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제공 : 한국연구재단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원문 보러 가기]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저작권자 2022-10-07 ⓒ ScienceTimes 태그(Tag) #BLT궤도 #KPLO #WSB궤도 #다누리 #달 #연구재단 #연구정보중앙센터 #위상전이궤도 #직접전이궤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관련기사 달 탐사선 다누리로 극지 물 분포 지도 만들었다 지질연의 우주자원 탐사 모식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한국형 달 탐사선 '다누리' 탑재체를 이용해 달 극지의 물 분포 지도를 만들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김경자 박사 연구팀이 지난 2년 동안 다누리에 실린 감마선분광기KGRS)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해 물 분포 지도를 제작했다고 30일 밝혔다. 감 2025년, 우리가 주목할 만한 우주 과학 탐사와 이벤트들은? 더욱 흥미 진진한 2025년의 우주 과학 및 탐사 2024년의 우주 과학과 탐사 분야는 실로 놀라운 발전을 이뤘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을 이용한 관측을 통해서 은하의 크기가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크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유럽의 차세대 주력 로켓인 아리안 6호의 성공적인 개발, 그리고 장기 우주 체류가 우주인의 신체에 미치는 영향 등 매우 중요 우주 강국으로 도약하는 대한민국 (2) ⓒ사이언스타임즈 ‘누리호’, 이제 우리도 대한민국만의 기술을! 누리호(KSLV-II)는 대한민국의 독자적인 기술로 개발된 우주 발사체로, 한국의 우주 개발 역량을 상징하는 중요한 프로젝트이다. 특히, 내년 예정된 누리호의 4차 발사는 보다 발전된 기술과 목표를 담고 있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2021년 우주 강국으로 도약하는 대한민국 (1) ⓒ사이언스타임즈 나로호, 누리호, 그리고 다누리… 대한민국 우주 개발의 이정표로 자리매김 대한민국 우주 개발 역사에는 비슷한 이름을 가진 세 프로젝트가 있다. 바로 「나로호(KSLV-I)」, 「누리호(KSLV-II)」, 그리고 「다누리(달 궤도선)」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이름은 비슷하지만 이들은 각기 다른 목적과 의미 충돌이냐 동결이냐…달 탐사선 다누리 마지막 운명 내달 결정 2022년 8월 발사한 달 궤도선 다누리 본체 ⓒ과기정통부 제공 충돌이냐, 동결이냐. 우리나라 첫 달 탐사선 다누리의 마지막 운명이 이르면 다음 달 결정된다. 김은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은 2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제3회 위성전파 및 위성통신 기술 콘퍼런스에서 다누리의 임무 종료 전 처분 기동에 필요한 궤도를 올해 내로 결정할 세계 최초의 목재 위성이 우주로 발사되다 혁신적인 목재 위성의 탄생 일본의 한 연구진들은 언젠가 인류가 화성에 정착하여 집을 짓는 데에 목재가 사용될 수 있다고 굳게 믿고 있다. 이들은 이러한 기상천외한 생각을 바탕으로 목재로 만든 위성을 개발했다. 나사나 접착제 없이 호노키 나무(honoki: 목련 나무의 일종으로 일본에서 자생함)로 제작한 이 위성은 인류의 우주 개발 역사에서 새로운 장을 열 화성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액체상태의 물과 실망하는 일론머스크? 화성의 지각 깊숙한 곳에서 발견된 액체, 물 과학자들은 화성의 암석 외피 깊숙한 곳에서 액체 저장소를 발견했다. 이번 발견은 2018년에 화성에 착륙한 NASA의 인사이트(InSight) 탐사선의 데이터를 새로운 방식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해당 연구 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 과학자들이 행성으로 향하는 이유 ▲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지난 24일 ‘IBS 행성과학과 우주탐사 콘퍼런스’의 일환으로 세계 각국 우주탐사 연구를 이끄는 과학자 6명과의 대화 자리를 마련했다. ⓒIBS “인류가 우주를 탐사해야 하는 이유는 우주를 통해 ‘인류가 어떻게 기원했는지?’와 같은 심오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죠.” “인류는 항상 호기심으로 움직여왔고 미국의 달 탐사선 오디세우스, 2주 뒤에 다시 깨운다 슬림 그리고 오디세우스 착륙선 올해 달 탐사에는 마라도 낀걸까. 달로 향했던 탐사선 모두 성공적인 연착륙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올해 가장 먼저 달에 도달하는데 성공했던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의 슬림 탐사선(SLIM: Smart Lander for Investigating Moon)은 불안정한 착륙으로 인해 태양 전지판이 태양의 반대 방향을 다시 깨어난 슬림 탐사선! 다시 깨어난 슬림 탐사선! 해가 없는 2주 동안 달의 밤은 혹독한 추위만이 가득하다. 슬림 탐사선(SLIM: Smart Lander for Investigating Moon)은 이런 추위를 견뎌낼 수 있도록 설계되지 않았다. 이론상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이었기에 아무도 기대하지 않았다. 하지만 현지 시각으로 2월 25일,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열’ 오른 전자장치, 新냉각 기술이 필요해 첫 100일의 기적까지 "'체온 반응해 항원 방출' 신개념 나노입자 결핵백신 효과 입증" 늘어나고 있는 쌍둥이 출산, 보다 안전한 출산이 필요하다 "제주 해녀는 유전자가 다르다…잠수 적응 돕는 변이 확인" '전통 한의학에 AI 적용', 대전대 한의대, 교육 모델 개발 2025년-양자과학기술 100년, 양자산업의 원년? 미국 흑인 여성들의 합성 가발, 그들의 건강을 위협한다? 물속에서 '빛으로 움직이는' 소프트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 "바다사자 훈련시켰더니…사람보다 리듬감 더 정확해" 속보 뉴스 "운동 중에도 정확하게 측정" KAIST, 웨어러블 혈압 센서 개발 "온실가스 못 줄이면…기후재난 피해 젊은 세대에게 돌아간다" AI로 냄새 구분…한국기술교육대, 초정밀 인공 후각 시스템 개발 KAIST, 영감으로 코드 만드는 인공지능 작곡 기술 개발 "로봇이 받는 힘 그대로 인간 팔에 전달" 지스트·MIT 공동개발 물속에서 '빛으로 움직이는' 소프트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 접이식 막날개 펼쳐 자유자재로 급정지…'날다람쥐 드론' 개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