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한 아이가 공을 찾으러 방으로 들어온다. 곧이어 아이에게 젖을 물리는 아줌마, 검은 안경의 좀도둑, 술 취한 사내, 운동하는 남자, 기저귀 갈아주는 엄마, 청소부, 전기수리공, 할머니 등으로 좁은 방은 가득 찬다. 이들은 끊임없이 방으로 들어오고 나가는 똑같은 행위를 반복한다.
마치 마술처럼 보이는 기묘한 영상이 프레임 속에서 반복적으로 펼쳐지는 ‘탱고(Tango, 1980)’는 즈비뉴 립친스키(Zbigniew Rybczynski) 감독의 실험 단편 애니메이션으로 1983년 아카데미 최우수 단편 애니메이션, 그리고 안시 국제애니메이션 영화제과 오버하우젠 국제영화제 등 다수의 영화제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한 작품이다.
픽실레이션 애니메이션 기법의 대가인 즈비뉴 립친스키 감독은 이 작품의 표현과 이미지 합성을 위해 약 1만 6000장의 셀 매트에 직접 페인팅을 하였고, 수십만 번의 옵티컬 프린팅 공정을 거쳤다.
하루 16시간씩 7개월 동안 필름과의 고군분투를 통해 탄생한 ‘탱고’는 아날로그 영상 시대의 실로 경이적인 픽실레이션 미학을 창조해냈다.
‘탱고’는 뚜렷한 내러티브나 주인공 없이 인물의 움직임과 음악만으로 표현된 형식 실험 애니메이션으로, 단지 고정된 카메라 앞에서 서로 다른 일상 속의 사람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한 방에서 교차하며, 이를 단지 하나의 롱 테이크 쇼트로 보여준다.
완성된 필름 ‘탱고’는 라이브 액션의 각 프레임들을 철저하고 집요하게 분해하고 재조립한 것으로, 이로 인해 사진 이미지들로 영화가 구성되었지만, 실제로는 존재할 수 없는 재개념화된 영화적 시간과 공간이 창조되었다. 좁은 방 안에서 교차하며 등장하는 36명의 사람들은 같은 공간에 있지만, 서로 부딪치지 않고 무관하게 움직인다. 이들은 서로 다른 일상과 시간을 반복하는 소시민에 대한 알레고리(allegory)로 보인다.
1949년 폴란드에서 태어나 미술을 공부한 즈비뉴 립친스키 감독은 로츠 영화학교(Lodz Film School)에서 수학하면서 만든 ‘Take Five(1972)’와’Kwadrat(1972)’를 통해 특유의 픽실레이션, 옵티컬 프린팅, 이미지 합성 기법 등을 활용한 혁신적이고 실험적인 애니메이션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
1980년대에는 러쉬, 롤링 스톤즈, 슈퍼 트램프, 오노 요코, 알란 파슨즈 프로젝트, 척 맨지오니, 팻 샵 보이스 등과 같은 뮤지션들의 뮤직비디오 30여 편을 만들었고, 그의 독창적인 뮤직비디오로 인해 MTV로부터 특별공로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고전영화 ‘전함 포템킨(Bronenosets Potemkin)’의 오뎃사의 계단 시퀀스를 오마주(Hommage)한 영화 ‘Steps’를 만들기도 했다.
또한 그는 존 레넌의 음악을 영상화하여 리오 국제영화제 등에서 수상한 ‘이매진(Imagine, 1986)’, 에미상 특수효과상과 도쿄-몽트뢰 국제일렉트로닉영화제 그랑프리를 수상한 장편음악영화 ‘오케스트라(The Orchestra, 1990)’, 샌프란시스코 영화제 등에서 수상한 실험장편 ‘카프카(Kafka, 1992)’등과 같이 HDTV 영화 분야에서도 선구자격의 작품을 제작하였고, 아카데미상을 수여하는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AMPAS,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의 회원이기도 하다.
