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를 지켜라 2025 기후 행동 성적표 ‘45개 전 항목 미달’… 1.5°C 목표 사실상 경보음 파리협정 채택 10주년을 맞아 발표된 '기후행동 현황 2025' 보고서는 1.5°C 목표 달성을 위한 45개 지표 중 단 하나도 2030년 목표 궤도에 오르지 못했다고 밝혔다. 석탄 발전 퇴출은 10배, 산림 보호는 9배, 기후 금융은 연 1조 달러 증액이 필요하지만 현실은 정반대로 움직이고 있다. 랜싯 보고서는 열 관련 사망이 연 54만 6,000명에 달하고, 20개 건강 지표 중 12개가 사상 최악을 기록했다고 경고했다. 일부 정부가 기후 공약을 후퇴시키는 가운데 도시와 보건 부문이 변화를 주도하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속도'가 1.5°C 달성의 유일한 열쇠라고 강조한다. 한 마디 질문이 바꾼 환자의 하루 잘 듣는 것은 친절이 아닌 올바른 치료의 시작 증상만 빠르게 묻고 끝나는 진료 문화 속에서, 경청이 어떻게 치료의 출발점이 될 수 있는지 되묻는다. 환자 옆에 앉아 충분히 이야기를 듣고 열린 질문을 던지면 환자의 속마음을 끌어낼 수 있다. 직원 의견을 실제 제도 개선으로 연결하면 환자의 만족도도 높아진다. 의료 현장에서 종종 사라져 버리는 ‘진짜 대화’를 되살리는 것은 올바른 치료의 필수 요소이다. 스무디 조합의 과학 바나나 스무디는 바나나가 없어야 건강에 좋다 건강을 위해 마시는 바나나 스무디가 오히려 핵심 영양소의 체내 흡수를 80% 이상 감소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캘리포니아대학 데이비스캠퍼스 연구팀은 바나나에 풍부한 폴리페놀 산화효소(PPO)가 심혈관 건강에 유익한 플라반-3-올을 파괴한다는 사실을 인체 실험으로 처음 확인했다. 특히 바나나와 건강성분을 따로 섭취해도 위장 내에서 PPO가 계속 작용해 영양소 흡수가 37% 감소했다. 연구팀은 베리류나 파인애플처럼 PPO 활성이 낮은 과일을 스무디 재료로 선택할 것을 권고했다. 여성용 러닝화, 설계부터 과학으로 다시 작게 만들고 분홍색으로 칠한다고 여성용 운동화가 아니다 여성 러닝화는 여전히 남성 발 모형을 축소해 분홍색을 입히는 ‘shrink it and pink it’ 방식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캐나다 SFU 연구진은 20~70대 여성 러너 21명을 인터뷰한 연구에서, 여성들이 러닝화 맞춤 설계가 부족한 탓에 오랫동안 발불편·부상 위험을 개인 문제로 여겨왔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여성은 더 넓은 골반, 더 큰 Q-각도, 임신·출산으로 인한 발 변화 등 남성과 다른 해부학적 특성을 가지지만, 산업은 이를 반영하지 않는다. 여성 러너들의 실제 요구는 더 넓은 발가락 공간, 좁은 뒤꿈치, 생애주기별 맞춤 설계였으며, 연구진은 이제야 산업이 구조적 결함을 인정하고 여성 맞춤형 러닝화 개발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최신뉴스 기초·응용과학 275만 년 전 석기, 최초 인류가 발명가였음을 증명하다 케냐 투르카나 분지의 나모로투쿠난 유적에서 발견된 275만 년 전 석기들은 초기 인류가 무려 30만 년 동안 동일한 기술을 지속적으로 전승했다는 최초의 결정적 증거로, 도구 사용이 산발적이었다는 기존 통념을 뒤집는다. 정교한 올도완 석기는 세 지층에서 동일하게 나타나 제작법이 수천 세대에 걸쳐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음을 보여주며, 이는 급격한 환경 변화 속에서도 몸의 진화가 아닌 기술·문화적 적응을 통해 생존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특히 이러한 지속적 도구 사용은 큰 뇌가 진화한 이후가 아니라 오히려 뇌 크기 증가보다 최소 50만 년 앞서 나타나, 기술·식이 변화가 대형 뇌 진화를 촉진했을 가능성을 강하게 제기한다. 이 발견은 초기 인류의 지능과 문화적 역량이 기존에 상상하던 것보다 훨씬 뛰어났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전환점이다. 김민재 리포터 2025-11-13 사타가 간다 과학자와 예술가가 함께 그려낸 ‘영생’의 모습은 무엇일까 대전과학문화재단은 10월 24일부터 11월 2일까지 국립중앙과학관 미래기술관에서 과학-예술 융복합 창작 프로젝트인 ‘아티언스 대전: 지평 너머의 감각’을 개최했다. 권예슬 리포터 2025-11-12 생명과학·의학 뇌 지도가 만들어지고 있다! 뇌 지도 연구는 인간 뇌의 860억 개 세포가 어떻게 형성·변화·오작동하는지를 시간(4D)까지 포함해 세포 단위로 추적하는 혁신적 프로젝트로, 알츠하이머·파킨슨병·자폐증·다발성경화증 등 주요 신경계 질환의 원인과 진행 경로를 정밀하게 밝힐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이번 네이처 발표는 인간·영장류·생쥐 데이터를 통합해 세포 분화 과정의 ‘궤적’을 그려내며, 조기 진단·정밀 수술·표적 치료 개발 등 의학적 혁신의 기반을 마련했다. 다만 인간 뇌 조직 확보의 어려움과 인구 다양성 부족은 여전히 큰 과제로 남아 있다. 그럼에도 전 세계 연구팀들의 협력과 첨단 기술의 발전은 더 완전한 뇌 지도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는 앞으로 수백만 명의 삶의 질을 크게 바꿀 핵심 열쇠가 될 전망이다. 김민재 리포터 2025-11-11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바나나 스무디는 바나나가 없어야 건강에 좋다 275만 년 전 석기, 최초 인류가 발명가였음을 증명하다 2025 기후 행동 성적표 ‘45개 전 항목 미달’… 1.5°C 목표 사실상 경보음 작게 만들고 분홍색으로 칠한다고 여성용 운동화가 아니다 잘 듣는 것은 친절이 아닌 올바른 치료의 시작 "북극이 녹색으로 변한다…기후변화로 지구 최북단 녹화현상" "무한 분열하는 소 세포 발견…소고기 배양 산업화 가능성" 1.5도 온도차로 LED 전구 켜는 '필름 발전기' 나왔다 27일 새벽 우주로…누리호 '마지막 점검' 들어간다 켄텍, 데이터 시각적 왜곡 줄인 프롬프트 학습기법 개발 속보 뉴스 건산연, 언론 빅데이터 기반 경기체감 정량화 지수 개발 철솜으로 수소생산비 99% 절감…조선대 연구팀 상용화기술 개발 과총, 포용·책임·혁신 AI생태계 구축방향 포럼 국산 전기 항공기 엔진 시대 연다…우주청 로드맵 공개 UAE 찾은 과기정통부…'스타게이트 프로젝트' 협력 총력전 한국수력원자력 홍보관 18일 경주에 개관…소형모듈원전 등 소개 부산대, 세계 최초 '에너지 자립형 선박' 개발 추진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