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지금] Long COVID 휴유증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
2019년 12월 처음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이하 코로나19)이 보고된 이후 벌써 3년이 넘었다.
인류는 코로나19를 극복하기 위하여 백신을 만들고 있지만 코로나바이러스는 알파, 베타, 감마, 델타, 오미크론 등 여러 변이로 변화하며 백신을 회피하고 있다. 지난 1~2년간 전 세계 대부분의 나라에서 높은 백신 접종률을 보이며 코로나19로부터 집단 면역을 생성하기 위한 노력을 펼친 덕에, 2023년 현재 우리는 코로나 대유행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으리라 기대를 하고 있다.
하지만 백신 접종에도 불구하고 코로나에 재감염되거나, 완치된 후 면역력이 생기더라도 장기간 코로나19로 인한 증상을 겪는 사람들 역시 늘고 있다. (관련 기사 보러 가기 – “장기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얼마나 위험할까?”)
WHO에 따르면 롱 코비드(Long-term effects of coronavirus; Long COVID, 혹은 코로나 감염 후유증) 또는 포스트 코로나 증후군(Post-COVID19 Syndrome)은 장기간 코로나19의 후유증이 지속되는 증상이다. 코로나19의 회복 후에도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4주 이상 여러 장기나 신체 시스템이 전반적으로 쇠약해지는 증상이 대부분인데, 주로 만성 기침, 만성 피로, 미각저하, 수면 장애, 식욕 감퇴 등을 동반한다.
장기간 코로나19의 후유증이 지속되는 증상으로 주로 만성 기침, 만성 피로, 미각저하, 수면 장애, 식욕 감퇴 등을 동반한다. ⓒ alliance-scotland
롱 코비드는 바이러스 감염자 및 회복자 중 최소 10%에서 최대 32%(전 세계에서 최소 6,500만 명 정도로 추산) 정도가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한 생물학 및 의학 연구는 상당한 진전을 이루며 연구 결과를 통해서 여러 가지 증상이 식별되기 시작했다. 총 200개 이상의 증상이 확인되었으며 매일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근육통 뇌척수염 및 만성 피로 증후군, 그리고 기립성 빈맥 증후군 등의 증상도 보고되었다. 또한, 장기 후유증으로 인해서 폐 섬유화, 천식 등 다른 호흡기 질병이 동반되기도 한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을 통해서 원인에 따른 선택적 맞춤 치료를 진행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가장 흔하게 보고된 증상들로 피로, 호흡 곤란, 흉통, 인지 장애, 그리고 불면증과 정신 장애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많은 수의 환자들이 수면 장애 증상을 호소하고 있다.
이에, 최근 브라질 Walter Cantídio 대학병원 신경정신과 포르미가 모우라 박사(Dr. Formiga Moura)는 신경정신과 임상 시험을 통해서 장기 코로나 감염 후유증 중 수면에 관련된 증상에 관해 연구하기 시작했다. 연구진은 2020년 8월부터 2021년 9월 사이에 브라질 북동부 Ceará 주에 있는 Walter Cantídio 병원 – Universidade Federal do Cear 신경과 외래 환자 클리닉에서 코로나19로부터 회복했지만, 후유증을 보이는 환자를 207명을 대상으로 코호트 연구(특정 위험 요소를 가지고 있는 집단을 계속 추적 및 관찰하는 역학적 연구)를 진행했다. 특히, 수면 관련 증상의 유무와 함께 이들에 관련된 증상에 대해서 세부화하기 시작했다.
연구진은 먼저 후유증이 있는 환자 207명 중, 과도한 졸음을 호소하는 하위 그룹 189명에 집중했다. 이 중 48명(25.3%)이 수면 관련 증상을 보였으며 42명(22.2%)이 불면증(Insomnia)을 호소했다. 반면 과도한 졸음 증상(Excessive sleepiness)은 6명(3.17%)에게서 보고되었다. 또한, 과도한 졸음 증상 환자 중 4명을 대상으로 수면다원검사 및 검사, 다중 수면 잠복기 검사를 진행하고 활성 그래픽 데이터 결과를 얻은 결과 이 중 2명의 환자는 중추성 수면과다증(central hypersomnia)의 진단을 받았고, 1명은 기면증(narcolepsy)을 앓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스테로이드 사용 이력은 불면증 및 과도한 졸음과 같은 수면 장애와 관련이 있으며, 우울증은 과도한 졸음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과도한 졸음을 호소하고 있는 대부분의 환자들에게서 인지 불만(Cognitive complaints)이 나타나고 있음을 관찰했다.
