그림(a) 왼쪽은 U형 금박 광학안테나(a=76㎛, b=51㎛, w=19㎛)이고 오른쪽은 연구진이 개발한 그래핀 메타표면 구조도. 그림(b)는 서로 다른 기하학적 위상 차이 때문에 좌편광 입사광이 우편광 투과광으로 바뀌는 모습을 표현했다. 광학안테나 방향을 바꿔 선형 위상 차이를 갖는 메타표면을 설계하면 빛의 굴절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 기초과학연구원
연구팀은 테라파 주파수를 이용하도록 그래핀 메타렌즈를 제작했다.
그래핀 메타렌즈를 투과해 모인 빛의 세기를 전압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제어하는 것도 성공했다.
빛의 세기를 조절하는 조리개 역할을 하는 것은 얇은 그래핀이다. 평상시엔 투명하다가 흐르는 전압 크기가 커질수록 불투명해지는 특성을 이용했다.
김튼튼 IBS 연구위원은 “상용 테라파 렌즈 두께가 ㎝급이지만, 이번에 구현한 그래핀 메타렌즈는 25㎛(마이크로미터) 두께”라며 “그래핀과 결합해 비교적 간단한 전압조절 빛의 세기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만큼 초소형 광학기기 분야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 성과를 담은 논문은 광학 분야 전문 학술지 ‘어드밴스드 옵티컬 머티리얼즈(Advanced Optical Materials)’ 20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3538)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사자의 공격에 맞서 초식동물이 군집행동을 하는 것과 같은 집단지능의 비밀을 뇌과학적으로 밝혀내기 위한 새로운 군집 뇌연구 시스템을 개발했다.
부산환경공단은 음식물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화 가스를 활용해 올해부터 전기를 생산한다고 14일 밝혔다.
친환경차 분류 기준이 현실에 맞게 정비된다. 현재 생산되지 않는 저속전기자동차 대신 초소형전기자동차 항목이 신설되고, 1회 충전 주행거리와 최고속도 기준은 최신 기술 수준에 부합하도록 상향된다.
2027년 레벨4 수준의 완전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총 1조원 규모의 범부처 자율주행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국가핵심기술에 반도체 분야 기술 2개가 새로 지정된다. 기술 보유기관이 지켜야 하는 핵심기술 보호지침도 구체적으로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공공혁신플랫폼 구축 사업에 54억원을 투입한다고 14일 밝혔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측정 정확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