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포터의 투명망토 과연 현실화 될까? 포항공과대학교 김진곤 교수님과 함께하는 피플인사이언스! 사이언스프렌즈 저작권자 2021-05-25 ⓒ ScienceTimes 태그(Tag) #POSTECH #김진곤 #사이언스프렌즈 #피플인사이언스 #화학공학 관련기사 자연계의 가장 강력한 결합은 어떻게 끊어질까 ▲ 탄화수소 속 탄소와 수소의 결합은 자연계의 가장 강력한 결합 중 하나로 꼽힌다. 현대 화학자들은 이 결합을 끊어내 탄화수소로부터 유용한 화학물질을 합성하려는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GettyImages 1900년대 초, 독일의 화학자들은 대기 중의 질소와 수소로부터 비료의 주성분인 암모니아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두 과학자는 식량난 버려지는 나무의 놀라운 변신 카드뉴스 제공 : 한국연구재단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원문 보러 가기] 대중이 과학을 하는 문화로, 민간주도의 과학문화 6월 27일, 제11회 과학문화 혁신 포럼이 개최되었다. 과학문화 혁신 포럼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 주관으로 열리며, 현장 의견 수렴과 아이디어 발굴을 통해 과학문화 활동을 추진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자리이다. 이번 과학문화 혁신 포럼의 주제는 ‘민간 주도 행사를 통한 과학문화 생태계 구축’이다. 오후 2시 경부터 1시간 40여 분간 유튜브 채 [신학기 인터뷰] ‘과제량의 보존법칙 들어보셨나요?’ 포스텍 LIFE 포항공과대학교는 대한민국의 4년제 사립대학 중 하나로, 과학기술 분야의 연구중심 대학을 표방하며 과학기술 연구와 교육을 목적으로 설립됐다. 대한민국의 5대 과학기술원에 포함되는 곳은 아니지만, 과학 분야의 최고를 자랑하는 대학으로 꼽힌다. 오늘은 포항공과대학(이하 포스텍)의 재학생 신혜수 씨(기계공학과 20학번)를 만나봤다. 포항공과대학교 전경 ⓒ 신 여성 과학자들, 소외감 심각 지난 2015년 12월 15일, UN 총회는 매년 2월 11일을 ‘세계 여성 과학자의 날(International Day of Women and Girls in Science)’로 제정했다. 그리고 일요일인 11일 세 번째 기념일을 맞아 UN이 성명서를 발표했다. 안토니오 구테레스 (António Guterres) 사무총장은 “지난 15년 동안의 노력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미국 흑인 여성들의 합성 가발, 그들의 건강을 위협한다? "제주 해녀는 유전자가 다르다…잠수 적응 돕는 변이 확인" 늘어나고 있는 쌍둥이 출산, 보다 안전한 출산이 필요하다 아기의 건강한 수면 습관 형성하기 "온실가스 못 줄이면…기후재난 피해 젊은 세대에게 돌아간다" ‘폭싹 속았수다’ 속 애순의 생존 유산은 해녀 유전자? 2025년-양자과학기술 100년, 양자산업의 원년? 물속에서 '빛으로 움직이는' 소프트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 접이식 막날개 펼쳐 자유자재로 급정지…'날다람쥐 드론' 개발 무심코 쓰는 일상 플라스틱 제품, 심장질환을 높인다? 속보 뉴스 혈액 속 극소량 암세포 DNA, 빛·인공지능으로 조기진단한다 "어르신들 외로움·고립감 줄이려면 청력 손실부터 치료해야" KAIST 가상현실 정밀 조작 기술 등 2건 美 학회 우수논문상 "야생 침팬지 어미-새끼도 사람과 유사한 애착 관계 형성" 부산대·경상대·아주대 연구팀, 태양전지 효율 향상 기술 개발 한밭대 박준식 교수팀, 1천500도 초고온 내산화 코팅 기술 개발 부산대, 차세대 표적 항암제 후보물질 개발…종양 40% 감소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