불면증 및 과도한 졸음과 같은 수면과 관련된 불편 증상은 일부 임상 데이터와 관련하여 임상적 장기 COVID 증후군의 일부인 것으로 밝혀졌다. ⓒ e-lfh
이를 통해서 연구진은 일부 임상 데이터와 관련하여, 불면증 및 과도한 졸음과 같은 수면과 관련된 불편 증상이 임상적 장기 COVID 증후군의 일부인 것으로 보인다고 결론을 내렸다.
최근 미국에서 스트레스와 롱코비드 발생 가능성이 상관관계를 보일 수 있음을 보이는 연구들이 공개되었다. 위 연구는 2020년 3월부터 5월 사이에 미국 뉴욕대 메디컬센터에 입원했던 코로나19 환자 79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롱코비드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이, 장애정도 그리고 코로나19 중증도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각 장애, 미각 장애, 우울증 그리고 현기증 등 여러 증상으로 인한 신체적 스트레스와 실직 등으로 인한 정신적 스트레스 등이 롱코비드 발생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
특히, 경제적 불안이나 지인의 죽음 등으로 인한 극심한 스트레스 사건등은 우울증, 브레인포그(Brain fog), 그리고 수면장애 등을 유발하는데, 이를 통해서 롱코비드 증상이 나타날 가능성은 2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 관련 논문 바로 가기 – “중추성 수면과다증 및 만성 불면증: 장기 COVID 증후군에서 수면 장애까지 – 전향적 코호트 연구 (Central hypersomnia and chronic insomnia: expanding the spectrum of sleep disorders in long COVID syndrome – a prospective cohort study)”
* 관련 논문 바로 가기 – “생활 스트레스 요인은 코로나19로 인한 입원 12개월 이후 장기적인 결과 및 급성 후증상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Life stressors significantly impact long-term outcomes and post-acute symptoms 12-months after COVID-19 hospitalization)”
(1709)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정한길·김택균 교수, 신경과 윤창호 교수 공동 연구팀은 두경부(머리와 목 부분)의 X-선 영상을 이용해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수면무호흡증은 자는 동안 호흡이 일시적으로 멈추거나 호흡량이 줄어드는 상태를 말한다. 이런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고혈압,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
한국재료연구원은 배터리 핵심 소재 리튬이온으로 차세대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를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고 8일 밝혔다.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는 인간 뇌를 모사해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고효율로 인공지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반도체 소자다. 재료연구원 나노표면재료연구본부 김용훈·권정대 박사 연구팀이 이 기술을 개발했다.
국내 연구팀이 극저온에서 나타나는 특성인 '스핀 구름'을 응축하면 새로운 양자 물질이 나타나는 현상을 처음 규명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임현식 동국대학교 교수 공동연구팀이 극저온 실리콘 금속에서 스핀 구름이 응축하는 현상을 통해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상태를 만드는 것을 발견했다고 7일 밝혔다.
국내 연구진이 고령층은 물론 중장년층에까지 널리 퍼지고 있는 대표적 희소 난치질환인 류머티즘성 관절염과 림프암의 치료 후보물질을 찾아냈다. 한국화학연구원은 조희영·임희종 박사 공동 연구팀이 면역체계 오작동으로 염증이 유발되고 정상조직이 공격당하는 '자가면역 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 연구를 통해 신약 물질인 'KIC-0101'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담수화 공정 후 폐기되는 농축수에서 담수와 고순도 리튬을 얻을 수 있는 '순환형 에너지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팀은 전기투석 방식의 담수화 시스템은 높은 전류가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 착안해 '증산발전 소자'를 만들었다. 식물이 뿌리에서 흡수한 물이 기공을 통해 수증기가 돼 빠져나가는 '증산작용' 원리에서 착안한 이 소자는 한 번만 물을 주입하면 공기 중 수분을 자동으로 흡수해 자가 발전하게 된다.
인공조명에 따른 빛 공해로 밤하늘이 밝아지면서 인간이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별이 빠르게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 지구과학연구소(GFZ)의 크리스토퍼 키바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세계 각지의 시민 과학자들이 제출한 별 관측 자료를 통해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별이 빠르게 줄고있다는 점을 밝혀낸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 발표했다.
머리카락 굵기의 절반밖에 안 되는 약 2억5천만년 전 꽃가루 화석에서 자외선 차단 역할을 하는 화합물이 확인됐다. 이는 식물이 유해한 자외선(UV-B)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낸 것으로, 페름기 말 대멸종 때 유해 자외선이 멸종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점을 시사해주는 것으로 제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