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제공 : 한국연구재단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원문 보러 가기]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저작권자 2022-11-29 ⓒ ScienceTimes 태그(Tag) #가시광선 #고민감성광검출기 #광전류 #반도체 #산소 #연구정보중앙센터 #자외선 #지능형광소자 #페로브스카이트 #포항공대 관련기사 ‘열’ 오른 전자장치, 新냉각 기술이 필요해 최첨단 기기 ‘열’과의 전쟁 고성능 AI 칩과 반도체가 점점 더 작아지고 강력해지는 시대, '열'은 가장 집요한 적이다. AI 프로세서, 전기차 전력 모듈, 고성능 GPU와 같은 최신 전자기기는 짧은 시간 동안 막대한 연산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전자가 수십억 개의 트랜지스터가 밀집된 회로를 통과하 반강자성체서 빛 유도 양자간섭 현상 발견…"반도체 응용 기대" 김재훈 연세대 교수(왼쪽부터)·박병철 IBS 팀리더·심경익 연세대 연구교수 ⓒ김재훈 교수팀 제공 국내 연구팀이 빛으로 자성반도체 물질의 특성을 바꿀 수 있는 양자역학적 현상을 발견했다. 빛 변화로 물질의 특성을 설계할 수 있는 이론적 실마리를 마련해 새로운 반도체나 자기광소자 개발 등에 응용할 수 있다는 기 KAIST, 뇌처럼 스스로 정보 처리·학습하는 반도체 소자 개발 KAIST, 뇌처럼 정보 처리·학습하는 반도체 소자 개발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인간의 뇌처럼 스스로 정보를 처리하고 학습하는 반도체 소자 '뉴랜지스터'를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신소재공학과 김경민 교수 연구팀이 고안한 뉴랜지스터라는 개념은 뉴런(신경세포)과 트랜지스터(반도체 소 더 가볍고 잘 휘어지는 탠덤 태양전지 개발…'최고 효율' 왼쪽부터 연세대 김해진 교수, 에너지연 정인영·김기환 박사, 경상국립대 이태경 교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세계 최고 효율의 가볍고 유연한 페로브스카이트-CIGS '탠덤 태양전지'(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태양전지를 겹쳐 만든 전지)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CIGS는 구리&m 경기도 GRRC 성균관대 연구팀, 차세대 AI 반도체 기술 개발 차세대 AI 반도체 기술 구조도 ⓒ경기도 제공 경기도 지역협력연구센터(GRRC) 사업에 참여한 성균관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김형섭·김영훈 교수팀이 빛을 활용해 정보처리 능력을 높인 차세대 AI(인공지능) 반도체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2일 경기도에 따르면 이들 교수 연구팀은 주로 전기신호만을 이용해 정보를 처리하는 AI 반 KAIST, 중적외선 영역에서도 고성능 낼 수 있는 광소자 제작 중적외선 영역에서 고성능 브릴루앙 레이저 광원 구현 기술 개념도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한석 교수팀은 호주국립대 최덕용 교수, 예일대 피터 라키치 교수, 한국원자력연구원 고광훈 박사, 중국 닝보대학교 롱핑 왕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중적외선 파장 대역에서 고성능 광원인 '브릴루앙 레이저'(Brillo 아주대 연구팀 "데이터 학습·분류 가능한 지능형 신소자 개발" 실제 소자 사진 ⓒ아주대 제공 아주대는 본교 연구팀이 데이터 학습과 분류가 가능해 머신러닝 기반 연산과 센서 신호 처리에 활용될 수 있는 지능형 신소자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아주대에 따르면 서형탁 첨단신소재공학과·대학원 에너지시스템학과 교수와 쿠마모히트 동 대학원 교수 공동연구팀이 개발한 신소자는 기존의 반도체 UNIST "차세대 태양전지 효율·안정성 높이는 물질 개발" 앞줄 왼쪽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UNIST 김동석 교수, 김봉수 교수, 제1저자 샤히드 아민 박사, 이영완 연구원, 제1저자 손중건 연구원, 제1저자 이동민 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차세대 태양전지인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효율과 안정성을 모두 높일 수 있는 물질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UNIS 원자력硏, 우주방사선에 의한 오류 억제 반도체 기술 개발 원자력연·포항공대 공동 연구팀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우주방사선에 의한 나노 반도체의 오류를 크게 줄일 수 있는 내방사화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우주방사선은 태양과 외부 은하 등에서 발생해 지구로 향하는 에너지가 높은 방사선이다. 인공위성이나 우주선 등에 사용되는 반도체는 양성자나 감 KIST "높은 광신호 효율 갖는 2차원 반도체 이미지센서 개발" KIST 연구팀, 높은 광신호 효율 갖는 2차원 반도체 이미지센서 개발 ⓒK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차세대반도체연구소 양자기술연구단 황도경 책임연구원과 박민철 책임연구원 공동연구팀이 높은 광신호 효율을 갖춘 2차원 반도체 기반 이미지센서를 구현했다고 27일 밝혔다. 물체와 환경의 시각적 정보를 기록하고 처리해 모양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열’ 오른 전자장치, 新냉각 기술이 필요해 첫 100일의 기적까지 "'체온 반응해 항원 방출' 신개념 나노입자 결핵백신 효과 입증" 늘어나고 있는 쌍둥이 출산, 보다 안전한 출산이 필요하다 "제주 해녀는 유전자가 다르다…잠수 적응 돕는 변이 확인" '전통 한의학에 AI 적용', 대전대 한의대, 교육 모델 개발 2025년-양자과학기술 100년, 양자산업의 원년? 미국 흑인 여성들의 합성 가발, 그들의 건강을 위협한다? 물속에서 '빛으로 움직이는' 소프트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 "바다사자 훈련시켰더니…사람보다 리듬감 더 정확해" 속보 뉴스 "운동 중에도 정확하게 측정" KAIST, 웨어러블 혈압 센서 개발 "온실가스 못 줄이면…기후재난 피해 젊은 세대에게 돌아간다" AI로 냄새 구분…한국기술교육대, 초정밀 인공 후각 시스템 개발 KAIST, 영감으로 코드 만드는 인공지능 작곡 기술 개발 "로봇이 받는 힘 그대로 인간 팔에 전달" 지스트·MIT 공동개발 물속에서 '빛으로 움직이는' 소프트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 접이식 막날개 펼쳐 자유자재로 급정지…'날다람쥐 드론' 개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