라이브 액션 영상의 변형과 재구성으로 애니메이션의 영역을 무한대로 확장시키고 있는 혁신적인 영상미학의 거장 즈비뉴 립친스키 감독. 그는 로츠 영화학교, 콜롬비아 대학, 쾰른 미디어아트 학교 등에서 후학들을 가르치기도 하였으며, 현재 새로운 장편영화 ‘The Designer’를 제작하고 있다.
놀라운 상상력과 실험적인 영상들로 가득 찬 즈비뉴 립친스키 감독의 작품들은 ‘Media: Zbigniew Rybczynski – A Collection’, ‘Steps’, ‘The Orchestra’라는 DVD 타이틀로 발매되었으며, 립친스키 감독에 대한 좀 더 상세한 정보는 홈페이지 ZBIG VISION(www.zbigvision.com)에서 찾을 수 있다.
(1368)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올해 공공 분야의 소프트웨어·정보통신기술(ICT) 장비·정보보호 사업 규모가 작년보다 2.7% 증가한 6조2천239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소프트웨어 구축 사업 예산이 4조5천406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상용 소프트웨어 구매에 3천605억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컴퓨팅, 네트워크, 방송 장비 등 ICT 장비 구매 비용은 1조 3천227억원으로 나타났다. (10)
/ 36개국이 한국에 모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술 협력방안 도출에 머리를 맞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유엔기후변화협약 기술메커니즘 이사회가 24일 개막했다고 밝혔다. 이사회는 오는 29일까지 인천 송도에서 계속된다. 유엔기후변화협약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1992년 설립된 협약이다. 총 198개국이 참여하는 규범으로, 매년 당사국총회를 열어 주요 사항을 결정한다. 기후메커니즘은 2010년 당사국총회에서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과학기술 중요성에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혈관이 막혀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는 응급 질환인 망막혈관폐쇄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실마리를 발견했다고 23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화학과 조재흥 교수팀은 서울아산병원 안과 이준엽 교수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백무현 교수팀과 망막혈관폐쇄질환의 새로운 치료법을 찾기 위한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공동연구진은 폐쇄된 혈관을 확장해 효과적으로 흐름을 복구하는 ‘철-일산화질소 복합체’ 개발에 성공했다 일산화질소는
/ 충남 천안아산 KTX역세권 연구개발(R&D) 집적지구 1호 사업인 충남지식산업센터가 23일 준공됐다. 센터는 천안시 서북구 불당동 4천510㎡ 부지에 지하 1층·지상 6층 규모(연면적 1만2천471㎡)로 건립됐다. 입주대상은 지식산업, 정보통신, 제조업과 관련 지원시설 등이다. 반도체 장비 제조,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개발, 산업용 필터 등 12개 기업이 이달 중 입주할 예정이다. 충남도는 지식산업센터를 통해 일자리
/ 한국과학기술원(KAIST) 부설 인공지능(AI) 바이오 영재고가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에 들어선다. 개교 목표 시기는 2027년 3월이다. 충북도는 23일 한국과학기술원이 희망하는 학교 부지요건 등에 대한 의견을 듣고 도교육청과 함께 숙고한 끝에 오송읍을 건립 부지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부지 선정의 결정적 요건은 향후 설립될 한국과학기술원 오송캠퍼스와의 접근성, 핵심인력 양성의 용이성 등이었다. 오송에는 첨단의료제품
/ 교육부는 교원의 인공지능(AI)·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2023년 아이에답(AIEDAP) 사업 착수보고회’를 23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연다고 밝혔다. 아이에답은 민·관·학 디지털 전문가가 현직 교원과 예비 교원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난해 시작됐다. 올해는 지역 여건에 맞는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권역별 사업지원단을 꾸리고, 교육 현장에서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수업을
/ 강원 양구군은 치매 환자, 독거노인 등 돌봄이 필요한 고령자를 대상으로 인공지능(AI) 말벗 인형 ‘천사친구 효돌·효순이’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23일 밝혔다. 군은 치매안심센터에 등록한 맞춤형 사례관리 대상자 중 우울 척도가 높은 10명에게 오는 12월까지 말벗 인형을 지원한다. 이는 정서·인지 정도가 다소 낮은 어르신을 돕는 인형 모양의 로봇이다. 일상 중 말벗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