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만5천년 전 '일직선상아 코끼리' 70마리 뼈 도살 흔적 분석
멸종한 인류의 사촌인 네안데르탈인이 아시아 코끼리의 2∼3배에 달하는 ‘일직선상아 코끼리’를 사냥해 먹을 만큼 큰 집단을 유지하고 있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네안데르탈인은 기껏해야 20명이 넘지 않은 작은 집단을 이뤄 생활한 것으로 여겨져 왔지만 최대 13t에 달하는 고대 코끼리를 잡고 그 고기를 모두 소모한 걸로 볼 때 훨씬 더 큰 집단 생활을 한 거로 추정된다는 것이다.
네덜란드 레이던대학 고고학 교수 빌 뢰브뢰크스 등이 참여한 연구팀은 독일 중부 할레 인근에서 발굴된 12만5천년 전 일직선상아 코끼리(Palaeoloxodon antiquus)의 뼈를 분석해 얻은 결론을 과학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발표했다.
과학저널 ‘사이언스’ 홈페이지와 AFP 통신 등에 따르면 이 뼈들은 1980년대 중반 노이마르크-노르트 마을 인근 탄광에서 광부들이 처음 발견했으며, 이후 10여년 걸쳐 70마리가 넘는 일직선상아 코끼리뼈가 출토됐다.
이들 뼈는 거의 모두 수컷 성체라는 점에서 네안데르탈인들이 죽은 코끼리 고기에 손을 댄 것이 아니라 직접 사냥한 것으로 분석됐다.
코끼리 수컷은 새끼들과 무리를 지어 이동하는 암컷과 달리 무리에서 떨어져 나와 혼자 돌아다녀 구덩이나 진흙밭으로 몰아 잡을 수 있는 손쉬운 사냥감이 됐을 것이란 근거에서다.
연구팀은 3천400여개에 달하는 뼈를 일일이 분석했으며 거의 모든 뼈에서 홈이나 긁힌 자국 등 석기를 이용한 전형적인 도살 흔적을 확인했다.
특히 이들 뼈에는 늑대나 하이에나 등이 문 흔적이 없어 마지막 살 한 점까지 철저하게 발라낸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일직선상아 코끼리 성체 한 마리에서 나올 수 있는 고기가 10t에 달해 350명이 일주일간 먹거나 100명이 한 달간 먹을 만한 양일 것으로 추산했다.
연구팀은 약 20명 정도밖에 안 되는 네안데르탈인 집단이 이렇게 큰 코끼리를 잡아 마지막 살 한 점까지 모두 소비했다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면서 현재까지 밝혀지지 않은 장기적 고기 보관 방법이 있었거나 네안데르탈인 집단이 지금까지 여겨지는 것보다 훨씬 더 컸을 수 있다고 했다.
현장에서는 숯불을 이용한 흔적도 발굴됐는데, 이는 고기를 선반에 걸어두고 건조했을 수도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으로 제시됐다.
뢰브뢰크스 교수는 AFP통신과의 회견에서 네안데르탈인이 더 큰 사회를 이루고 살았다는 증거를 제시했지만 얼마나 큰 집단이었는지 특정하기는 어렵다면서 “코끼리 고기 10t을 갖고 있고 썩기 전에 처리를 원한다면 스무명이서 일주일 안에 끝낼 수 있는 무언가가 필요하다”고 했다.
미국 네바다대학의 은퇴 고고학자 게리 헤인즈 박사는 사이언스와의 인터뷰에서 “네안데르탈인이 한때 알려졌던 것처럼 인간과 비슷한 모양을 한 짐승이라기보다는 현생인류에 더 가까웠다는 점을 상상하게 해주는 것”이라고 연구결과를 평가했다.
(255)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정부가 2025년까지 자율주행차 국가표준(KS) 25건을 제정하고 국제표준 30건을 제안하는 목표를 세웠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국표원)은 22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 조선팰리스호텔에서 자율주행차의 산업 활성화와 표준화 추진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업계·관계기관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국내 관련 기업들의 사업화 안내를 위해 지난달 말 자율주행차 표준화 추진 전략 초안을 마련했다고 전했다. 국표원은
/ 약물 반응을 미리 알아볼 수 있는 인공신장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포항공대(포스텍)는 기계공학과 조동우·장진아 교수 연구팀이 사구체 혈관세포와 지족세포층, 사구체기적막층을 포함한 사구체 미세혈관 칩(인공신장)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신장은 체내 대사 과정에서 생긴 노폐물 등을 소변으로 배설함으로써 우리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기관이고 약물에 대한 독성을 가장 먼저 일으키는 기관이기도
/ 기초과학연구원(IBS)은 혈관연구단 고규영 단장(KAIST 의과학대학원 특훈교수) 연구팀이 콧속 혈관·림프관의 3차원 정밀지도를 완성했다고 22일 밝혔다. 코는 후각을 담당하는 동시에 외부 공기가 폐로 들어가는 첫 번째 관문으로, 외부 공기를 데우고 습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비강(鼻腔)의 점막은 외부 병원균·이물질을 막아주는 최초 면역 장벽 기능도 수행한다. 다만 비강 내 복잡한 구조 때문에
/ 국세청이 챗GPT와 같은 차세대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세무상담 서비스 도입을 추진한다. 국세청 대표 서비스인 홈택스를 ‘지능형 홈택스’로 고도화해 세금 신고·납부 과정에서의 납세자 편의성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국세청은 22일 서울지방국세청에서 2023년도 제1차 국세행정개혁위원회를 열고 이런 내용의 디지털 혁신, 복지세정, 국세행정 운영 방향 등을 논의했다. 국세행정개혁위원회는 모범 납세자와 각계 전문가
/ 이산화탄소를 고순도 기체로 포집하는 공정을 없애 경제성을 높인 새로운 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공정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이웅 청정에너지연구센터 책임연구원과 원다혜 선임연구원 공동연구팀은 액상 흡수제에 기체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후 바로 전기화학적으로 전환해 고부가가치 합성가스를 생산하는 공정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기존 액상 흡수제를 활용하는 CCUS 공정은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다음 다시 고순도 기체로
/ 중국 정부가 지난해 12월 이래 3개월여만에 ‘블루 아카이브’를 비롯한 한국산 게임에 판호(版號·중국 내 게임 서비스 허가)를 발급했다. 21일 게임 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가신문출판서는 전날 홈페이지를 통해 한국 게임을 포함한 27종의 외국산 게임 수입을 허가했다고 공지했다. 중국은 심의를 거친 자국 게임사 게임에 ‘내자판호’를, 해외 게임사 게임에는 ‘외자판호’를 발급해 서비스를
/ 애플의 근거리무선통신(NFC) 결제 서비스 ‘애플페이’가 마침내 한국에 상륙했다.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 따르면 애플과 현대카드는 21일 오전부터 애플페이 국내 서비스를 시작했다. 아이폰과 현대카드를 보유한 이용자는 호환 단말기를 보유한 매장에서 카드 실물 없이 휴대전화로 간편결제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당초 양사는 이달 초를 서비스 개시 목표일로 삼았으나 호환 단말기 보급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