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아름다운 전통 무대, 산대(山臺)와 채붕(綵棚)
산대놀이는 광대(廣大) 집단이 연희(演戲)하는 우리나라 전통 민속극 가운데 하나이다. 이때 산대(山臺)는 야외 공연을 위해 설치되었던 산 모양의 무대 구조물을 말하며, 산대 앞에서 연행된 연희들을 산대희(山臺戱)라고 부른다.
산대는 고대 삼국시대 신라 진흥왕 때 팔관회(八關會)에서부터 설치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고려시대 연등회(燃燈會)에서도 널리 사용되었다. 팔관회와 연등회는 국가적 규모로 치러진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종교 행사이다.
우리나라 산대에 대한 기록은 고려 말 이색(李穡, 1328~1396)의 ‘목은집(牧隱集)’, 조선 성종 때 사신으로 왔던 명나라 동월(董越)의 ‘조선부(朝鮮賦)’, ‘중종실록’, ‘문헌비고(文獻備考)’, ‘나례청등록(儺禮廳謄錄)’, ‘기완별록(奇玩別錄)’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 전통 무대인 채붕(綵棚)은 누각의 형태로 나무 단을 만들고 오색 비단 장막을 늘어뜨린 가설무대이다. 채붕에 관한 기록은 ‘고려사(高麗史)’, ‘재물보(才物譜)’, ‘세종실록’, ‘세조실록’, ‘광해군 일기’, ‘문종실록’ 등에서 발견할 수 있다.
특히 1796년 조선 정조 때 수원 화성 성역 완공 축하 기념식 ‘낙성연’을 묘사한 한글 필사 채색본 ‘정리의궤(整理儀軌)’ 속의 ‘낙성연도(落成宴圖)’ 그림 하단에는 취발이, 노승, 여인들이 타고 있는 두 개의 채붕이 매우 섬세하게 묘사되어 있으며, 채붕 위쪽에는 사자 탈춤과 호랑이 탈춤이 그려져 있다.
오토마타 기계장치 무대, 예산대(曳山臺)
우리나라 전통 무대 장치인 산대(山臺) 중에는 오토마타 기술이 접목된 주목할 만한 기록이 있다. 그것은 바로 조선 영조 1년(1725)에 중국 사신 아극돈(阿克敦, 1685-1756)이 조선에 다녀가면서 각종 행사 및 풍속, 풍경을 담아 그린 20장짜리 화첩 ‘봉사도(奉使圖)’이다.
‘봉사도’ 제7폭에는 주로 중국 사신을 영접하던 기관인 모화관(慕華館)에서 행해진 연희 공연 장면 그림이 있는데, 그림 오른쪽 하단에 바퀴가 달린 거대한 산대 무대장치, 즉 ‘예산대(曳山臺)’가 그려져 있다.
‘봉사도’의 ‘예산대’는 사람이 직접 끌고 다니는 이동식 산대로서 자격루(自擊漏), 옥루기륜(玉漏機輪), 혼천의(渾天儀), 만석중 놀이 등과 함께 기계장치로 움직이는 인형이 들어있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전통 오토마타 장치로서, 높이 8~9미터에 달하는 기암괴석(奇巖怪石) 모양의 거대한 무대 구조물이자, 기관인형(機關人形) 공연을 위한 기계장치 산대이다.
전통 민속극 연구자이자, 동아시아 기관인형 연구(민속원, 2015)’의 저자 박세연의 논문 ‘조선시대 산대 기관인형 연구(2014)’에서는 ‘예산대’를 ‘기관인형 공연 장치’라고 파악하면서, ‘기관인형은 기계인형과 비슷하지만, 기계인형은 내부에 동력을 저장해 움직이는 방식인 반면, 기관인형은 동력장치를 인형 외부에 둔다는 차이가 있다’라고 분석하였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봉사도의 왼쪽 마당에서 연희되고 있는 줄타기, 가면극, 물구나무서기 등의 놀이가 백희(百戱)이고, 그림 오른쪽의 기암괴석 사이로 보이는 잡상(雜像)들이 괴뢰희(傀儡戱, 인형극)에 해당한다’라고 밝히고 있다.
즉, ‘예산대’는 단순한 무대 장식용 장치가 아니라, 이동할 수 있는 수레 위에 기계장치가 들어있는 가산(假山)이 올려져 있는 구조로서, 신선이 사는 세계인 산대 속에서 무희, 선녀, 동자, 강태공, 원숭이 등의 인형 움직임을 연출하여 보여주는 종합적인 연희 공연을 위한 오토마타 무대 장치라고 할 수 있다.
