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송함 뒤의 위험🌫️ 탈크 속 석면, 발암 위험의 핵심 고리로 밝혀지나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2024년 탈크를 ‘아마도 발암성이 있는 물질’로 분류했다. 이는 탈크 자체보다는 석면 오염에 따른 위험 때문이다. 탈크와 석면은 동일한 암석층에서 함께 채굴되며, 분리가 어려워 석면이 탈크 제품에 혼입될 가능성이 높다. 석면은 이미 명확한 발암물질로, 난소암·폐암·중피종과 관련성이 확인됐다. 미국 존슨앤존슨은 이에 따른 소송 끝에 탈크 기반 베이비파우더 생산을 중단하고 옥수수 전분 제품으로 전환했다. 탈크의 발암성은 여전히 ‘아마도’의 영역에 있지만, 석면 오염 위험은 과학적으로 명확해 안전한 대안 선택이 중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결론이다. 손끝으로 읽는 과학✋ [점자의 날 특집] 초소형 폭발로 만드는 점자 디스플레이 11월 4일 점자의 날을 맞아, 사이언스 로보틱스에 소개된 ‘폭발 구동 점자 디스플레이’ 기술을 소개한다. 연료 가스를 미세 스파크로 점화하면 작은 폭발을 만들어지면서 실리콘 돔이 뒤집히고 점자가 만들어진다. 여러 줄로 한꺼번에 표현이 가능하고 휴대성과 유지보수가 개선되어, 시각장애인의 문자 접근권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잃어버린 시야의 귀환 실명 위기의 노인들에게 찾아온 빛, 2mm 칩이 시력을 되살리다 노인성 황반변성(AMD)으로 시력을 잃은 환자들에게 2mm 크기의 초소형 칩을 망막에 이식해 시력을 회복시키는 ‘PRIMA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안경형 카메라와 망막 속 칩이 무선으로 연결돼 빛을 전기신호로 바꾸어 시신경으로 전달하는 원리로, 미국·독일 등 5개국 13개 기관의 임상시험에서 환자 80% 이상이 중심 시력을 되찾았다. 복잡한 수술과 긴 재활, 높은 비용 등 한계가 있지만, FDA 승인 절차가 진행 중이며 기술 발전 시 망막 질환 전반의 치료에 활용될 가능성이 커 시각장애인들에게 새로운 희망이 되고 있다. 🗺️ 잊힌 언어의 귀환 2천 년 침묵 깬 ‘신들의 도시’, 테오티우아칸 문자 해독되다 2천 년 동안 침묵 속에 묻혀 있던 고대 도시 테오티우아칸의 문자가 마침내 해독됐다. 코펜하겐대학교 연구진은 벽화와 도자기에 새겨진 기호들이 우토-아즈텍어를 기록한 완전한 문자 체계임을 밝혀냈다. 이번 발견으로 아즈텍 문명이 테오티우아칸의 직계 후손이라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메소아메리카 역사를 다시 써야 할 전망이다. 최신뉴스 오피니언 과학의 변곡점마다, 언제나 물리학이 있었다 한국은 R&D 투자 세계 5위, GDP 대비 비중 2위로 기술강국이지만, 기초과학 특히 물리학에 대한 관심은 약화되고 있다. 그러나 솔베이 회의, 맨해튼 프로젝트, 아폴로 계획처럼 물리학은 인류의 혁신을 이끈 핵심이었다. 오늘날 양자컴퓨팅과 초지능 AI 시대 역시 물리학의 이해가 필수이며, 이는 단순한 학문이 아니라 미래 기술의 언어다. “기초니까”가 아닌 “미래의 열쇠가 여기 있다”는 메시지로 물리학을 다시 시작해야 한다. 물리학과 첨단기술 2025-11-04 생명과학·의학 파킨슨병, 증상이 나타나기 수십년전에 알 수 있다면 파킨슨병은 현재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신경학적 질환이다. 몇몇 전문가들은 특히 첨단 기기, AI, 그리고 질병이 신체 전반에 걸쳐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현재까지의 이해를 바탕으로, 증상이 나타나기 수십 년 전에 파킨슨병을 감지할 수 있는 혁명의 문턱에 서 있다고 주장한다. 김민재 리포터 2025-10-31 기초·응용과학 개미들이 보여준 사회적 거리두기 건축 설계 마이크로 CT로 개미 둥지를 3차원 추적 관찰한 결과, 개미들는 병원체에 노출되면 둥지의 구조를 바꾸어 접촉을 분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바뀐 구조를 기반으로 한 시뮬레이션 결과는 개미 방 사이의 감염 전파가 늦춰지고 같은 시간 동안 감염 개체 수가 줄어드는 ‘건축 면역’ 효과가 확인되었다. 우회 동선과 출입구 간 거리 증가가 감염 확산 속도를 낮췄고, 병원이나 기숙사 등 인간 공간의 동선 설계에도 응용할 수 있다. 정회빈 리포터 2025-10-29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실명 위기의 노인들에게 찾아온 빛, 2mm 칩이 시력을 되살리다 파킨슨병, 증상이 나타나기 수십년전에 알 수 있다면 과학의 변곡점마다, 언제나 물리학이 있었다 2천 년 침묵 깬 ‘신들의 도시’, 테오티우아칸 문자 해독되다 [점자의 날 특집] 초소형 폭발로 만드는 점자 디스플레이 국내 연구진, 치매 발병 위험 예측하는 '유전자 점수' 개발 "AI 똑똑해질수록 더 이기적 행동 경향 보여" "북극고래 200년 장수 비결은…뛰어난 DNA 손상 복구 능력" 생기원, 근로자의 작업 영상 통해 근육 피로도 예측하는 AI 개발 UNIST, 세포 죽이는 신기술 개발…"피부암 치료에 활용 가능성" 속보 뉴스 "심근경색 후 심장에 직접 붙여 회복 돕는 약물전달 패치 개발" "불법 드론 탐지" 원자력연 컨소시엄 안티드론 기술 APEC서 활약 면역세포가 바이러스 아닌 우리 몸 공격하는 원리 밝혔다 에너지연 울산에 차세대 이차전지 상용화 지원센터 문열어 11월 과기인상에 최민기 교수…암모니아 합성 고성능 촉매 개발 에너지연서 국내 첫 호라이즌유럽 컨소시엄 회의…태양전지 연구 켄텍, 세계 최고 수준 효율 알칼라인 수전해 전극 개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