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색육을 많이 섭취하면 대장암 위험이 높아진다는 건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적색육이 세포의 변이를 일으키는 방식에 대해서는 여전히 밝혀진 것이 없다. 적색육과 대장암의 연관성을 밝힌 기존의 연구는 주로 역학적인 방법이었다. 즉, 대장암 환자들의 식습관을 조사해 대장암 발병률과 적색육의 연관성을 조사했을 뿐이다. 그 때문에 일부 전문가들의 경우 적색육과 대장암 간에 강한 연관성이 있다고 확신하지 않는다. 그런데 적색육이 풍부한 식단에 의해 촉발된 DNA 손상의 구체적인 패턴을 확인한 연구 결과가 미국암학회(AACR)에서 발간하는 암 관련 국제 학술지 ‘캔서 디스커버리(Cancer Discovery)’ 최신호에 발표됐다.
2021.06.23 이성규 객원기자웁살라 대학의 생태 및 유전학자인 데이비드 버거(David Berger) 교수는 “특히 온도를 올린 상황에서 생물들은 새로운 변이가 발생했는데 온도가 높을수록 돌연변이로 인해 (생체 내에서) 더 큰 손상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는 돌연변이를 일으킨 개체가 그렇지 않은 개체보다 더 나쁜 상황에 처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또한 생체 변이에 있어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적’ 요인이 지구 생물체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생태 변이 예측 모델을 통해 처음 제시하고 있다.
2021.02.04 이강봉 객원기자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팀이 언어 분석 모델을 기반으로 바이러스가 인체 면역을 회피하는 ‘바이러스 탈출’을 전산적으로 모델링하는 방법을 고안해 '사이언스' 15일 자에 발표했다. 최근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팀이 언어 분석 모델을 기반으로 ‘바이러스 탈출’을 전산적으로 모델링하는 방법을 고안해, 바이러스나 암 백신 등의 제조에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 모델은 바이러스 표면 단백질의 어느 부분이 바이러스 탈출을 가능케 하는 돌연변이 확률이 더 높은지를 예측할 수 있어, 이론적으로는 돌연변이 가능성이 낮은 부분을 겨냥해 효과적인 백신을 개발할 수 있다.
2021.01.15 김병희 객원기자영국과 남아프리카에 이어 미국에서도 변이 바이러스가 발견됐다. 14일 ‘ABC’, ‘CNBC’ 등 언론들은 오하이오 주립대 웩스너 의료센터 연구진이 코로나19를 유발하는 또 다른 변이 바이러스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 바이러스는 영국에서 발견된 변이 바이러스와 동일한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으면서 또 다른 3개의 돌연변이(gene mutations)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미국에 이미 존재하는 영국의 변이 바이러스에서 새로운 돌연변이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2021.01.14 이강봉 객원기자돌연변이 ‘B.1.1.7’은 과학자들에게 있어서도 신기한 돌연변이다. 그동안 과학자들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한 번에 12개 이상의 돌연변이를 획득하는 것을 본 적이 없었다. 반면 ‘B.1.1.7’은 17개의 돌연변이를 획득하고 있다. 과학자들이 우려하는 것은 바이러스 표면에서 인간 세포의 감염 고리가 되는 스파이크 단백질이다. 17개 돌연변이 유전자 중 8개가 스파이크 단백질 유전자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그중 2개는 매우 걱정스러운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2020.12.23 이강봉 객원기자코로나19로 인해 밍크가 심각한 곤경에 처하고 있다. 5일 ‘뉴욕타임스’, ‘CNN’, ‘도이치 벨레’ 등 주요 언론에 따르면 덴마크 정부는 1000여 개 농장에서 사육하는 1500만여 마리의 밍크를 도태시킬 계획이다. 메테 프레데릭센 (Mette Frederiksen) 덴마크 총리는 4일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농장에서 사육하는 밍크 도태를 위해 군 병력을 동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가 차원에서 사육 중인 밍크를 모두 도태시킬 것을 결정한 나라는 덴마크가 처음이다.
2020.11.05 이강봉 객원기자전당뇨(prediabetes)가 2형 당뇨병 발병으로 이어지는 나이가 빠를수록 알츠하이머 치매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남극 인근 호주 허드섬에 있는 '빅벤' 화산에서 소규모 용암류가 관측됐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가디언은 유럽우주국(ESA)의 코페르니쿠스 센티넬-2 위성이 지난 25일 촬영한 빅벤 화산 사진에서 소규모 용암이 흘러내리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고 전했다. 퀸즐랜드대학 화산학자인 테레사 유바드 박사는 빅벤 화산이 20세기 초부터 분화를 해왔다면서 이번 분출은 2012년 9월 용암 분출 이후 계속되고 있는 소규모 분출 가운데 하나라고 설명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생명과학과 박찬영 교수 연구팀이 암세포의 새로운 세포 사멸 조절 기작을 발견, 암 발생에 대한 새로운 단서를 제시했다고 30일 밝혔다.
현재 발견되고 있는 수많은 외계행성 중 가장 일반적인 형태인 왜소항성 주변 외계행성 중 3분의 1가량이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액체 상태 물이 있는 영역에 자리 잡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구 온난화를 비롯한 기후 위기가 전 세계적으로 미군의 역량을 약화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30일(현지시간) 미국 NBC 방송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위치한 싱크탱크 랜드연구소는 지난 24일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미군이 장·단기적 기후변화 과제들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랜드연구소는 기후변화가 미국의 병력 훈련, 정비 및 시설 정비, 국내외에서의 효과적 작전 수행 역량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며 폭염, 홍수, 산불, 가뭄, 토지 황폐화, 열대 폭풍우 등을 기후위험으로 꼽았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돼 온라인 수업이 없어졌는데도 초·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은 오히려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생 대상 청소년 사이버 도박 조사에서는 3.3%가 중독 위험군인 것으로 확인됐다. 여성가족부는 29일 전국 학령전환기(초4·중1·고1) 청소년 약 128만명을 대상으로 지난 4월 3일∼28일 실시한 2023년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초등학생 39만9천129명, 중학생 43만9천655명, 고등학생 43만8천5명이 조사에 참여했다.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과의존
'슈퍼 박테리아'(항생제에 내성을 지녀 쉽게 제거되지 않는 세균)를 잡을 새로운 항생제를 발견하는 데 인공지능(AI) 기술이 사용돼 주목된다. 25일(현지시간) 영국 BBC와 가디언 등에 따르면 캐나다 맥마스터대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진은 최근 과학저널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Nature Chemical Biology)에 논문을 게재해 슈퍼 박테리아를 제거할 새로운 항생제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대상이 된 슈퍼 박테리아는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nii)로, 세계보건기구(WHO)가 '치명적인(critical) 위협'으로 규정한 박테리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