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타가 간다 김민재 리포터 2025-06-27 한세기를 건너온 수수께끼, 한국 행성과학자 이연주 단장이 풀어낸다 지구에서 세 번째로 밝은 천체 금성 구름 속에는 1세기 넘게 과학자들을 괴롭혀 온 정체불명의 '미확인 흡수체'가 존재한다. 해당 물질의 뚜렷한 시공간 변동과 그에 따른 금성 기후에 미치는 영향은 여전히 베일에 싸여 있다. 이 퍼즐을 해결하기 위해 나선 한국의 과학자가 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행성대기그룹의 이연주 CI단장(CI: Chief Investigator)이다. 인터뷰 권예슬 리포터 2024-10-31 “과학도 ‘아직 모른다’는 것이 있다는 점에서 영화적 상상력 얻었죠” 강원도 정선 신동읍 예미산 아래 지하 1,000m엔 특별한 실험실이 있다. 땅속 깊은 곳에서 우주의 신비를 풀고 있는 ‘예미랩’이다. 이곳에서는 우주의 26.8%를 차지하지만 아직 정체가 규명되지 않은 암흑물질, 모든 특성이 밝혀지지 않은 중성미자 등 연구를 통해 우주 근원을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예미랩이 의외의 장소에서 대중과 만났다. 바로 예미랩을 배경으로 촬영한 다큐멘터리 장편영화 「모든 점」이다. 과학 커뮤니케이터를 만나다 김민재 리포터 2024-08-01 닐 디그래스 타이슨을 만났던 천문학자, 한국 최고의 과학 커뮤니케이터가 되다 사이언스타임즈에서는 천문학자 겸 과학 커뮤니케이터와의 인터뷰를 진행 중이다. 두 번째로 초대한 천문학자는 이미 대중에게 너무도 유명한 과학자 겸 과학 커뮤니케이터이다. TV와 유튜브에서 과학이 나온다 싶으면 항상 출현하기에 연예인 등으로 자칫 오해할 수도 있지만, 강성주 박사는 텍사스대 물리학과와 천문학과를 졸업하고 아이오와 주립대에서 ‘적외선 및 전파 관측을 통한 별 생성 환경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본업이 ‘찐’ 과학자이다. 하지만 한국 대중과의 활발한 소통도 게을리하지 않는 한국 최고의 과학 커뮤니케이터 중 한 명이다. 인터뷰 김민재 리포터 2024-06-04 진성호 교수, “한국과 영국 정부 및 학술 기관 간의 국제 협력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최근 우리나라는 영국, 독일, 프랑스 등 유럽 국가들을 중심으로 첨단 과학기술 분야의 연구 협력을 통해 과학기술협력을 증진하고자 다양한 과학기술협력창구사업을 늘리고 있다. 이에 사이언스타임즈에서는 우리나라의 글로벌 도전과제 해결 및 국가 전략기술 확보를 위한 통찰력을 얻기 위해, 한-유럽 간 연구 교류활동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는 유럽 거주 한인 과학기술자를 만나본다. 과학 커뮤니케이터를 만나다 김민재 리포터 2024-01-23 더욱 ‘체계적’이고 ‘세련되게’ 과학을 홍보할 수 있어야… 사이언스타임즈에서는 천문학자 겸 과학 커뮤니케이터와의 인터뷰를 진행 중이다. 첫 번째로 초대한 천문학자는 사이언스타임즈 독자들에게도 이미 잘 알려진 사람이다. ‘우주 덕후’라면 한 번쯤은 이 천문학자의 이름을 들어보았을 것이고 전문 교양 강연이나 TV, 유트브 등에서도 활발하게 활동을 하고 있는 과학 커뮤니케이터이다. 무엇보다 미국에서 ‘한국 교육의 혜택을 받은 한인 천문학자’로 국위선양하고 있으며, 한국 대중과의 활발한 소통도 게을리하지 않는, 미국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팀의 손상모 박사이다. 인터뷰 김현정 리포터 2023-12-15 “연구자와 시민의 소통과 공감, 연구자의 사회적 책임.”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추진하는 ‘연구공감 프로젝트’는 연구자의 생각과 연구결과를 대중과 소통하는 국민 참여형 사업이다. 올해 처음 시작한 프로젝트에 참여한 연구자들, 사이언스타임즈가 만나봤다. 첫 번째로 만난 연구자는 방진호 한양대학교 교수다. 인터뷰 김현정 리포터 2023-12-15 “시민참여형 과학이 가져온 인식의 변화, 미래 세대 연구자 양성의 시작” 사이언스타임즈는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추진하는 ‘연구공감 프로젝트’에 참여한 연구자, 이상임 대구경북과학기술원 교수를 만났다. 인터뷰 김현정 리포터 2023-12-06 [인터뷰] “대중에게 ‘과학의 울림’을 주는 과학커뮤니케이터가 되겠습니다.” 2023 페임랩 코리아 본선이 지난달 25일 대전 인터시티호텔에서 개최됐다. 사이언스타임즈는 ‘2023 페임랩 코리아’에서 수상한 3인의 인터뷰를 연재한다. 마지막 순서는 2023 페임랩 코리아 최우수상 수상자 황승현 씨다. 인터뷰 김현정 리포터 2023-12-05 [인터뷰] “사람의 마음을 바꾸는 ‘3분’, 페임랩의 힘이죠” 2023 페임랩 코리아 본선이 지난달 25일 대전 인터시티호텔에서 개최됐다. 사이언스타임즈는 ‘2023 페임랩 코리아’에서 수상한 3인의 인터뷰를 연재한다. 두 번째 순서는 2023 페임랩 코리아 우수상 수상자 김동주 씨다. 인터뷰 김현정 리포터 2023-12-04 [인터뷰] “다양한 과학수사 이야기를 전달하는 과학커뮤니케이터를 꿈꿉니다.” “과·알·못도 듣고 싶은 당신만의 과학 이야기”, 2023 페임랩 코리아 본선이 지난달 25일 대전 인터시티호텔에서 개최됐다. 사이언스타임즈는 이번 대회에서 수상한 3인의 인터뷰를 연재한다. 첫 번째 순서는 2023 페임랩 코리아 대상 수상자 김지연 씨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카페인 수혈’ 위해 마신 블랙커피, 수명을 늘린다 식사 시간만 바꿔도 운동 능력이 달라지는 비결, 지방에 있었다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카자흐스탄 리포트 1] 카자흐스탄, KAIST 모델로 공과대 설립 추진 "기술 자립을 위한 전략" 명화 복원, AI로 3시간 만에 끝낸다 스위스는 어떻게 미리 산사태를 미리 막을까? 한세기를 건너온 수수께끼, 한국 행성과학자 이연주 단장이 풀어낸다 "유전자 조작 박테리아, PET병에서 타이레놀 성분 만든다" 와이파이 속도의 100배 '라이파이' 보안까지 높인다 "기후변화·서식지 파괴로 100년 내 조류 500여종 멸종 위기" 속보 뉴스 "남극해, 2015년 이후 더 짜지고 있다…해빙 감소 가속 요인" "포유류 진화에서 가장 최근에 등장한 종은 노르웨이레밍" 한의학硏 "면역항암제 돕는 보중익기탕의 면역조절 원리 확인" UNIST "녹나무 유래 물질로 태양전지 효율·수명 향상" 외부 수소 공급 없이 상온에서 자일리톨·자일론산 생산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KAIST, 스스로 움직이는 세포로봇 개발…연료는 생체 부산물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