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이집트 DNA, 문명의 뿌리를 밝히다 무려 4천5백년전, 이집트인의 직업을 맞춰본다 영국 연구진이 약 4,500년 전 이집트 도공의 완전한 게놈을 분석해 고대 이집트인의 유전적 기원을 밝혔으며, 그는 초기 왕조와 고왕국 시대 사이에 살았고 도자기 제작에 종사했던 흔적과 사회적 지위를 보여주는 매장 양식이 확인됐다. DNA 분석 결과 조상의 80%는 북아프리카, 20%는 메소포타미아 계통으로 다양한 혼합이 있었고, 이는 고대 이집트 문명 형성에 북아프리카와 중동 집단의 교류와 이주가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시사한다. 이번 연구는 이집트 고대 DNA 연구의 새로운 장을 열었지만 단일 사례라는 한계가 있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성별은 운이 아니다? 과학이 밝힌 경향성 딸부잣집, 아들부잣집. 우연이 아닐지도 몰라 60년간 5만 8천여 명의 여성과 14만 건 이상의 출산 데이터를 분석한 대규모 연구 결과, 산모의 나이 및 유전적 특징이 자녀의 성별 결정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동일 성별의 형제 수가 많을수록 같은 성별 자녀가 반복될 확률이 높았고, 특정 유전자 변이가 자녀 성별 쏠림과 연관됨이 밝혀졌다. 🐥파도에도 OK! 러버덕 지킨 기술 거센 파도에도 ‘착’, 초강력 접착제 개발 일본 훗카이도대 연구진은 자연에서 발견되는 단백질에 영감을 받아 수중 환경에서도 강력하게 접착하는 새로운 접착제를 개발하고, 그 연구 결과를 지난 6일 최고 권위의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발표했다. 🚨콜레라 팬데믹, 아직 끝나지 않았다 콜레라의 재출현: 분쟁 지역에서 급증하는 치명적 수인성 질병 2024년부터 콜레라 감염이 전 세계적으로 13% 증가했으며, 특히 수단과 남수단 등 분쟁 지역에서 감염자가 급증하고 있다. 콜레라는 비브리오 콜레라균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장 감염병으로, 심한 설사와 빠른 탈수를 유발해 치료가 지연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이 질병은 감염자의 분변으로 오염된 물이나 음식을 통해 간접 전파되며, 플랑크톤과 함께 번식하는 특성상 기후변화와 환경 요인도 확산에 영향을 미친다. 콜레라 백신 비축량은 WHO의 응급 기준치를 밑도는 수준으로 급감했으며, 분쟁 상황은 백신 접종과 치료 접근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콜레라 예방을 위해서는 물을 반드시 끓여 마시고, 염소 소독이나 여과를 통한 안전한 식수 확보와 철저한 위생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최신뉴스 생명과학·의학 새의 성염색체 균형을 유지하는 미스터리가 풀리다 조류는 ZW/ZZ 성결정계로 성별이 정해지는데, 수컷에서 Z염색체의 유전자량 불균형을 어떻게 맞추는지가 미스터리였다. 최근 연구에서는 miR-2954라는 마이크로RNA가 수컷에서만 Z염색체의 유전자 발현을 낮추어 균형을 맞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염색체 전체를 불활성화시키는 포유류와 달리, 특정 유전자만을 미세하게 조정하는 전략인 것이다. 정회빈 리포터 2025-08-22 기초·응용과학 생성형 AI 미래, 한국형 기술자립 전략을 묻다 정부가 'AI 세계 3대 강국'을 목표로 100조원 규모의 소버린AI 투자에 나서면서, 한국의 AI 기술주권 확립 방향을 둘러싼 학계 논의가 활발하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새롭게 출범시킨 '소버린AI포럼'에서는 경제적 실익을 중시하는 기술 현실론과 시민 권리를 강조하는 사회 가치론이 만나 AI 자립의 다층적 접근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김현정 리포터 2025-08-22 기초·응용과학 AI로 이메일 쓰면 ‘이것’이 사라진다? 직장인 10명 중 7명이 AI로 이메일을 작성하는 시대, 과연 상사의 AI 활용을 어떻게 바라볼까. 미국 연구진이 1,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AI 지원 수준이 높아질수록 관리자에 대한 신뢰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신의 AI 사용에는 관대하지만 상사의 AI 활용에는 가혹한 이중 잣대를 적용하는 현상이 발견됐다. 연구진은 메시지 성격에 따라 AI 활용 수준을 달리해야 한다는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김현정 리포터 2025-08-21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AI로 이메일 쓰면 ‘이것’이 사라진다? 가짜 과학 연구의 조직적 확산, '과학에 대한 신뢰를 파괴하고 있다' 딸부잣집, 아들부잣집. 우연이 아닐지도 몰라 거센 파도에도 ‘착’, 초강력 접착제 개발 인간 뇌신경 구조 닮은 이미지 센서 개발…보는 AI에 적용 새의 성염색체 균형을 유지하는 미스터리가 풀리다 노화 속도 늦추는 단백질 찾았다…RNA 수준 규명 생성형 AI 미래, 한국형 기술자립 전략을 묻다 "두 격자 간 어긋남으로 나타나는 '물결 무늬' 정밀 제어" "코로나19 감염 여성, 혈관 노화 5년가량 더 빨라진다" 속보 뉴스 발열 섬유 이용해 저전력으로 이산화탄소 포집…95% 회수 물위 달리는 소금쟁이 비밀 풀었다…초소형 로봇으로 구현 성공 풀리지 않는 목성의 핵 수수께끼…"거대 충돌로는 형성 안 돼" "복부지방·고혈압 등 대사증후군, 파킨슨병 위험 크게 높여" "수면 주기 불규칙한 심부전 환자, 6개월 내 재발 위험 2배" 혈액 속 마이크로RNA, AI로 학습시켜 간암 조기 진단 '산소 운반' 헤모글로빈이 활성산소 분해…"뇌질환 치료에 기여"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