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우주 연합뉴스 2025-05-02 달 탐사선 다누리로 극지 물 분포 지도 만들었다 지질연의 우주자원 탐사 모식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한국형 달 탐사선 '다누리' 탑재체를 이용해 달 극지의 물 분포 지도를 만들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김경자 박사 연구팀이 지난 2년 동안 다누리에 실린 감마선분광기KGRS)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해 물 분포 지도를 제작했다고 30일 밝혔다. 감 항공·우주 연합뉴스 2025-04-30 과학기술위성 1호로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분자구름 찾았다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분자운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한국천문연구원과 미국 럿거스 대학 등 국제공동 연구팀은 과학기술위성 1호를 통해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분자구름(분자운·주로 수소분자로 이루어진 성간운으로, 성간운의 밀도가 매우 높아지면 수소가 원자가 아닌 원자 두 개가 결합한 분자 상태로 존재하는 분자운이 됨)을 찾았다고 2 항공·우주 연합뉴스 2025-04-28 천문연 외계행성탐색시스템, 가장 작은 '장주기 슈퍼지구' 포착 슈퍼지구 상상도 (CG) ⓒ연합뉴스TV 제공 국내 연구진이 지구보다 공전 주기가 긴 장주기를 가지면서도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작은 '슈퍼지구' 외계행성을 발견했다. 또 이런 장주기 외계행성들을 다수 추적해 행성이 각자 다른 과정을 거쳐 지구형(암석형)과 목성형(가스형)으로 형성된다는 이론을 뒷받침하는 데도 성공 항공·우주 연합뉴스 2025-04-23 50억년 전 페르세우스 은하단 충돌 흔적…국내 연구진 최초 규명 페르세우스 은하단의 암흑 물질 분포 ⓒ연세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약 50억년 전 페르세우스 은하단에서 발생한 거대한 충돌의 흔적을 세계 최초로 찾아냈다. 21일 연세대에 따르면 천문우주학과 지명국 교수 연구팀은 지난 16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Nature Astronomy)에 게재된 논문을 통해 이 같은 연구 항공·우주 연합뉴스 2025-04-18 "우주 자체가 회전할 수도"…허블 수수께끼 해결 가설 제시 우주는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팽창하고 있다. 문제는 측정 방법에 따라 우주 팽창 속도(허블상수)가 다르다는 점이다. 허블 텐션(Hubble Tension)으로 알려진 이 문제는 우주론의 큰 수수께끼 중 하나다. 미국 연구진이 우주 자체가 극히 느린 속도로 회전하고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며 이 경우 허블 텐션(Hubble tension)도 해결할 수 있 항공·우주 연합뉴스 2025-04-18 "스타워즈 '타투인' 행성처럼 해가 2개 뜨는 외계행성 발견" 영화 '스타워즈'에 태양이 2개인 행성으로 등정하는 '타투인'(Tatooine)처럼 갈색왜성(brown dwarf) 2개를 두 별의 공전 면과 수직인 극궤도(polar orbit) 상에서 돌고 있는 외계행성이 처음으로 발견됐다. 두 개의 갈색왜성 주위를 수직 극궤도로 도는 외계행성 상상도. 120광년 밖의 갈색왜성( 항공·우주 연합뉴스 2025-04-16 우주에 탄소질 소행성 많은데 지구에 운석이 드문 이유는? 탄소가 풍부한 탄소질 소행성(carbonaceous asteroids)은 우주에 풍부하지만 지구에서 발견되는 운석에서는 5% 미만을 차지한다. 프랑스와 호주 공동 연구팀이 우주과학에서 수수께끼로 남아 있던 이런 차이의 원인을 찾아냈다. 튀르키예 사리치첵에 떨어진 운석 ⓒNASA 제공 프랑스 파리천문대 패트릭 쇼버 박사와 호주 커틴대 항공·우주 권예슬 리포터 2025-04-10 우주에서 만든 된장 맛은 어떨까? 앞으로는 우주인들이 장 담그기 명인들처럼 직접 장을 담가 먹게 될지도 모른다. 미국 매사츄세츠공대(MIT) 및 덴마크 노보노디스크의 연구진은 우주에서 ‘미소 된장’을 발효시키는 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지난 2일 국제학술지 ‘아이사이언스(iScience)’에 실렸다. 항공·우주 연합뉴스 2025-04-07 "달 먼지로 태양전지 만든다…미래 우주탐사 에너지원 기대" 달 표면의 암석 부스러기와 먼지로 된 퍼석퍼석한 물질인 '레골리스'(regolith)를 이용해 우주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전지 제작 기술이 개발됐다. 달 레골리스를 활용한 미래 태양전지 제조 상상도. 달 표면의 암석 부스러기와 먼지로 된 퍼석퍼석한 물질인 '레골리스'(regolith)를 채취 항공·우주 연합뉴스 2025-04-04 한미 합작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 첫 촬영 사진 공개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가 공개한 첫 사진 ⓒNASA 제공 우주항공청은 2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한국천문연구원과 공동 개발한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SPHEREx)의 첫 사진을 공개했다고 밝혔다. 스피어엑스는 지난달 12일 발사 후 37일간 초기 운영을 통해 검·교정을 포함한 망원경의 모든 시험 가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열’ 오른 전자장치, 新냉각 기술이 필요해 첫 100일의 기적까지 "'체온 반응해 항원 방출' 신개념 나노입자 결핵백신 효과 입증" 늘어나고 있는 쌍둥이 출산, 보다 안전한 출산이 필요하다 "제주 해녀는 유전자가 다르다…잠수 적응 돕는 변이 확인" '전통 한의학에 AI 적용', 대전대 한의대, 교육 모델 개발 2025년-양자과학기술 100년, 양자산업의 원년? 물속에서 '빛으로 움직이는' 소프트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 "바다사자 훈련시켰더니…사람보다 리듬감 더 정확해" 순천향대 연구팀, 차세대 3D 바이오프린팅 연골 치료 소재 개발 속보 뉴스 "운동 중에도 정확하게 측정" KAIST, 웨어러블 혈압 센서 개발 "온실가스 못 줄이면…기후재난 피해 젊은 세대에게 돌아간다" AI로 냄새 구분…한국기술교육대, 초정밀 인공 후각 시스템 개발 KAIST, 영감으로 코드 만드는 인공지능 작곡 기술 개발 "로봇이 받는 힘 그대로 인간 팔에 전달" 지스트·MIT 공동개발 물속에서 '빛으로 움직이는' 소프트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 접이식 막날개 펼쳐 자유자재로 급정지…'날다람쥐 드론' 개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