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 과학정책
  • 과학기술
과학기술
권예슬 리포터
2024-01-17

사이언스誌, 올해부터 AI로 논문 조작 잡는다 이미 출판된 논문도 다시 살핀다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는 올해부터 논문 출판 전에 이미지 조작을 검사하는 인공지능을 도입한다. ⓒGettyImages

지난해 7월 미국 명문대인 스탠퍼드대 총장이 재임 7년 만에 사퇴하는 사건이 있었다. 마크 테시어 라빈(Marc Tessier Lavigne) 전 총장이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까지 주저자 및 공동 저자로 참여한 논문 속 이미지가 일부 조작됐다는 의문이 제기되면서부터다. 조사 결과 테시어 라빈 전 총장이 참여했던 논문 12편 중 최소 4편에서 연구 데이터 조작 및 결함이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 결과로 인해 1999년 ‘셀(Cell)’에 게재된 논문 1편과 ‘사이언스(Science)’에 실린 논문 2편이 철회됐다. 테시어 라빈 전 총장이 직접 조작에 관여한 증거는 없지만, 그는 “내 연구에서 발생한 문제를 책임질 의무가 있다”며 사퇴 의사를 밝혔다.

지난 5일 최고 권위의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이미지 조작 등 논문 부정행위와의 본격적인 전쟁을 시작한다고 선포했다. 그간 ‘인간의 눈’으로 살펴봤던 검증 과정에 인공지능(AI) 기반 이미지 분석 도구인 ‘프루피그(Proofig)’를 더한다는 것이다. 게재 후 수정이나 철회가 아닌 게재 전부터 철저하게 부정행위를 걸러내겠다는 의지다.

 

논문 부정행위 잡아내는 탐정

최근 들어 과학계에는 논문 조작 관련 문제가 잦아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2004~2005년 발생한 ‘황우석 사태’가 유명하다. 당시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 연구팀은 인간 체세포를 이용한 배아줄기세포 배양에 성공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는데, 이것이 이미지 조작에 의한 허위임이 드러났다.

논문 부정 이슈가 늘어나자 과학계의 ‘내부 고발’ 커뮤니티도 활발해졌다. PUBPEER가 대표적인 예로, 국내에서는 한 서울대 교수의 논문의 이미지 부정 정황이 PUBPEER에서 밝혀진 사례도 있다. ⓒPUBPEER 사이트

중국에서는 역대급 사건도 벌어졌다. 2020년 중국 공동연구진은 무려 121개의 서로 다른 논문에 같은 세포 이미지를 활용해 논문을 작성했다. 세포 군집의 이동 경로를 포착한 하나의 이미지를 다른 것처럼 보이게 하려고 사진을 회전시키거나 일부만 잘라 활용하는 ‘꼼수’를 썼다. 국제학술지 6곳에 이들 연구진의 논문이 동료 연구자 평가(피어 리뷰)를 통과한 뒤 게재됐다.

논문 조작은 한 과학자 개인의 문제로 끝나지 않는다. 과학 연구 전반에 대한 신뢰를 낮춘다. 이에 따라 논문의 결함을 찾아내는 웹사이트 내 과학자들의 활동도 자연스레 활발해졌다. 가령, ‘펍피어(PubPeer)’는 전 세계 연구자들이 출판된 논문 속 데이터를 서로 검증하는 해외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다. 펍피어 이용자들이 진위 여부에 의문을 제기한 논문 중 일부는 실제로 학술지의 게재 철회로 이어지기도 했다. 즉, 과학계의 신뢰 향상을 위해 내부 고발이 이뤄지는 공간이다.

 

‘육안’에 AI 탐정 보탠다

국제학술지도 논문 표절을 사전 감시하기 위한 절차들이 있다. ‘사이언스’의 경우 7년 전부터 ‘아이텐티케이트(iThenticate)’라는 AI 기반 논문 표절 검사 프로그램을 사용해왔다. 반면 이미지의 경우 맨눈으로 조작을 점검해왔다. 그만큼 시간이 오래 걸리고 놓치는 부분도 있었다.

‘사이언스’가 도입한 AI 프루피그(Proofig)는 이미지 회전, 복제, 중복 등 조작 여부를 감지한다. ⓒProofig 사이트

올해부터 도입된 ‘프루피그’는 중복 및 조작된 이미지를 검사한다. 논문 속 이미지 복제, 눈금 조작, 회전, 짜깁기 등 조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사이언스는 논문 작성자에 의한 수정 단계 이후 프루피그를 적용할 계획이다. 논문 에디터는 프루피그가 작성한 보고서에서 문제가 발생될 경우 저자에게 확인 절차를 거친다. 프루피그는 사이언스 본지는 물론 자매지까지 모두 적용된다. 검토 중인 모든 논문은 물론, 이미 출판된 논문이라도 의혹이 있으면 프루피그를 통해 다시 확인한다는 방침이다.

홀든 소프 사이언스 편집장은 “‘인간의 눈’을 통한 이미지 확인을 지금까지 수행해왔기 때문에 프루피그 도입은 당연한 후속 절차”라며 “프루피그는 과학의 검토 프로세스를 향상 시키고, 많은 변경 사항을 포착할 수 있기 때문에 인간의 오류 가능성을 보완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사이언스는 지난 몇 달간 프루피그를 시범 운영해왔다. 프루피그의 보고서에 대한 저자들의 만족스러운 답변이 제시되고, 문제를 해결하여 논문이 게재까지 이어진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출판되어서는 안 될 논문들은 감지하기도 했다.

소프 편집장은 “저자의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거나, 추가적인 우려 사항이 제기되면 논문 게재 거부를 포함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이미지 무결성에 대한 우려가 이미 출판된 ‘사이언스’ 지의 논문에 제기되면 프루피그를 사용하여 다시 의심스러운 이미지를 신중하게 검토해 수정 또는 회수 조치를 취하려 한다”고 말했다.

이미지 부정 검출 AI 도구인 ‘이미지트윈’이 인간 연구자보다 빠르게, 더 많은 부정 의심 사례를 발견한다는 연구도 있다. ⓒImagetwin사이트

한편, 과학 논문의 이미지나 데이터 부정을 검출하는 AI 도구가 인간의 육안에 의한 검사보다 높은 정밀도를 가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지난해 10월, 논문 사전 공개 플랫폼인 ‘바이오아카이브(BioRxiv)’에 실린 연구다. 이 연구에서 연구진은 2014~2023년 국제학술지 ‘톡시콜로지 리포트(Toxicology Reports)’에 게재된 715건의 논문을 조사했다. 오스트리아 기업이 개발한 이미지 부정 검출 AI 도구인 ‘이미지트윈(Imagetwin)’은 인간 연구자보다 2~3배 빠른 속도로 조사를 실시할 뿐만 아니라 인간이 놓친 부정 의심 논문 41건을 추가로 발견했다.

소프 편집장은 “2024년 과학계는 많은 도전이 기다리고 있다”며 “연구 오류에 대한 더 나은 모니터링, 주의 깊은 논문 선별 및 정보 공유를 통해 과학에 대한 믿음과 품위가 강화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권예슬 리포터
yskwon0417@gmail.com
저작권자 2024-01-17 ⓒ ScienceTimes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