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신소재·신기술
김순강 객원기자
2021-03-26

일상 속 AI의 모든 것을 한자리에 AI 엑스포 코리아 현장 스케치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코로나19로 인해 언택트, 비대면 시대를 맞아 우리 일상 속으로 성큼 들어온 인공지능의 발전상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제4회 국제인공지능대전 'AI 엑스포 코리아'가 24일부터 26일까지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펼쳐졌다.

25일 AI 엑스포 현장에서는 AI 안면인식으로 출입증을 발급받고, AI 솔루션과 플랫폼, 의료, 헬스케어, 교육시스템, 스마트팩토리, 재난 구조 로봇, 보안 솔루션 등 다방면에서 나날이 진화하고 있는 AI를 만나볼 수 있었다.

제4회 국제인공지능대전 AI 엑스포 코리아가 24일부터 26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렸다. ⓒ김순강/ ScienceTimes

일상 속 인공지능의 모든 것 '한자리에'

일상으로 들어온 AI는 뷰티 커머스에도 진입했다. 딥픽셀의 AI 가상 피팅 솔루션 스타일 AR를 통해 손 관절 데이터에서 특징을 추출해 가장 잘 맞는 네일아트 색상을 미리 칠해보고 고를 수 있으며, 얼굴 이미지 분석으로 가장 잘 어울리는 안경이나 액세서리를 추천, 가상으로 착용해 볼 수 있었다.

여기에는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플랫폼 기업인 크라우드웍스의 크라우드소싱 기반 데이터 세트 구축 서비스가 접목됐다. AI 고도화 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 가공해 지원함으로써 스타일 AR뿐 아니라 AI를 통해 웹툰 콘텐츠도 창작이 가능하게 됐다. 행사장에서는 관람객들의 캐리커처를 즉석에서 그려주는 체험존이 마련되어 눈길을 끌었다.

AI가 만든 유명 아나운서 키오스크 상담원과 대화를 나누고 있는 관람객들 ⓒ김순강/ ScienceTimes

한편에서는 유명 아나운서로부터 오늘 점심으로 무엇을 먹을지 추천받는 모습도 보였다. 이것은 머니브레인의 AI 키오스크 상담원으로, 실제 모델의 음성과 영상 데이터를 교육하는 고도의 딥러닝 기반의 영상 합성 기술을 이용해 인간과 가장 비슷한 대화를 구사할 수 있었다.

이같은 인공지능 기술로 버추얼 휴먼 서울시장 후보들의 연설 영상도 선보였다. AI 딥러닝 기술 기반 가상 인격 개발 기업인 에스알유니버스는 “AI의 뛰어난 학습능력으로 가상 인물을 만들어내고, 거기에 인격과 감정, 지식을 불어넣어 이름과 직업이 있는 가상의 인물을 만들어냈다”며 “사진 한 장으로 유명 영화의 주인공이 될 수도 있고, 그림 한 장으로 살아있는 듯한 얼굴도 구현해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뿐만 아니라 업무 목적상 필요한 텍스트를 자유롭게 입력하면 가상의 인물이 그 텍스트를 말하는 동영상이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가상의 인물은 실제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사람의 얼굴을 선택하거나 실존 인물을 가상의 얼굴로 만들어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곳에선 초상화나 풍경화를 멋지게 그려내는 예술하는 AI, 창작하는 AI가 그려낸 초상화와 풍경화도 만나볼 수 있었다.

또 다른 부스에서는 텍스트 기사를 동영상 뉴스로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도 선보였다. 기사 텍스트는 AI 아나운서가 음성으로 읽어주면서 주요 키워드에 맞춰 자료 동영상이 플레이되는 방식으로 제공됐다. 음성은 심층신경망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제작됐고, 실제 아나운서나 기자, 성우의 목소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해 자연스럽고 전문적인 음성처럼 들렸다.

AI, 치안과 방역, 공장 등 다방면으로 진화

ETRI가 방역로봇 등 AI기술 연구 성과를 공개했다. ⓒ김순강/ ScienceTimes

범죄 예측, 치안, 방역 영역에서도 인공지능의 활약이 돋보였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지능형 범죄 위험도 예측 및 대응 기술, 대화형 치안 지식 서비스 폴봇 기술, 인공지능 기반 얼굴 정보 통합 인식 기술과 방역 로봇 활용 기술을 공개했다.

지능형 범죄 위험도 예측 기술은 AI를 통해 각종 치안 정보를 통합, 분석하여 경찰에 신고된 사건의 유형과 위험 수준을 초기에 인지하고 주변 인물 관계, 범죄 발생 주요 요인을 분석하여 대응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는 112 신고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범죄 유형과 대응코드 조기 판단이나 순찰 경로 최적화 등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대화형 치안 지식 서비스 폴봇 기술로는 치안 분야 전화민원 상의 음성을 AI가 인식하여 대화 의도를 파악함으로써 치안 지식을 활용한 양방향 음성 대화가 가능하다. AI 기반 얼굴정보 통합 인식 기술은 성별, 연령, 시선, 제스처 등 사람의 얼굴에서 나타나는 정보를 통합적으로 인식하여 로봇이 사회적으로 상호작용을 할 때 단서들을 이해하고 적절히 반응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기술을 활용해 마스크 착용 여부와 군집, 발열 등을 감지할 수 있는 방역 로봇도 선보였다.

VR 체험을 하고 있는 관람객 ⓒ김순강/ ScienceTimes

또 비대면 언택트 시대에 맞는 산업용 원격 협업 솔루션도 눈길을 끌었다. 공장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전문 기술자가 현장에 출장을 가는 대신에 에이알워크(ARWORK)의 증강현실 콘텐츠 뷰어를 통해 영상과 음성 통화는 물론 원격 포인팅과 화면 공유를 함으로써 원격으로 관리가 가능하도록 만든 시스템이다. AI 기술이 사무실과 현장의 벽을 허물고 있던 셈이다.

간단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방식으로 고성능의 딥러닝 모델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기술도 선보였다. ⓒ김순강/ ScienceTimes

이뿐만 아니라 간단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방식으로 고성능의 딥러닝 모델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기술도 선보였다. 생산 라인에서 불량을 검출하거나 구매한 물건을 체크하는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무엇보다 딥러닝에 대한 지식이 없는 비전문가도 쉽게 AI 솔루션을 이용할 수 있어 관심을 모았다.

김순강 객원기자
pureriver@hanmail.net
저작권자 2021-03-26 ⓒ ScienceTimes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