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응용과학 연합뉴스 2025-07-01 다이빙으로 가장 큰 물보라를 일으키는 과학적 방법? 마누 점프의 입수 자세(유튜브 캡처) ⓒ연합뉴스 제공 더운 여름 수영장에 뛰어들며 누구보다도 크고 높이 튀는 물보라를 일으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물보라를 최대한 줄이는 올림픽 다이빙과 달리 뉴질랜드에서는 물에 뛰어들며 최대한 큰 물보라를 일으키는 '마누 점프'가 유명하다. 매년 대회까지 열리며 최고 10m 높 기초·응용과학 연합뉴스 2025-06-30 "다람쥐·들쥐, 도시생활 125년만에 두개골·치열이 달라졌다" 진화는 보통 수천~수백만 년간 작은 변화가 축적돼 일어나는 과정이다. 그런데 미국 시카고 지역에서 살아온 다람쥐와 들쥐에서 125년 사이에 두개골 크기와 치열 등이 변하는 진화가 일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1898년 미국 시카고에서 수십된 들쥐의 두개골과 가죽 ⓒField Museum 제공 미국 시카고 필드 자연사 박물관 스테파니 스 기초·응용과학 연합뉴스 2025-06-27 "오랑우탄도 밤잠 설치면 낮잠으로 보충한다" 동물에게 생리적으로 매우 중요하지만, 취약한 상태가 될 수 있는 수면의 기원과 진화 과정을 밝히는 것은 중요한 연구 주제 중 하나다. 인간과 가까운 영장류 중 하나인 오랑우탄도 밤잠을 충분히 자지 못하면 사람처럼 낮잠으로 보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낮잠 둥지에서 낮잠 자는 수마트라 오랑우탄 '시시'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수아크에 서 기초·응용과학 연합뉴스 2025-06-25 범고래도 도구 만든다…"다시마로 만든 도구로 서로 몸단장" 해양 포유류인 범고래가 다시마 같은 해조류를 채취해 도구를 만들고 이것으로 서로 몸단장(allokelping)을 해주는 모습이 처음으로 포착됐다. 몸 사이에 다시마 줄기를 끼우고 문지르는 범고래들. 범고래 두 마리가 몸 사이에 다시마 줄기로 만든 도구를 끼우고 문지르는 '다시마 상호 단장'(allokelping) 행동을 하고 있다 기초·응용과학 김현정 리포터 2025-06-24 9천4백만 년 전 백악기, 조류 진화의 핵심 퍼즐 조각 발견되다 최근 미국-캐나다 공동연구팀이 알래스카 북부에서 약 9천4백만 년 전 백악기 북극에서 실제로 번식한 조류 화석을 최초로 확인했다. 사이언스에 발표에 논문에 따르면 사이언스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이 새들은 북극에서 나고 자란 미성숙 개체로 확인되었으며, 당시 북극은 빙하가 아닌 온난하고 숲이 우거진 환경이었다는 점도 함께 밝혀졌다. 기초·응용과학 연합뉴스 2025-06-20 "호주 보공나방, 밤하늘 별빛 이용해 매년 1천㎞ 이동한다" 매년 봄 수십억 마리가 여름잠을 잘 고산지대 동굴을 찾아 1천㎞를 비행하는 호주 야행성 보공나방(Bogong moth, Agrotis infusa)이 밤하늘 별빛을 이용해 이동 경로를 찾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호주 보공나방(Bogong moth, Agrotis infusa) ⓒDr. Ajay Narendra(Macquarie Univers 기초·응용과학 연합뉴스 2025-06-20 "하얼빈에서 발견된 고대 인류 두개골 주인공은 데니소바인" 2021년 신종 고대 인류로 추정된다는 연구 결과로 세계적인 관심을 끈 14만6천년 전 인류 화석 하얼빈 두개골(Harbin cranium)이 데니소바인 계통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새로운 고대 인류 '호모 롱기'로 분류됐던 하얼빈 두개골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중국과학원 고척추동물 및 고인류학 연구소 푸차오메 기초·응용과학 연합뉴스 2025-06-19 1천800년 전 경주 월성에 묻힌 개는 동경이?…유전자 비밀 푼다 경주 월성에서 발견된 개 뼈. 지난 11일 경북 경주시 신라월성연구센터 숭문대에서 공개된 월성 남성벽 출토 개 뼈 모습.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는 3세기 사로국 시기에 의례를 지내며 묻은 것으로 추정되는 개 뼈를 중심으로 월성 출토 개의 유전자를 분석하고 연구할 예정이다. 2025.6.18 ⓒ연합뉴스 제공 지난해 10월 경주 월성(月城) 기초·응용과학 연합뉴스 2025-06-19 "개코원숭이도 어렸을 때 아빠 보살핌 받은 딸이 더 오래 산다" 개코원숭이도 어렸을 때 아빠의 보살핌을 오래 받은 딸이 더 오래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에 대해 인간 사회에서 부모가 자녀를 보살피는 행위의 진화적 기원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케냐 암보셀리 국립공원의 개코원숭이 ⓒElizabeth Archie, Notre Dame 제공 미국 노트르담대 엘리자베스 아치 기초·응용과학 연합뉴스 2025-06-18 "야간조명으로 도시 식물 생장 변화…일찍 싹트고 늦게 낙엽 져" 야간 인공조명(ALAN)과 도시열섬(HUI) 현상으로 도시 식물의 생장 기간이 농촌보다 최대 3주 길어졌으며, 온도보다 빛 공해가 이런 현상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야간 인공조명과 도시열섬 현상으로 인한 식생의 계절성 변화. 야간 인공조명(ALAN)과 도시열섬(UHI) 현상은 식생의 계절성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농촌에서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카페인 수혈’ 위해 마신 블랙커피, 수명을 늘린다 식사 시간만 바꿔도 운동 능력이 달라지는 비결, 지방에 있었다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카자흐스탄 리포트 1] 카자흐스탄, KAIST 모델로 공과대 설립 추진 "기술 자립을 위한 전략" 명화 복원, AI로 3시간 만에 끝낸다 스위스는 어떻게 미리 산사태를 미리 막을까? 한세기를 건너온 수수께끼, 한국 행성과학자 이연주 단장이 풀어낸다 "유전자 조작 박테리아, PET병에서 타이레놀 성분 만든다" 와이파이 속도의 100배 '라이파이' 보안까지 높인다 "기후변화·서식지 파괴로 100년 내 조류 500여종 멸종 위기" 속보 뉴스 "남극해, 2015년 이후 더 짜지고 있다…해빙 감소 가속 요인" "포유류 진화에서 가장 최근에 등장한 종은 노르웨이레밍" 한의학硏 "면역항암제 돕는 보중익기탕의 면역조절 원리 확인" UNIST "녹나무 유래 물질로 태양전지 효율·수명 향상" 외부 수소 공급 없이 상온에서 자일리톨·자일론산 생산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KAIST, 스스로 움직이는 세포로봇 개발…연료는 생체 부산물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