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주와 식량 달의 토양에서 샐러드를 재배하다
연구진은 먼저 아폴로 11호와 12호(1969년), 아폴로 17호 (1972년) 등의 세 아폴로 임무 중 수집된 달의 토양 총 12g(약 1 테이블스푼 분량)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이어서 각 토양을 1g 용기에 분할하여 애기장대 (배추, 무와 함께 십자화과에 속하는 쌍떡잎식물: Arabidopsis thaliana) 씨앗을 심으며 각각의 토양에 물, 빛 및 영양분 등을 추가로 첨가했다. 참고로 애기장대는 유전 코드가 완전히 밝혀져 있기 때문에 식물 과학실험에서 널리 사용된다. 또한 대조군으로 달의 토양과 유사한 물질인 화산재에 같은 씨앗을 심었으며 최소 48시간 정도 지켜보았다.
-
세계는 지금 전염병이 극지 과학 연구를 지연시킨다
미국의 국립과학재단 (NSF: National Science Foundation) 역시 유수의 극지 연구소 운영을 제한함과 동시에, 여러 극지 연구소에서 진행 중이던 다수의 프로젝트를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연구진들은 위 결정이 지구과학에서 가장 희귀한 자원이라고 일컫는 ‘시간(time)’에 관한 얼음의 여러 연구를 제한한다고 주장했다.
-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현재 무엇을 하고 있을까? (5)
인류의 새로운 눈이 되어 줄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현재 무엇을 하고 있을까?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발사부터 현재까지 진행된 사항들을 종합하고 앞으로 예정된 계획을 정리해본다. JWST 팀은 총 7개의 정렬단계 중 마지막 단계를 완료함과 동시에 회의를 열었고 처음부터 전체적으로 검토하기 시작했다. JWST 팀은 4개의 과학 장비들이 매우 선명하며 초점이 잘 맞는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음을 확인했으며, 따라서 다음 과정인 시운전 단계(commissioning)를 위한 준비과정에 돌입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
세계는 지금 오존층이 다시 회복되고 있다
2022년 초 전 세계가 여전히 코로나바이러스로 힘든 시기에 국제 사회로부터 뜻밖의 희소식이 날아들었다. 지난 2월 네이처(Nature)지에 발표된 두 연구에 따르면 CFC-11의 대기 농도가 다시 한번 크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말까지 수치가 연간 약 1%씩 감소했는데, 이는 반세기 동안 점진적으로 파괴되고 있던 오존층이 이제 복구 궤도에 올랐다는 점을 암시해준다. 오존층을 보호하기 위해서 전 세계가 노력했던 성과가 조금씩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
궁수자리 A* 블랙홀 우리은하 중심부의 블랙홀을 최초 관측하다
첫 블랙홀 그림자의 관측으로부터 약 3년 뒤 한국 시각으로 2022년 5월 12일 밤 10시, 전 세계인들의 이목은 다시 한번 독일에 위치해있는 유럽남방천문대(ESO) 본부에 집중되었다. EHT 팀이 또 다른 블랙홀의 이미지를 공개했기 때문이다. 이번에 연구팀이 관측한 천체는 우리은하의 중심에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인 궁수자리 A* (Sgr A*) 블랙홀로 현재까지 인류가 관측한 블랙홀 중 가장 가까운 블랙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