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리에 앉은 후 30분마다 5분씩만 걸어도 혈압과 혈당 수치 조절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움직이지 않고 장시간 앉아 있는 것은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의사들은 건강을 위해 자주, 많이 움직여야 한다고 조언한다. 하지만 얼마나 자주, 얼마나 오래 움직여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은 모호해서 많은 사람들이 부족한 움직임을 ‘몰아서’ 운동하는 것으로 대체하기도 한다.
그런데 규칙적일지라도 몰아서 하는 운동보다 조금씩 자주 자리에서 일어나 움직이는 것이 건강에 더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미국스포츠의학회(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에 소개돼 관심을 끈다.
잠시 가볍게 걷는 것만으로도 건강에 해로운 요소를 상당 부분 상쇄할 수 있다. ⓒGettyImagesBank
현대인들은 장시간 과도하게 앉아 있다. 학생이든 직장인이든 최소 8시간 이상은 책상 앞에 앉아 학업과 업무를 보며, 귀가 후 집에서 보내는 여가시간에도 대부분 앉아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하루에 얼마나 오래 앉아 있을까.
2017년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은 하루 평균 8.2시간을 앉아서 지낸다. 특히 8시간 이상 앉아 있는 사람은 22.8%를 차지하고, 13~19세 청소년은 49.8%에 이른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대유행 기간에 재택근무,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인해 이보다 훨씬 더 많이 앉아 있었을 것으로 예측했다.
현대인에게 이처럼 장시간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는 것이 필수다. 하지만 이런 생활은 심혈관 질환과 당뇨병, 비만 등 여러 가지 질병을 유발한다. 미국 암학회에서는 하루 6시간 이상 움직이지 않고 앉아 있는 사람들은 하루 3시간 미만 앉아 있는 사람에 비해 사망률이 19%가 높다는 연구결과를 내놓은 바 있다.
장시간의 좌식생활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졌음에도 불구하고 이로 인한 질병 발병률은 해마다 늘고 있다. 그래서 세계보건기구는 오래 앉아서 일하는 습관으로 인해 생기는 질병들에 대해 ‘의자병(Sitting Disease)’으로 명명했다. ‘의자병’은 광범위하게 말하면 건강에 해로운 영향과 관련된 앉아 있는 행동이 증가한 상태로 정의된다.
한편 누군가는 “나는 오래 앉아 일하지만, 매일 규칙적으로 운동하는데 ‘의자병’에 해당이 되나?”라고 의문을 가질 수 있다. 애석하게도 이에 대한 대답은 “그렇다.”이다.
스포츠와 운동 의·과학 저널(The Journal of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에 따르면 일주일에 5번 운동하는 ‘활동적인 카우치 포테이토(Active Couch Potato)’는 ‘의자병’과 관련된 위험에 직면한다고 말한다. 체육관·짐 밖에서 앉아 있는 생활방식을 바꾸지 않는다면 말이다. 결론은 생활 속에서 ‘앉기-서기’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
‘의자병(Sitting Disease)’은 여러 질환으로 나타나는데, 다리에 혈액이 고여 정맥류 혹은 혈전을 유발할 수 있다. ⓒhealthline.com
이달 초 미국 콜롬비아 대학 메디컬 센터는 신체적 활동성을 늘리면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상쇄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미국스포츠의학회(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에 게재된 이 결과에 따르면 의자에 앉은 후 30분마다 5분씩 걷는 행동이 혈압과 혈당 수치를 낮추는 데 가장 효과적이었다.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들에게 8시간 동안 앉아서 일하거나 독서, 휴대폰 사용 등의 환경을 조성한 후, 5가지 조건의 행동 수행을 요청했다. 참가자들의 선택지는 ① 30분이 지날 때마다 1분간 걷기, ② 60분이 지날 때마다 1분간 걷기, ③ 30분이 지날 때마다 5분간 걷기, ④ 60분이 지날 때마다 5분간 걷기, ⑤ 걷지 않고 계속 앉아 있기 등이다.
그리고 연구팀은 참가자들의 식후 혈압과 혈당 수치를 측정했다. 그 결과 30분이 지날 때마다 5분간 걸은 참여자들의 혈당·혈압 수치가 감소했으며, 식후 혈당 스파이크는 무려 58% 감소했다고 밝혔다. 또한, 30분마다 1분간 걷는 것도 같은 효과를 냈지만 미미한 수준이었고, 60분마다 1분 또는 5분간 걷는 것은 아무런 효과가 없었다고 전했다.
