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 연구팀 "짝짓기 철에 구충식물 섭취…새 자기치료 첫 확인"
자연에서 날 수 있는 새 중 가장 무거운 느시(great bustard)가 자기치료를 위해 구충 효과가 있는 식물들을 다량 섭취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CNN 방송은 23일(현지시간) 스페인 마드리드 국립자연과학박물관의 루이스 M. 바티스타-소펠라나 박사팀이 느시의 똥을 분석, 이들이 특정 시기에 구충 효과가 있는 식물 2종을 다량 섭취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보도했다.
지금까지 침팬지가 상처 치료를 위해 곤충을 으깨 바르거나 돌고래가 감염을 막기 위해 특정 종류의 산호에 피부를 문지르는 등 동물들의 자기치료 행동이 관찰된 적이 있지만 조류에서 이런 행동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바티스타-소펠라나 박사는 “이 연구 결과는 느시들이 구충 효과가 있는 화합물이 든 식물을 먹는 것을 선호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생태 및 진화 프런티어스'(Frontiers in Ecology and Evolution) 최신호에서 게재됐다.
느시는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등에 서식하고 다 자라면 몸무게가 14㎏이나 돼 날 수 있는 새 중 가장 무거운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멸종위기 동식물 적색목록에 취약(VU·Vulnerable) 등급으로 올라 있다.
연구팀은 느시의 똥 619개를 분석, 이들이 짝짓기 시기에 구충 효과가 있는 식물 2종을 다른 먹이보다 더 많이 먹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느시의 똥에서 발견된 식물은 개양귀비(Papaver rhoeas)와 에키움(Echium plantagineum)이다. 개양귀비는 사람들도 진정·진통 약제로 사용하는 식물이고 에키움은 먹으면 위험한 독성 식물로 알려져 있다.
이들 식물의 추출물을 분석한 결과 개양귀비는 새에서 흔히 발견되는 기생충인 조류 트리코모나스(Trichomonas gallinae)와 자바뿌리혹선충(Meloidogyne javanica) 억제 효과가 있고 에키움은 검은곰팡이(Aspergillus niger)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특히 느시들이 짝짓기 기간에 이들 식물을 많이 먹는 것으로 밝혀졌다며 이는 짝짓기 기간에 늘어나는 기생충에 대한 노출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공동연구자인 아주세나 곤잘레스-콜로마 박사는 느시는 수컷들이 번식기에 한 곳에 모여 구애 행동을 하고 암컷들이 짝을 선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구충 효과가 있는 식물을 먹은 수컷이 암컷에게 더 건강하고 활기차고 매력적으로 보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동물행동 전문가인 영국 엑서터대 폴 로즈 교수는 “이 연구 결과는 느시가 특정 시기에 무엇을 먹어야 좋은지 알고 있고, 그에 따라 실제로 먹이 섭취 행동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446)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몸집이 크고 순종인 수컷 반려견이 몸집이 작은 잡종견보다 더 어린 나이에 암 진단을 받는 경우가 많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라호이아의 액체생검업체 펫디엑스(PetDx)의 질 라팔코 박사팀은 2일 과학저널 '플로스 원'(PLOS ONE)에서 암에 걸린 개 3천452마리의 암 진단 중간 나이를 분석, 이런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액체 상태의 물과 가장 흡사한 새로운 형태의 얼음이 발견돼 학계에 보고됐다. 액체 상태의 물이 고체로 바뀐 얼음은 다 같은 것이 아니라 결정 형태가 밝혀진 것만 20종에 달한다. 여기에다 분자가 일정하지 않아 밀도로 따지는 비정질얼음도 두 가지나 있는데, 물과 밀도가 거의 똑같은 얼음이 추가된 것이다.
허블 우주망원경이 태양과 같은 별이 연료를 모두 소진하고 핵만 남은 백색왜성의 질량을 처음으로 직접 측정해내는 성과를 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샌타크루즈 캘리포니아대학의 천문학자 피터 맥길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허블 망원경을 이용해 백색왜성 LAWD 37의 질량을 측정한 결과를 영국 '왕립 천문학회 월보'(MNRAS)에 발표했다.
전남대가 참여한 공동연구팀이 고정밀 바이오센서, 차세대 디스플레이용 투명 전극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전도성 고분자 물질의 내구성을 향상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전남대 고분자융합소재공학부 윤창훈 교수 연구팀과 충북대 전자공학부 강문희 교수는 공동연구를 통해 800 S/cm 이상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갖는 전도성 고분자(PEDOT:PSS) 물질의 물에 대한 내구성을 개선할 메커니즘을 발견했다.
중성자별끼리 충돌해 초강력 폭발을 일으키며 금을 생성하는 '킬로노바'(Kilonova)의 모든 조건을 갖추고 이를 준비 중인 쌍성계가 처음으로 관측됐다. 이런 쌍성계는 1천억개가 넘는 우리 은하 별 중에서도 열 손가락 안에 꼽을 정도로 극히 드문 것으로 제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조광현 교수 연구팀은 폐암 세포의 성질을 변환시켜 전이를 막고 약물 저항성을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폐암 세포를 전이시킬 능력이 없는 상피세포가 전이 가능한 중간엽세포로 변하는 '천이 과정'(EMT)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암세포 상태를 수학모델로 만들었다.
중성자별끼리 충돌해 초강력 폭발을 일으키며 금을 생성하는 '킬로노바'(Kilonova)의 모든 조건을 갖추고 이를 준비 중인 쌍성계가 처음으로 관측됐다. 이런 쌍성계는 1천억개가 넘는 우리 은하 별 중에서도 열 손가락 안에 꼽을 정도로 극히 드문 것으로 제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