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제공 : 한국연구재단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원문 보러 가기]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저작권자 2023-03-17 ⓒ ScienceTimes 태그(Tag) #ISS #구조생물학 #국제우주정거장 #단백질 결정 #신약개발 #우주 #우주 개발 산업 #우주 실험실 #우주과학 #제약 사업 관련기사 "은하단 사이 거대 가스 필라멘트 발견…우리은하의 10배 질량" 은하단(cluster) 수십 개가 뭉쳐있는 우주 거대구조인 섀플리 초은하단(Shapley Supercluster)에서 우리은하(Milky Way) 질량의 10배나 되는 뜨거운 가스가 끈처럼 펼쳐져 있는 거대한 필라멘트 구조가 발견됐다. "은하단 연결 거대 가스 필라멘트 발견…우리은하의 10배 질량" 6억5천만 광년 한세기를 건너온 수수께끼, 한국 행성과학자 이연주 단장이 풀어낸다 세계 최초 금성 장기관측 프로젝트 CLOVE를 이끄는 이연주 단장 어린 시절 가족과 함께 올려다본 밤하늘. 누군가는 화성의 붉은 신비에 매혹되고, 누군가는 목성의 웅장함에 압도된다. 그리고 해질녘과 새벽을 수놓는 가장 밝은 천체 중 하나인 금성에 마음을 빼앗기는 이들도 있다. 지구에서 세 번째로 밝은 이 천체 뒤에는 1세기 넘게 과학자들을 괴롭혀온 미토콘드리아의 에너지 역류가 대사 질환을 유도하는 메커니즘 발견 세포 속 발전소라 불리는 미토콘드리아는 산소를 소모하면서 에너지를 만들어낸다 ⒸGetty Images 정상적인 생리 활동을 유지하기 위해 우리 몸의 세포는 혈관을 타고 돌아다니는 영양분을 흡수하여 에너지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작업은 '세포 속 발전소'라 불리는 미토콘드리아에서 이루어지는데, 미토콘드리아는 산소를 소모하면서 유럽의 별을 쏘다, ESA의 반세기 여정과 찬란한 도전 (2) 이전 기사 바로 가기: 유럽의 별을 쏘다, ESA의 반세기 여정과 찬란한 도전 (1) '우주 자립'을 향한 유럽의 의지는 더욱 단단해지고 있다 ESA는 지난 반세기 동안의 경험과 성과를 토대로 새로운 시대에 걸맞은 전략적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핵심은 바로 '우주 자립'이다. 과거 미국이나 러시아의 기술과 인프라에 의 유럽의 별을 쏘다, ESA의 반세기 여정과 찬란한 도전 (1) 우주 과학의 프론티어를 개척한 성과의 연속 1975년 유럽 각국은 흩어진 우주 개발 역량을 하나로 모아 '유럽우주국(ESA: European Space Agency)'을 공식 출범시켰다. 이 역사적인 결정은 단순한 협력을 넘어 과학기술의 통합과 유럽의 자주적인 우주 진출을 향한 강력한 의지를 상징했다. 당시 ESA의 전신이라 할 수 있 바이러스 잡고 상처 회복까지…KIST, 다기능 펩타이드 개발 체내 단백질에서 개발한 활성 펩타이드 소재 ⓒK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생체재료연구센터 한형섭 책임연구원, 천연물시스템생물연구센터 송대근 선임연구원, 도핑컨트롤센터 권오승 전문연구위원 공동연구팀이 천연물에서 찾은 펩타이드를 기반으로 항바이러스와 조직 재생 기능을 동시에 갖춘 치료 물질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우주 자체가 회전할 수도"…허블 수수께끼 해결 가설 제시 우주는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팽창하고 있다. 문제는 측정 방법에 따라 우주 팽창 속도(허블상수)가 다르다는 점이다. 허블 텐션(Hubble Tension)으로 알려진 이 문제는 우주론의 큰 수수께끼 중 하나다. 미국 연구진이 우주 자체가 극히 느린 속도로 회전하고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며 이 경우 허블 텐션(Hubble tension)도 해결할 수 있 "스타워즈 '타투인' 행성처럼 해가 2개 뜨는 외계행성 발견" 영화 '스타워즈'에 태양이 2개인 행성으로 등정하는 '타투인'(Tatooine)처럼 갈색왜성(brown dwarf) 2개를 두 별의 공전 면과 수직인 극궤도(polar orbit) 상에서 돌고 있는 외계행성이 처음으로 발견됐다. 두 개의 갈색왜성 주위를 수직 극궤도로 도는 외계행성 상상도. 120광년 밖의 갈색왜성( 우주에서 만든 된장 맛은 어떨까? ▲ 감칠맛이 매력인 미소 된장을 우주에서 발효시키는 실험이 진행됐다. 견과류 맛이 풍부하게 나면서도 섭취하기 안전하다는 결론이다. ⒸJ.D.E 2008년 4월 12일, 국제우주정거장(ISS:International Space Station)에서는 특별한 파티가 열렸다. 우리 발효 식품인 김치를 중심으로 한 한식을 우주에서 선보인 날이다. "달 먼지로 태양전지 만든다…미래 우주탐사 에너지원 기대" 달 표면의 암석 부스러기와 먼지로 된 퍼석퍼석한 물질인 '레골리스'(regolith)를 이용해 우주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전지 제작 기술이 개발됐다. 달 레골리스를 활용한 미래 태양전지 제조 상상도. 달 표면의 암석 부스러기와 먼지로 된 퍼석퍼석한 물질인 '레골리스'(regolith)를 채취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카페인 수혈’ 위해 마신 블랙커피, 수명을 늘린다 식사 시간만 바꿔도 운동 능력이 달라지는 비결, 지방에 있었다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철분 부족이 자궁 속 태아를 여성으로 바꾸다 [카자흐스탄 리포트 1] 카자흐스탄, KAIST 모델로 공과대 설립 추진 "기술 자립을 위한 전략" 명화 복원, AI로 3시간 만에 끝낸다 스위스는 어떻게 미리 산사태를 미리 막을까? 한세기를 건너온 수수께끼, 한국 행성과학자 이연주 단장이 풀어낸다 "유전자 조작 박테리아, PET병에서 타이레놀 성분 만든다" 와이파이 속도의 100배 '라이파이' 보안까지 높인다 속보 뉴스 "남극해, 2015년 이후 더 짜지고 있다…해빙 감소 가속 요인" "포유류 진화에서 가장 최근에 등장한 종은 노르웨이레밍" 한의학硏 "면역항암제 돕는 보중익기탕의 면역조절 원리 확인" UNIST "녹나무 유래 물질로 태양전지 효율·수명 향상" 외부 수소 공급 없이 상온에서 자일리톨·자일론산 생산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KAIST, 스스로 움직이는 세포로봇 개발…연료는 생체 부산물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