의자에 앉은 지 30분마다 5분씩 걷는 행동이 혈압과 혈당 수치를 낮추는 효과가 나타났다. ⓒCNN news 영상 캡처
걷기는 근육이 혈당과 콜레스테롤 수치를 조절하기 위한 근육의 움직임을 돕는다. 하지만 장시간 앉아만 있으면 근육도 역시 움직이지 않아 수치를 조절할 수 없다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이다. 또한, 짧은 시간이라도 걷거나 움직이면 다리로 향하는 혈류를 정기적으로 보충해줘서 혈압의 부정적인 변화를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연구 책임자인 디아즈(Keith Diaz) 박사는 “우리의 실험에서 수행한 걷기는 하루종일 앉아 있는 것에 비해 혈압을 4~5mmHg 감소시켰으며, 이것은 6개월 동안 매일 운동할 때 기대할 수 있는 정도의 수치.”라고 말했다.
한편, 걷기는 기분과 피로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조건 중 60분마다 1분간 걷는 것을 제외한 모든 걷기는 참가자의 피로를 감소시키고 기분 및 인지성능 수준은 크게 개선되었다.
연구진은 이 결과를 토대로 다른 25가지 유형의 걷기 효과를 관찰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리고 “최적의 건강을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과 더불어 직장·학교에서 소량의 걷기라도 해야 심장 질환, 기타 만성 질환의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다.”고 덧붙였다.
(1286)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정부가 2025년까지 자율주행차 국가표준(KS) 25건을 제정하고 국제표준 30건을 제안하는 목표를 세웠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국표원)은 22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 조선팰리스호텔에서 자율주행차의 산업 활성화와 표준화 추진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업계·관계기관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국내 관련 기업들의 사업화 안내를 위해 지난달 말 자율주행차 표준화 추진 전략 초안을 마련했다고 전했다. 국표원은
/ 약물 반응을 미리 알아볼 수 있는 인공신장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포항공대(포스텍)는 기계공학과 조동우·장진아 교수 연구팀이 사구체 혈관세포와 지족세포층, 사구체기적막층을 포함한 사구체 미세혈관 칩(인공신장)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신장은 체내 대사 과정에서 생긴 노폐물 등을 소변으로 배설함으로써 우리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기관이고 약물에 대한 독성을 가장 먼저 일으키는 기관이기도
/ 기초과학연구원(IBS)은 혈관연구단 고규영 단장(KAIST 의과학대학원 특훈교수) 연구팀이 콧속 혈관·림프관의 3차원 정밀지도를 완성했다고 22일 밝혔다. 코는 후각을 담당하는 동시에 외부 공기가 폐로 들어가는 첫 번째 관문으로, 외부 공기를 데우고 습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비강(鼻腔)의 점막은 외부 병원균·이물질을 막아주는 최초 면역 장벽 기능도 수행한다. 다만 비강 내 복잡한 구조 때문에
/ 국세청이 챗GPT와 같은 차세대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세무상담 서비스 도입을 추진한다. 국세청 대표 서비스인 홈택스를 ‘지능형 홈택스’로 고도화해 세금 신고·납부 과정에서의 납세자 편의성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국세청은 22일 서울지방국세청에서 2023년도 제1차 국세행정개혁위원회를 열고 이런 내용의 디지털 혁신, 복지세정, 국세행정 운영 방향 등을 논의했다. 국세행정개혁위원회는 모범 납세자와 각계 전문가
/ 이산화탄소를 고순도 기체로 포집하는 공정을 없애 경제성을 높인 새로운 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공정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이웅 청정에너지연구센터 책임연구원과 원다혜 선임연구원 공동연구팀은 액상 흡수제에 기체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후 바로 전기화학적으로 전환해 고부가가치 합성가스를 생산하는 공정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기존 액상 흡수제를 활용하는 CCUS 공정은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다음 다시 고순도 기체로
/ 중국 정부가 지난해 12월 이래 3개월여만에 ‘블루 아카이브’를 비롯한 한국산 게임에 판호(版號·중국 내 게임 서비스 허가)를 발급했다. 21일 게임 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가신문출판서는 전날 홈페이지를 통해 한국 게임을 포함한 27종의 외국산 게임 수입을 허가했다고 공지했다. 중국은 심의를 거친 자국 게임사 게임에 ‘내자판호’를, 해외 게임사 게임에는 ‘외자판호’를 발급해 서비스를
/ 애플의 근거리무선통신(NFC) 결제 서비스 ‘애플페이’가 마침내 한국에 상륙했다.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 따르면 애플과 현대카드는 21일 오전부터 애플페이 국내 서비스를 시작했다. 아이폰과 현대카드를 보유한 이용자는 호환 단말기를 보유한 매장에서 카드 실물 없이 휴대전화로 간편결제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당초 양사는 이달 초를 서비스 개시 목표일로 삼았으나 호환 단말기 보급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