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들도 "리듬"을 느낄 수 있다🎵 ‘리듬의 달인’ 바다사자, 춤꾼 된 비결은? 2013년 훈련을 통해 음악에 맞춰 머리를 흔드는 능력을 보여 과학계의 관심을 모았던 바다사자 '로난(Ronan)'이 12년이 흐른 지금, 로난이 박자 구조를 예측하고 조율하는 ‘능동적 리듬 수행자’로 진화해 등장했다. 이번 실험을 통해 인간만의 특성으로 여겨졌던 박자 감각의 생물학적 기반과 박자 감지 능력이 인간만의 독특한 특징인가를 둘러싼 논쟁이 재점화되고 있다. 🎬영화 제작 과정에서 "과학 컨설턴트"의 역할 영화와 TV 속 과학은 얼마나 정확할까? 할리우드 영화는 종종 오락성을 위해 현실성을 '희생'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최근 영화 제작에서 과학적 정확성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영화 제작 측에서는 이를 위해 전문 과학 컨설턴트를 고용하는 추세이다. 현실 과학을 미래 가능성과 연결하는 과학 컨설턴트들의 역할과 가상의 미디어가 실제 과학 분야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알아본다. 오늘도 바쁜 하루, 사타와 함께 잠시 휴식🌼 나는 아무 생각이 없다 ‘마인드 블랭킹’ 때문이다 ‘물멍’, ‘불멍’ 등 바쁜 일상 속 생각을 덜어낼 수 있는 시간을 찾는 사람이 많아졌다. 심지어 멍때리기 대회도 있다. 이런 의도적인 멍과는 다른 말 그대로 머릿속이 하얗게 되는 상태도 우리는 알게 모르게 매일 겪는다. 신경과학자들은 이를 ‘마인드 블랭킹(Mind Blanking)’이라 부른다. 불가사리 전멸과 홍합의 확산, "포식자 해방 효과" “‘보노보노’는 불가사리 없으면 홍합 먹어요” 생태계 상호의존 확인 하나의 생태계 변화가 인접 생태계의 포식자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입증됐다. 미국 몬터레이 아쿠아리움 연구소 연구진은 2013년 불가사리 집단 폐사, 홍합 개체수 급증, 멸종 위기종 남부 해달의 개체수 증가로 이어지는 생태계 연결고리를 분석해 ‘핵심종 상호의존’ 개념으로 제시했다. 이 연구는 생태계 간 연결성과 상호작용을 고려한 새로운 보전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최신뉴스 생명과학·의학 첨단재생의료 치료제로 손상된 연골의 재생이 가능할까요? 손상된 연골 치료를 위한 첨단재생의료 기술이 등장했다. 첨단재생의료 기술은 신체 구조나 기능을 재생, 회복 또는 형성하거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인체 세포 등을 활용하는 의료 기술이다. 무릎 연골 손상의 원인부터 다양한 근골격계 질환 치료의 희망이 되는 새로운 치료제 등에 대해 알아본다.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 2025-05-20 기초·응용과학 호모 사피엔스의 생존 비밀은 ‘선크림’ 호모 사피엔스가 다른 고인류와 달리 극한의 기후를 이겨내고 살아남은 비결이 밝혀졌다. 치명적인 태양 복사로부터 호모 사피엔스를 보호한 황토 선크림과 맞춤형 옷 덕분이었다. 권예슬 리포터 2025-05-16 신소재·신기술 총기 사건, 총기 흔적 ‘빛’ 즉시 검출로 완전 범죄는 없다 완전 범죄는 없다. 네덜란드 연구진은 총기 잔여물(GSR)에 포함된 납 입자를 페로브스카이트 형광 물질로 변환해 자외선 아래에서 즉시 시각화하는 PL-Pb 분석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기존 전자현미경 기반 방식보다 빠르고 현장 적용이 가능해 총격 사건 수사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인다. 사격 거리, 탄흔, 주변 오염까지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으며, 환경 독성 분석과 공중보건 분야로의 확장 가능성도 제시된다. 김현정 리포터 2025-05-15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호모 사피엔스의 생존 비밀은 ‘선크림’ “‘보노보노’는 불가사리 없으면 홍합 먹어요” 생태계 상호의존 확인 나는 아무 생각이 없다 ‘마인드 블랭킹’ 때문이다 영화와 TV 속 과학은 얼마나 정확할까? 폐배터리 고성능 배터리로 재활용…충·방전 효율 87% 첨단재생의료 치료제로 손상된 연골의 재생이 가능할까요? 직접 경험 않고도 공포 느끼는 뇌 기억 경로 찾았다 "달 앞면과 뒷면 쪽 내부 구조도 달라…비대칭성 증거 발견" "대사이상 지방간 발병·악화 유도하는 유전물질 첫 규명" 팬데믹 막는다…韓연구팀, 대규모 박쥐 인공장기 '오가노이드' 구축 속보 뉴스 "온난화 1.5℃로 억제해도 빙상 손실·해수면 급상승 못 막아" "임신 중 대기오염 노출, 자녀 천식 악화시켜…생쥐 연구 확인" "우리 아기 얼마나 먹나"…모유 수유량 실시간 측정 센서 나왔다 KAIST, 그린수소 생산 위한 수전해 촉매 수명 예측 지표 개발 UNIST·IBS "DNA 연결고리 자르는 단백질 작동 방식 규명" 사람-AI 토론 능력 비교해보니…"GPT-4가 더 설득력 있어" "생쥐, 냄새 같은 화학적 신호로 낯선 상대 서열 감지"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