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주목할 과학 이벤트 2023년에 주목할 과학 이벤트
2023년 과학계에는 어떤 일들이 일어날까? Nature가 선정한 이 이슈들에 주목해보자. 2023년 계묘년(癸卯年)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검은 토끼의 해를 기념하듯(?), 올해 과학계에는 달 탐사 미션이 본격적으로 진행된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 때 처음 등장한 mRNA(전령RNA)의 개발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최고 권위의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는 2023년 주목할 만한 과학 이벤트들을 추려 소개했다.
-
2022 10대 과학기술 뉴스 2022년 대한민국을 빛낸 최고의 과학소식은?
과거를 알면 미래가 보인다. 지난 해 한국 과학계를 빛낸 10대 과학기술 뉴스·연구성과를 소개한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이하 과총)은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 관심을 높이고자, 한 해의 주요 연구개발 성과와 사회적으로 주목받은 과학기술 이슈로 구성된 10대 과학기술 뉴스를 2005년부터 매년 선정‧발표해오고 있다. 올해는 과학기술계와 일반 국민 1만 1,522명의 투표를 바탕으로 과학기술 이슈 4건과 연구개발 성과 6건이 선정됐다.
-
인공지능과 예술 인공지능과 예술, 공존의 시대로…
AI가 예술 창작 방법·환경의 변화뿐만 아니라 장르적 확장에도 속도를 더하고 있다. 여전히 AI 창작물을 예술로 인정할 수 있는가에 대한 담론이 뜨겁게 전개되고 있지만, AI 등장 초기의 위기론이 예술 영역에서도 동반성장으로 선회하기 시작한 분위기다.
-
감정조절 솔루션 우는 아이에게 디지털 기기는 좋은 ‘진정 전략’ 아니다
화가 난 미취학 아동을 진정시키기 위해 디지털 기기를 자주 사용하는 것은 아동, 특히 남자아이의 정서적 조절 장애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JAMA Pediatrics에 발표했다. 유아기 아동이 디지털 기기를 사용함으로써 자기조절을 위한 독립적인 방법과 정서적 대처 기술을 연습할 기회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구진은 아이에게 감정 조절을 위한 대체 솔루션을 제안했다.
-
롱 코비드 후유증 불면증 등 수면장애가 코로나 감염 휴유증이다?
WHO에 따르면 롱 코비드(Long-term effects of coronavirus; Long COVID) 또는 포스트 코로나 증후군(Post-COVID 19 Syndrome)은 장기간 코로나19의 휴유증이 지속되는 증상으로 주로 만성 기침, 만성 피로, 미각저하, 수면 장애, 식욕 감퇴 등을 동반한다. 또한 장기 휴유증으로 인해서 롱코비드는 오랫동안 겪으며 폐섬유화, 천식 등 다른 호흡기 질병이 동반되기도 한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을 통해서 원인에 따른 선택적 맞춤 치료를 진행하는 편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