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온형 세라믹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니켈(Ni)의 양을 20분의 1로 줄이면서 안정성은 5배 이상, 발전 성능은 1.5배 높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화재 위험이 없는 대용량 에너지저장장치(ESS)로 주목받는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촉매 장치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세포 미세 환경 변화를 실시간으로 탐지하는 물질을 개발해 미토콘드리아의 산화 손상 경로를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인공지능(AI) 기술을 도입하려는 기업들이 솔루션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는 'AI 바우처 지원 사업'을 시작한다고 21일 밝혔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제주특별자치도는 21일 '제주 전기차 충전서비스 특구'에서 전기차 급속 충전 실증에 착수했다.
정부가 신산업진출 목적으로 사업재편을 승인받은 중소·중견기업 중 10여개사를 선정해 올해 총 100억원의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한다.
광주시, 경기도, 부산시가 참여하는 인공지능(AI) 헬스케어 플랫폼 구축 사업이 닻을 올린다.
과학자들이 달걀노른자를 이용해서 어떤 충격이 뇌에 더 큰 손상을 입히는지 확인했다. 걸어 다닐 때 사람의 뇌는 두개골 안에서 척수액에 떠서 가볍게 흔들린다. 그 모습이 마치 달걀노른자가 달걀흰자에 둘러싸인 것과 유사하다.
1859년에 그려진 일본의 전통적인 목판화에는 쥐들이 어떤 식물을 이용해 고양이들을 유혹하는 모습이 나온다. 대체 어떤 식물이기에 먹잇감인 쥐들을 앞에 두고도 고양이의 시선을 돌릴 수 있는 걸까. 그 식물의 정체는 바로 개다래라는 덩굴식물이다.
목성과 비슷한 크기의 가스 행성이지만 중심핵의 질량은 훨씬 적은 외계 행성이 발견돼 학계의 주목을 끌고 있다. 캐나다 몬트리올대학 외계행성탐사연구소(iREx)의 박사과정 연구원인 캐롤라인 피아올렛(Caroline Piaulet)이 밝혀낸 이 미스터리한 행성의 정체는 지구에서 약 212광년 떨어진 처녀자리의 별 WASP-107 주위를 공전하는 ‘WASP-107b’다.
최근 독일 막스 델브뤼크 분자의학센터(MDC)와 뮌헨 루드비히 막시밀리안대(LMU) 연구팀이 세포 이동의 정확한 역학을 파악하고, 세포 이동과 관련된 힘을 포착할 수 있는 수학 모델을 개발해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 최근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번 발견이 발달생물학과 암 치료에 새로운 통찰을 제시할 것으로 보고 있다.
대통령 당선자는 지난 14일(현지 시간) 1조 9000억 달러(한화 약 2098조 원) 규모의 ‘미국 구조 계획(American Rescue Plan)’을 발표한 바 있다. 그 내용 안에는 코로나19 팬데믹의 진로를 바꾸고 향후 바이러스에 대한 감시체제를 구축하는 내용 등이 담겨 있다. 바이든은 연설을 통해 “새로 구성한 과학팀이 구조 계획 중 많은 부분을 집행하는 데 있어 중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UH-60 헬기의 후계 모델을 찾는 계획인 우리나라의 중장기 기동헬기 발전방향은 미국의 국방 분야 차세대 헬기 사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미 육군의 발표에 따르면 미국의 차세대 기동헬기 사업은 속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헬기로는 어려운 고속 비행이 가능한 헬기로 대체하는 것이 목표다.
컬럼비아 대학의 물리학자 루카 코미소와 칠레 아돌포 이바네스 대학의 펠리페 아센조는 새로운 이론을 발표했다. 블랙홀의 '사건의 지평선' 근처에 있는 자기장 선을 끊고 다시 결합함으로써 블랙홀에서 에너지를 추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오랜 침체기를 거치면서 인공지능 연구는 ‘딥러닝’이라는 기계 학습법을 통해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게 된다. ‘알파고’가 바로 이 ‘딥러닝’을 통해 3000만 건의 기보를 학습한 후 이세돌 9단을 이기면서 사람들의 관심이 ‘인공지능의 학습법’에 쏠렸다.
미국 스탠퍼드의대 신경학과 연구팀은 면역세포의 일탈과 관련된 호르몬을 억제하면 노화된 뇌를 젊게 되돌릴 수 있다는 실험 연구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 20일 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나이 든 실험 쥐와 인간 세포 배양에서 발견된 연구 결과가 실제 인간에게 적용될 경우, 약제를 개발해 노인의 정신 능력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파트의 평면구조는 기본적으로 건물 전체의 형태에 영향을 받는다. 아파트의 주동 형태는 크게 판상형과 탑상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판상형은 아파트 한 동의 모든 세대가 한쪽을 바라보면서 일렬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주동 형태다. 우리나라 아파트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돼 왔기 때문에 한국 아파트 설계 모델의 표준이라 불린다. 판상형의 장점은 모든 세대를 사람들이 좋아하는 남향으로 배치할 수 있고, 전면과 후면 창문을 열면 맞바람이 불어 통풍이 잘 된다. 건축비와 관리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발코니 등 서비스 면적을 많이 받을 수 있으며, 거주자의 동선이 단순해 편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