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후속 사업으로 추진하는 차세대 발사체 개발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예타) 조사를 하고 있다고 9일 밝혔다.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은 지난 4월 예타 대상으로 선정됐으며 이달부터 본격적인 조사에 돌입했다. 이 사업에는 2023년부터 2031년까지 9년동안 1조9천330억원을 투입하는 계획이 담겼다.
과기정통부는 2030년에 차세대 발사체를 활용한 달 착륙 검증선을 발사해 성능을 확인한 뒤, 2031년에 달착륙선을 발사할 계획이다.
차세대 발사체 개발이 완료되면 지구궤도 위성뿐만 아니라 달, 화성 등에 대한 독자적인 우주탐사 능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과기정통부는 기대했다.
설계부터 최종발사에 이르는 전 과정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추후 선정될 체계종합기업이 공동 수행한다. 체계종합기업은 사업 이후 독자적 발사체 개발 역량을 자연스럽게 확보할 수 있다.
또 우주기술개발 분야 부품기업 육성을 위해 해외도입이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최대한 국내 생산 부품을 활용하여 공급망을 구축한다.
과기부는 재사용 기술 등 차세대 발사체의 고도화에 활용될 핵심기술 분야 연구도 지원한다.
과기정통부 권현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차세대 발사체 개발을 통해 우리나라가 본격적인 우주탐사 능력을 확보하게 된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설계단계부터 민간이 참여하는 첫 발사체 개발 사업으로 민간의 발사체 개발 역량을 제고하는데 본 사업이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2-05-09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