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지금] 국제공동해양시추프로그램(IODP) 연구진, 신생대 유기탄소 매장량 변화 분석
▲ 국제공동해양시추프로그램(IODP)의 심해굴착 탐사선 ‘조이데스 레졸루션(JOIDES Reseolution)’ 호의 모습. ⓒIODP
생명의 주성분인 탄소는 지구 전체를 끊임없이 순환한다. 지구 해양과 생물권, 대기권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10%에 불과하다. 빙하기와 간빙기를 반복하는 장기적 기후변화에도 불구하고 해양 밑 지각으로 흡수되는 탄소의 양은 일정할 것이라는 예측이 지금까지의 정설이었다. 최근 해양 퇴적물을 조사한 국제공동연구결과 이 정설이 틀렸음이 밝혀졌다. 지각으로 흡수되는 유기탄소의 양이 기존 예측과 달리 기후변화에 기민하게 반응한다는 것이다.
국제공동해양시추프로그램(IODP) 연구진은 1월 4일 저명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해양 퇴적물 속 유기탄소 양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보고했다. IODP는 전 세계 26개 나라가 참여하는 공동연구 프로그램으로 전 세계 바다를 대상으로 해저 시추를 통한 연구로 해양 지구과학 분야의 이슈를 해결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7년 IODP에 참여했으며, 지난해 2월에는 동해 울릉 분지가 IODP의 과학적 시추 연구지로 최종 승인되기도 했다.
대기 중 탄소는 대부분 이산화탄소(CO2)의 형태로 존재한다. 식물이 광합성에 의해 탄소를 흡수하면 먹이사슬에 따라 동물에게 이동한다. 일부는 생물의 호흡을 통해 기권으로 이동하고, 일부는 생물의 사체나 배설물 형태로 지권으로 이동한다. 지권에 묻힌 탄소는 오랜 시간이 흐르면 석탄이나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가 된다. 때로는 지구 깊은 곳에서 수백억 원의 가치를 지닌 ‘천연 다이아몬드’를 재탄생하기도 한다.
▲ 탄소의 전 지구적 순환 및 지각 섭입 메커니즘을 나타낸 모식도. ⓒR. Dasgupta/Rice University
과학자들은 지구의 기후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오랫동안 해양 퇴적물에 묻혀 있는 탄소의 양을 연구해왔다. 하지만 깊은 바다 속에서 실제 샘플을 채취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예측히는 방식을 택했다. 자연에서 탄소는 두 종류의 안정적인 동위원소 형태로 존재한다. 탄소 동위원소인 탄소-12와 이보다 중성자가 하나 더 있어 질량이 무거운 탄소-13이다. 동위원소란 원자번호가 같은 원소지만 중성자수가 달라 질량이 다른 원소를 말한다.
조금이라도 질량이 무거우면 순환이 어렵기 때문에 생명체는 더 가벼운 동위원소인 탄소-12를 선호한다. 무거운 탄소-13보다는 가벼운 탄소-12를 흡수한 뒤 유기물을 생산한다. 그렇기 때문에 탄소-13과 탄소-12의 비율(탄소13/탄소12)을 고려하면 해양의 주위환경 및 고기후를 파악할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해서 과학자들은 그간 해양에 매장된 유기 탄소의 상대적인 양을 연구하기 위해 동위원소 비율을 사용해왔다. 그리고 그 계산 모델을 기반으로 지금까지 해양에 매장된 유기 탄소의 양이 지난 3,000만 년 동안 거의 변하지 않았다고 믿어져 왔다.
IODP 연구진은 세계 최초로 해양에 매장된 유기탄소 양을 파악하기 위해 퇴적물을 사용했다. 퇴적물 양을 유추할 수 있는 계산 대신 실제 증거를 찾아 나선 것이다. 연구진은 1,500회 이상의 선상 탐사 중 해양 유기탄소 매장량을 조사하기 적절한 81회 동안 수집된 퇴적물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신생대 기간 동안 해양에 매장된 유기 탄소의 양을 알아냈다.
