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업원 50인 이상 사업체 100곳 중 8~9곳꼴로 원격근무를 도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26일 행정안전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가 발표한 '2011년 정보화 통계조사'에 따르면 종업원 수 50인 이상인 사업체 중 원격 근무를 도입해 운영하는 곳은 전체의 8.6%였다.
원격근무 도입 기업 비중이 지난해 4.4%에 그쳤던 점을 감안하면 1년 새 2배가량 늘어난 셈이다.
보고서는 1달에 1번 이상 정기적으로 원격근무를 하는 근무자가 전국적으로 28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했다.
'정보화 통계조사'는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등으로 활용하기 위해 지난 1999년부터 매년 시행되고 있다.
올해는 전체 사업체(329만여개) 중 1만3천277곳에 대해 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조사대상 사업체 중 단독으로 홈페이지를 가진 곳의 47%는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었다. 이는 작년 41.2%보다 5.5% 포인트 늘어난 것이다.
전체 사업체가 보유한 컴퓨터의 수는 작년보다 10.8% 늘어난 1억5천82만대로 추정됐다. 50인 이상 사업체 대부분(99.9%)은 컴퓨터를 보유하고 있었다.
전자상거래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사업체는 전체의 20.8%에 달했으며 10인 이상 사업장의 전자정부 서비스 이용률은 전년보다 2.4% 포인트 늘어난 84.5%였다.
정보화에 투자한 사업체는 58.1%로 작년보다 2.8% 포인트 늘었으며, 컴퓨터 보유 사업체 중 바이러스 백신이나 스파이웨어 등을 도입한 곳의 비율 역시 작년보다 2% 포인트 증가해 정보화와 정보보호 노력은 더 많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컴퓨터 보유 업체 중 바이러스 피해를 경험한 비율은 전년과 유사한 수준인 14.7%였으며, 네트워크 구축 사업체 중 서비스 거부 공격(DoS) 피해를 경험한 사업체 역시 전체의 1.3%로 집계돼 작년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김병규 기자
- bkkim@yna.co.kr
- 저작권자 2011-10-27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