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이 빛을 잃어버린다면 우리는 어떻게 될까? 쓸데없는 걱정 같지만 우주에 대변화가 일어나거나 천재지변으로 인류가 멸망을 하리라는 예측은 예전부터 많았다. 우리가 잘 아는 노스트라다무스의 예언도 있다. 인류의 미래를 걱정하는 이야기는 많지만, 보통 사람은 잘 알지도 못하는 아주 작은 동물의 미래를 예측한 연구 결과는 거의 없다. 2017년 7월 14일자 사이언스 데일리는 최근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과학자들이 우주에 대이변이 생겨 지구 생물이 멸종위기를 맞아도 최소한 100억년은 더 버틸 수 있는 동물에 대한 연구 결과를 보도하였다.
2017.08.01 김웅서 한국해양학회장/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흔히 치아를 오복(五福)중 하나로 꼽는다. 그러나 실제로 다섯 가지 복 가운데 치아는 들어있지 않고, 건강하게 사는 강녕(康寧)이 들어있다. 건강하기 위해서는 잘 먹어야하고, 잘 먹으려면 치아가 튼튼해야 돼서 이런 말이 나오지 않았을까 한다. 그만큼 치아는 우리에게 중요하다. 이 닦기를 싫어하는 어린이들에게 충치가 잘 생긴다. 다행히 젖니가 빠지면 간니가 나오므로, 우리는 건강한 치아를 가질 수 있는 한 번의 기회를 더 가진다.
2017.05.30 김웅서 한국해양학회장/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국내 연구진이 사자의 공격에 맞서 초식동물이 군집행동을 하는 것과 같은 집단지능의 비밀을 뇌과학적으로 밝혀내기 위한 새로운 군집 뇌연구 시스템을 개발했다.
부산환경공단은 음식물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화 가스를 활용해 올해부터 전기를 생산한다고 14일 밝혔다.
친환경차 분류 기준이 현실에 맞게 정비된다. 현재 생산되지 않는 저속전기자동차 대신 초소형전기자동차 항목이 신설되고, 1회 충전 주행거리와 최고속도 기준은 최신 기술 수준에 부합하도록 상향된다.
2027년 레벨4 수준의 완전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총 1조원 규모의 범부처 자율주행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국가핵심기술에 반도체 분야 기술 2개가 새로 지정된다. 기술 보유기관이 지켜야 하는 핵심기술 보호지침도 구체적으로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공공혁신플랫폼 구축 사업에 54억원을 투입한다고 14일 밝혔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측정 정확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