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카롤린스카의대를 비롯한 국제협동 연구팀은 최근 생명과학저널 '셀'(Cell) 최근호에 모유와 장내 유익균 및 면역계 발달 사이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새 연구를 발표해 인체 면역 메커니즘을 좀 더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이번 연구에서의 한 가지 한계점은 연구자들이 장에서 직접 면역체계를 연구할 수 없었고 혈액 샘플에 의존해야 했다는 점이었다. 장 면역체계의 모든 측면을 혈액에서 살펴볼 수는 없었으나 그렇다고 건강한 신생아의 장을 생검하는 것은 윤리적으로 용납되기가 어려웠다. 연구팀은 현재 참여 대상 아기들을 더 오랫동안 추적해 어떤 아기가 아토피 습진이나 천식 및 알레르기를 일으키는지를 살펴볼 계획이다. 브로딘 교수는 “우리는 모든 아기들이 더욱 건강한 면역계를 가지고 삶을 시작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박테리아 대체물을 사용한 새로운 실험을 계획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2021.06.21 김병희 객원기자감기 바이러스는 감염된 사람의 재채기나 기침을 통해 나온 비말 속에 섞여 공기 중으로 나온다. 이 비말을 접촉한 사람의 입이나 코를 통해 감기 바이러스가 몸 안으로 들어온다. 공기를 통해 들어오는 이물질을 막기 위해 우리가 숨을 쉬는 코 안에는 수많은 털이 있다. 이 털들이 공기 중의 이물질을 일차로 걸러준다. 하지만 크기가 매우 작은 감기 바이러스는 이 관문을 쉽게 통과할 뿐만 아니라 입을 통해서는 바로 목구멍의 점막으로 향할 수 있다.
2020.07.24 윤상석 프리랜서 작가추석을 앞두고 벌초를 하다가 벌집을 잘못 건드려 벌의 공격을 받는 사고가 종종 일어난다. 가끔 말벌의 공격을 받아 생명을 잃는 끔찍한 사고도 일어나는데, 말벌 침의 독성이 얼마나 강하기에 그런지 궁금해하는 사람이 많다. 사실 사망에 이르게 하는 원인은 말벌 침의 독성이 아니라 말벌 침이 우리 몸에 들어왔을 때 일어나는 강한 알레르기 반응 때문이다. 알레르기 반응은 우리 몸의 면역계가 일으키는 현상이다. 우리 몸의 면역계는 병원균이나 이물질이 몸에 침입하면 이들을 공격하여 없애는 일을 하는데, 일부 이물질에 대해서 불필요하게 과장된 반응을 보여 몸에 해로운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이 과장된 반응이 바로 알레르기이다.
2019.09.06 윤상석 프리랜서 작가구글 모회사 알파벳의 AI 조직 딥마인드(DeepMind)가 새 AI '알파데브'(AlphaDev)를 이용해 새로운 정렬 알고리즘(sorting algorithm)을 발견하고 이를 통해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C++'의 기능을 10년 만에 개선했다.
암컷 악어가 수컷 악어 없이 스스로 임신해 알을 낳은 자기복제 사례가 처음으로 확인됐다고 7일(현지시간) 영국 BBC가 보도했다. 이날 영국 왕립학회가 발행하는 '바이올로지 레터스'(Biology Letters)에 실린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 악어는 2018년 1월 중미 코스타리카 렙틸라니아 동물원에서 알을 낳았다. 부스 박사 분석 결과 죽은 새끼는 유전적으로 어미 악어와 99.9% 일치했으며, 어미를 임신시킨 수컷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요즘은 생활 습관이 변화하면서 가족과 함께하는 식사가 줄고 이른바 '혼밥'이나 가족 이외 타인과의 식사가 늘고 있다. 이런 식습관 변화가 건강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 동국대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오상우 교수와 일산백병원 가정의학과 윤영숙 교수 공동 연구팀이 최근 이런 궁금증을 풀어줄 수 있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최근호에 발표했다.
세계 각국 과학자들이 온실가스 배출량이 매년 사상 최고 기록을 경신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최근 10년간 지구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이미 1.14℃ 상승하는 등 온난화가 전례 없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물을 전기 분해해 수소를 만드는 '그린 수소'의 생산 효율을 높이는 촉매 구조 제어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물질구조제어연구센터 이성수 선임연구원과 성균관대학교 에너지과학과 윤원섭 교수,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유필진 교수 공동연구팀이 수소와 산소를 분리하는 성능을 높이도록 촉매소재 표면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를 대신해 금속 나노입자를 기체 상태로 반응시키면서 높은 산화수를 갖는 흑연 탄소 껍질로 둘러싸는 촉매 구조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
집고양이나 길고양이 개체수를 조절하기 위해 외과적 불임 수술을 하는 대신 암고양이에게 한 번 주사하는 것으로 장기 불임을 유도할 수 있는 유전자 요법이 개발됐다.
암에 걸렸거나 걸렸던 사람이 하루 30분을 걷거나 요가를 하면 신체의 피로도가 줄어 암세포의 확산이나 암의 재발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