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난제 등 혁신 기술 개발 방안 논의 ‘융합, 한계를 돌파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제로 지난 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 김순강 객원기자 2019년 12월 05일
-
심포지엄서 글로벌 천연물 소재 혁신 전략 논의 천연물 소재가 질병의 예방과 극복 같은 인류 복지뿐만 아니라 새로운 경제성장과...
- 김순강 객원기자 2019년 11월 20일
-
[인터뷰] 남호성 고려대학교 교수 ‘음성 공학자’로서 독보적 영역을 구축하는 한편 경험에 근거한 자신만의...
- 김청한 객원기자 2019년 10월 04일
-
대전시, 4차 산업혁명 전문가 포럼 개최 대전광역시가 ‘플라잉카가 대전 하늘을 누비려면?’이라는 주제로 전문가 포럼을 개최했다. 9일 카이스트에서 진행된 이번 포럼은 대전시의 4차 산업혁명 정책을 진단하고 향후 정책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 정현섭 객원기자 2019년 07월 10일
-
공공디자인포럼, 과학의 생활화 전략·비전 모색 지난 25일 서울 밤부씨어터에서는 ‘과학체험의 현황과 미래 실천 방향’이라는 주제로 공공디자인 포럼이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과학의 생활화, 생활의 과학화를 향한 새로운 전략과 비전’에 대해 발표한 김경훈 학회장은 “딱딱한 자료 중심의 발제가 아닌, 40여 년간 해당 분야에서 일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주제를 풀어가겠다”라며 이야기를 풀어 놓았다.
- 김청한 객원기자 2019년 05월 27일
-
생분해성 스텐트 사용…부작용 줄여 금 대표가 개발한 '마이크로 버블 스텐트'는 기존의 부작용을 극복하기 위해 생분해성 고분자로 스텐트를 만들고, 소화제로 활용되는 탄산칼슘을 표면에 코팅했다. 탄산칼슘이 산성 용액을 만나면 이산화탄소 버블을 발생시키는 성질을 이용한 셈이다.
- 강한솔 객원기자 2019년 05월 03일
-
미래융합포럼, 미래 유망 융합기술 10 발표 “전기차가 서울과 부산을 왕복하고도 배터리 잔여량이 많이 남아 있어 충전을 이틀 뒤로 예약한다. 양자컴퓨터를 이용해 DNA를 분석, 3D프린터로 인공장기를 제작한다. 원자력발전소의 위험을 인공지능 로봇들이 진단하고 해결한다. 큰 사고로 겪어 거동과 말하는 것이 불편하지만,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로 보조로봇을 통해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 김순강 객원기자 2018년 11월 22일
-
국립광주과학관 ‘Math-Art페스티벌’ 자연과 생활 속에서 수학의 아름다움을 찾아서 그것을 예술로서 체험해 보는 ‘Math-Art페스티벌’이 지난 2일부터 4일까지 국립광주과학관에서 열렸다. ‘수학의 美를 찾다’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페스티벌은 수학에 담긴 유용성을 보고, 듣고, 체험하며 과학과 인문의 융합에 대한 창의력과 표현력을 기르는 시간이 됐다.
- 김순강 객원기자 2018년 11월 05일
-
네안데르탈인과의 경쟁 우위 새롭게 분석 2일 ‘사이언스 얼라트’에 따르면 두 명의 고고학자들이 과거 시도하지 않았던 신화‧과학적 방식을 통해 인류 조상인 호미닌(hominin)이 어떤 식으로 다른 종들을 지배하게 됐으며 또한 번성하게 됐는지 그 원인을 추적하고 있다. 이 일을 하고 있는 사람은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의 패트릭 로버츠(Patrick Roberts) 박사와 미국 미시건 대학의 브라이언 스튜어트(Brian Stewart) 교수다.
- 이강봉 객원기자 2018년 08월 02일
-
'손'으로 기술과 예술, 아날로그와 디지털 융합 청년 메이커, 예술가, 장인이 함께 힘을 합쳤다. 서울 종로구 청계천로 세운상가 실내광장. 27일 이곳에는 이들이 협업을 통해 만들어진 제품들이 고객들에게 선보여졌다.
- 김은영 객원기자 2017년 10월 3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