‘봉사도’의 ‘예산대’는 2009년 서울문화재단 후원으로 공연예술 프로젝트 그룹 ‘홍두’에 의해 축소 복원 제작된 바 있으며, ‘예산대’가 이동할 때는 지남거(指南車)의 바퀴를 동력으로 인형이 움직이고, 멈췄을 때에는 동력과 분리되어 직접 인형 조종사가 인형을 움직이는 구조로 설계되어 제작되었다.
박세연의 위 논문에 따르면, ‘예산대는 중국의 기관목인(機關木人), 그리고 일본의 가라쿠리(からくり)와 함께 동아시아 전통 기관인형의 역사라는 커다란 퍼즐 속에서 비어 있는 한국 부분을 채워줄 수 있는 중요한 퍼즐조각’인 것이다.
(2123)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올해 공공 분야의 소프트웨어·정보통신기술(ICT) 장비·정보보호 사업 규모가 작년보다 2.7% 증가한 6조2천239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소프트웨어 구축 사업 예산이 4조5천406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상용 소프트웨어 구매에 3천605억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컴퓨팅, 네트워크, 방송 장비 등 ICT 장비 구매 비용은 1조 3천227억원으로 나타났다. (10)
/ 36개국이 한국에 모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술 협력방안 도출에 머리를 맞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유엔기후변화협약 기술메커니즘 이사회가 24일 개막했다고 밝혔다. 이사회는 오는 29일까지 인천 송도에서 계속된다. 유엔기후변화협약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1992년 설립된 협약이다. 총 198개국이 참여하는 규범으로, 매년 당사국총회를 열어 주요 사항을 결정한다. 기후메커니즘은 2010년 당사국총회에서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과학기술 중요성에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혈관이 막혀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는 응급 질환인 망막혈관폐쇄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실마리를 발견했다고 23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화학과 조재흥 교수팀은 서울아산병원 안과 이준엽 교수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백무현 교수팀과 망막혈관폐쇄질환의 새로운 치료법을 찾기 위한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공동연구진은 폐쇄된 혈관을 확장해 효과적으로 흐름을 복구하는 ‘철-일산화질소 복합체’ 개발에 성공했다 일산화질소는
/ 충남 천안아산 KTX역세권 연구개발(R&D) 집적지구 1호 사업인 충남지식산업센터가 23일 준공됐다. 센터는 천안시 서북구 불당동 4천510㎡ 부지에 지하 1층·지상 6층 규모(연면적 1만2천471㎡)로 건립됐다. 입주대상은 지식산업, 정보통신, 제조업과 관련 지원시설 등이다. 반도체 장비 제조,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개발, 산업용 필터 등 12개 기업이 이달 중 입주할 예정이다. 충남도는 지식산업센터를 통해 일자리
/ 한국과학기술원(KAIST) 부설 인공지능(AI) 바이오 영재고가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에 들어선다. 개교 목표 시기는 2027년 3월이다. 충북도는 23일 한국과학기술원이 희망하는 학교 부지요건 등에 대한 의견을 듣고 도교육청과 함께 숙고한 끝에 오송읍을 건립 부지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부지 선정의 결정적 요건은 향후 설립될 한국과학기술원 오송캠퍼스와의 접근성, 핵심인력 양성의 용이성 등이었다. 오송에는 첨단의료제품
/ 교육부는 교원의 인공지능(AI)·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2023년 아이에답(AIEDAP) 사업 착수보고회’를 23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연다고 밝혔다. 아이에답은 민·관·학 디지털 전문가가 현직 교원과 예비 교원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난해 시작됐다. 올해는 지역 여건에 맞는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권역별 사업지원단을 꾸리고, 교육 현장에서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수업을
/ 강원 양구군은 치매 환자, 독거노인 등 돌봄이 필요한 고령자를 대상으로 인공지능(AI) 말벗 인형 ‘천사친구 효돌·효순이’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23일 밝혔다. 군은 치매안심센터에 등록한 맞춤형 사례관리 대상자 중 우울 척도가 높은 10명에게 오는 12월까지 말벗 인형을 지원한다. 이는 정서·인지 정도가 다소 낮은 어르신을 돕는 인형 모양의 로봇이다. 일상 중 말벗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