분석 결과 이전 예측과 달리 유기탄소 매장량의 변동성이 컸다. 전 세계적으로 유기탄소 매장량은 신생대 3기에 해당하는 마이오세(약 2,300만~533만 년 전)와 플라이오세(약 533만~258만 년 전) 기간에 가장 많았다. 하지만 특이적으로 약 1,500만 년 전의 플라이오세 중기에는 매장량이 대폭 줄었다. 고기후와 비교한 결과 연구진은 이 기간이 2,300만 년 지구의 역사 중 가장 따뜻했던 시기였음을 파악했다. 연구진은 유기탄소 매장이 줄어든 이유가 온도 의존적인 박테리아 때문일 것으로 추정했다.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의 대사활동은 온도가 10℃ 올라갈 때마다 두 배가량 증가한다.
교신저자인 이게 장(Yige Zhang) 미국 텍사스A&M대 박사는 “실제 해저 퇴적물 코어 분석 결과는 온난화가 해양 유기 탄소 매장을 줄이고, 동시에 대기로 반환되는 탄소의 양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과학자들이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해양은 더 민감하게 지구의 기후 시스템에 반응한다”고 말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바다 식물 플랑크톤이 기후변화로부터 해양 생태계의 피해를 막는 방어막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기초과학연구원(IBS) 기후물리 연구단 연구팀은 기후변화로 인한 서식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바다 식물 플랑크톤의 유기탄소 생산량은 증가할 것이라고 분석하고 그 결과는 지난 해 12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보고했다.
▲ 바다 식물 플랑크톤의 영양 흡수 조절 능력을 가정한 기후 시뮬레이션 결과(빨간색 선, 주황색 선)에서는 기존 전망(파란색 선)과 달리 해양 순생산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식물 플랑크톤은 바다에서 가장 중요한 유기체다. 햇빛이 닿는 바다 표층에 주로 서식하며 광합성을 통해 바다 생물의 먹이인 유기탄소를 합성하고, 인류 호흡에 필요한 산소를 내놓는다. 지구온난화는 해양의 심층부보다 표층부 바닷물을 더 데운다. 표층수가 따뜻해지면 밀도가 가벼워지며 심층부와 층이 더 명확히 분리(성층화)된다. 식물 플랑크톤은 영양염과 이산화탄소를 광합성에 이용하는데, 해양이 성층화되면 심층부에 풍부한 영양염이 표층부에 덜 도달한다. 즉, 지구온난화는 식물 플랑크톤의 먹이를 줄인다.
이전 연구들은 표층부의 영양염 고갈이 식물 플랑크톤 생산성을 감소시켜 해양 생태계를 교란하고, 기후에도 악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IBS와 미국 하와이대 공동연구팀은 북태평양 해양과학기지 관측 자료와 슈퍼컴퓨터 기반 기후 시뮬레이션 결과를 종합한 결과, 이전 연구의 결론과 달리 표층부 수온 상승에도 불구하고 식물 플랑크톤 생산성은 증가한다는 결론을 내놨다.
공동연구진은 선행 연구들이 식물 플랑크톤의 ‘영양 흡수 조절 능력’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했다. 하와이 해양 시계열 관측(HOT‧Hawai’i Ocean Time-series)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지난 30년간 수집된 식물 플랑크톤 자료에 따르면, 표층 영양염이 매우 고갈된 시기에도 식물 플랑크톤 생산성은 일정하게 유지됐다. 열악한 조건에서 식물 플랑크톤은 인(P) 대신 황(S)을 광합성에 사용하며, 영양염 부족 환경에 적응하기 때문이다. 이를 영양 흡수 조절 능력이라고 한다. 바다 식물 플랑크톤이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신진대사 전략을 바꾼다는 의미다.
