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실학자 정약용과 화성 축조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 1762~1836)은 조선 후기의 학자, 철학자, 시인, 과학자, 공학자로서 ‘경세유표(經世遺表, 1808)’, ‘목민심서(牧民心書, 1818)’, ‘흠흠신서(欽欽新書, 1822)’ 등을 저술한 실학자이다. 실학은 성리학의 관념성과 경직성을 비판하며 경세치용(經世致用), 이용후생(利用厚生), 실사구시(實事求是) 등의 현실 개혁적 학문 태도를 강조했다.
기계공학자로서의 정약용은 우리나라 성곽 건축의 백미(白眉)로 꼽히는 수원 화성(사적 제3호) 축조에 크게 기여하였다. 수원 화성은 정조(正祖) 18년(1794)에 시작하여 2년 9개월 만인 1796년에 완공된 자랑스러운 우리 문화유산으로, 우리나라 성곽으로는 처음으로 1997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거중기(擧重器), 녹로(轆轤), 유형거(遊衡車) 등은 화성 축조를 위해 정약용이 발명한 대표적인 건축 기계장치로서, 화성 축성 후 순조(純祖) 때 발간된 활자본 의궤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 1801, 보물 1901-7호)’에 화성전도(華城全圖) 및 수십 종의 기계와 도구 그림과 함께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특히 정약용의 거중기는 복합 도르래 장치의 동역학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작은 힘으로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거나 이동시키는 기계장치 발명품으로, 요한 테렌츠 슈렉(Johann Terrenz Schreck)의 중국어 서적 ‘기기도설(奇器圖說, 1627)’을 참고하여, 정약용 자신의 저술 ‘기중도설(起重圖說)’, ‘성설(城說)’, ‘옹성도설(甕城圖說)’, ‘포루도설(砲樓圖說)’, ‘성화주략(城華籌略)’ 등을 통해 새롭게 고안한 우리의 전통 과학유산이다.
수원 화성은 정조와 실학자들의 개혁 정신이 고스란히 담겨 있으며, 군사적 방어 기능과 상업적 기능을 함께 보유하고 있고, 과학적이고 합리적이며 실용적인 구조로 축조된 것뿐만 아니라, 인문학과 철학이 융합된 뛰어난 예술적 건축물이기도 하다.
‘화성성역의궤’는 1970년대 후반 수원 화성 보수·복원 작업에 결정적인 근거 자료가 되었다. 화성 축성 공사의 전 과정을 매우 상세하게 담고 있는 기록문화의 보고(寶庫)라고 할 수 있는 ‘화성성역의궤’는 2007년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설치미술 오토마타 ‘나비의 꿈’
정약용의 거중기에 사용된 복합 도르래 장치에서 착안한 현대 오토마타 작품이 있다. 이석연 작가의 복합형 풀리(Pulley) 오토마타 ‘나비의 꿈’이 바로 그것이다. 풀리, 즉 도르래는 홈이 파인 바퀴에 밧줄이나 벨트를 걸고 물건을 들어 올리거나 잡아당기는 기계장치를 지칭한다.
‘나비의 꿈’은 ‘과학과 예술의 만남 – 꿈꾸는 오토마타展(2012)’에 설치되었던 메인 풀리 장치와, ‘인류의 기원을 찾아서 고고씽展(2015)’에 설치되었던 오토마타 ‘인류의 진화’를 2019년에 새롭게 결합하여 제작한 설치미술 작품으로, 주로 풀리에 의한 회전운동을 조형물에 적용하였다.
설치미술(installation art)은 실내나 야외의 특정한 공간에 다양한 조형적 오브제를 재구성하는 현대미술의 한 장르로, 벽면 부착형인 전통적 미술 양식과는 확실히 구분되는 실험성과 다양한 형식성을 갖고 있으며, 종종 문명·사회·정치에 대한 풍자와 비판을 은유적으로 표현한다.
독일 작가 한스 하케(Hans Haacke)의 ‘마르셀 브로드테르스에 대한 경의(Homage to Marcel Broodthaers, 1982)’는 냉전시대 분단국가가 겪는 핵 공포의 단면을 인상적으로 표현한 대표적인 설치미술 작품이다.
인간과 자연, 그리고 우주의 삼라만상(森羅萬象)과 윤회(輪廻)를 12점의 풀리 조형물로 표현한 ‘나비의 꿈’은 장자(莊子)의 ‘무위자연(無爲自然)’과 ‘일체제동(一切諸同)’, 그리고 ‘만물일체론(萬物一體論)’ 사상과 ‘호접몽(胡蝶夢)’ 설화를 모티브로 하여, 가로폭 6m~10m의 가변 크기로 제작된 국내에서는 보기 드문 공간 설치미술 오토마타 작품이다.
(4386)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집고양이나 길고양이 개체수를 조절하기 위해 외과적 불임 수술을 하는 대신 암고양이에게 한 번 주사하는 것으로 장기 불임을 유도할 수 있는 유전자 요법이 개발됐다.
암에 걸렸거나 걸렸던 사람이 하루 30분을 걷거나 요가를 하면 신체의 피로도가 줄어 암세포의 확산이나 암의 재발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임신부가 대기오염물질에 과도하게 노출되면 아이한테 자폐스펙트럼장애(ASD)와 뇌전증이 생길 위험이 최대 3배 이상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박규희(소아청소년과)·최윤지(마취통증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2016∼2018년)에 등록된 산모 84만3천134명을 대상으로 임신 중 대기오염물질 노출이 태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3일 밝혔다. 이 결과 임신 기간에 대기오염물질과 중금속 노출이 많았던 임신부일수록 아이한테 자폐스펙트럼과 뇌전증(간질)이 생길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를 누그러뜨릴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지 않고 대기질을 개선하지 않으면 지표 근처에 고농도 오존이 발생할 수 있는 날이 1개월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기상청은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고농도 오존 발생일 전망을 7일 공개했다. 고농도 오존이 발생하기 쉬운 기상조건이 갖춰지는 날은 현재(53.3±24.6일)보다 34.2±9.5일 많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폐경 때 나타나는 갱년기 장애 치료를 위해 경구용 에스트로겐을 사용하면 고혈압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귀금속 수전해 촉매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는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소재의 촉매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합성법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박혜성 교수와 동국대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한영규 교수,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백정민 교수 공동연구팀은 고농도 바나듐 원자가 도핑된 몰리브덴 이황화물 박막 합성법을 개발했다. 공동연구팀은 전기 전도도 변화를 위해 첨가하는 도펀트 원자의 배열을 제어해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기반 수전해 촉매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힘줄과 혈관 같은 콜라겐에 기반한 섬유조직의 기능을 시각화하는 레이저 음향 이미지 분석 기술이 개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