IBS 연구팀은 슈퍼컴퓨터 ‘알레프(Aleph)’ 기반 기후 모델 시뮬레이션을 통해 식물 플랑크톤의 영양 흡수 조절 능력이 향후 전 지구 해양 생산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분석했다. 그 결과, 전 지구 표면 온도가 약 4℃ 상승하는 2100년까지 플랑크톤 생산성은 전 지구적으로 약 5%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 미래(2080~2100년 평균) 식물 플랑크톤의 영양 흡수 조절 능력을 고려하지 않은 기존 전망과 고려한 전망의 차이를 보여준다. 색이 붉을수록 고려했을 때의 생산성이 고려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제1저자인 권은영 IBS 기후물리 연구단 연구위원은 “식물 플랑크톤 생산성이 강화되면 바다는 대기로부터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 때문에 기후변화를 완화하는 효과도 있다”고 설명했다.
(904)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정부가 2025년까지 자율주행차 국가표준(KS) 25건을 제정하고 국제표준 30건을 제안하는 목표를 세웠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국표원)은 22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 조선팰리스호텔에서 자율주행차의 산업 활성화와 표준화 추진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업계·관계기관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국내 관련 기업들의 사업화 안내를 위해 지난달 말 자율주행차 표준화 추진 전략 초안을 마련했다고 전했다. 국표원은
/ 약물 반응을 미리 알아볼 수 있는 인공신장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포항공대(포스텍)는 기계공학과 조동우·장진아 교수 연구팀이 사구체 혈관세포와 지족세포층, 사구체기적막층을 포함한 사구체 미세혈관 칩(인공신장)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신장은 체내 대사 과정에서 생긴 노폐물 등을 소변으로 배설함으로써 우리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기관이고 약물에 대한 독성을 가장 먼저 일으키는 기관이기도
/ 기초과학연구원(IBS)은 혈관연구단 고규영 단장(KAIST 의과학대학원 특훈교수) 연구팀이 콧속 혈관·림프관의 3차원 정밀지도를 완성했다고 22일 밝혔다. 코는 후각을 담당하는 동시에 외부 공기가 폐로 들어가는 첫 번째 관문으로, 외부 공기를 데우고 습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비강(鼻腔)의 점막은 외부 병원균·이물질을 막아주는 최초 면역 장벽 기능도 수행한다. 다만 비강 내 복잡한 구조 때문에
/ 국세청이 챗GPT와 같은 차세대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세무상담 서비스 도입을 추진한다. 국세청 대표 서비스인 홈택스를 ‘지능형 홈택스’로 고도화해 세금 신고·납부 과정에서의 납세자 편의성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국세청은 22일 서울지방국세청에서 2023년도 제1차 국세행정개혁위원회를 열고 이런 내용의 디지털 혁신, 복지세정, 국세행정 운영 방향 등을 논의했다. 국세행정개혁위원회는 모범 납세자와 각계 전문가
/ 이산화탄소를 고순도 기체로 포집하는 공정을 없애 경제성을 높인 새로운 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공정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이웅 청정에너지연구센터 책임연구원과 원다혜 선임연구원 공동연구팀은 액상 흡수제에 기체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후 바로 전기화학적으로 전환해 고부가가치 합성가스를 생산하는 공정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기존 액상 흡수제를 활용하는 CCUS 공정은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다음 다시 고순도 기체로
/ 중국 정부가 지난해 12월 이래 3개월여만에 ‘블루 아카이브’를 비롯한 한국산 게임에 판호(版號·중국 내 게임 서비스 허가)를 발급했다. 21일 게임 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가신문출판서는 전날 홈페이지를 통해 한국 게임을 포함한 27종의 외국산 게임 수입을 허가했다고 공지했다. 중국은 심의를 거친 자국 게임사 게임에 ‘내자판호’를, 해외 게임사 게임에는 ‘외자판호’를 발급해 서비스를
/ 애플의 근거리무선통신(NFC) 결제 서비스 ‘애플페이’가 마침내 한국에 상륙했다.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 따르면 애플과 현대카드는 21일 오전부터 애플페이 국내 서비스를 시작했다. 아이폰과 현대카드를 보유한 이용자는 호환 단말기를 보유한 매장에서 카드 실물 없이 휴대전화로 간편결제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당초 양사는 이달 초를 서비스 개시 목표일로 삼았으나 호환 단말기 보급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