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파를 이용해 간편하게 유방암을 진단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개발비 30억원을 지원받아 전자파를 이용한 유방암 영상진단시스템이 개발돼 실용화 단계에 진입했다고 방통위가 30일 밝혔다.
유방암 영상진단시스템은 주파수 500㎒에서 3㎓까지의 전자파를 수 초 동안 검사부위에 조사(照射)해 횡단면의 영상정보를 얻을 수 있는 시스템으로 기존의 X선 촬영, CT 촬영, MRI 등에서 사용하는 방사선이나 자기장에 대한 노출위험이 없다.
특히 국내의 엄격한 전자파 인체보호기준에서 허용하는 전력보다 30배 낮은 전력의 전자파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시스템으로는 최소 5㎜ 크기의 유방암 진단도 가능해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이라고 방통위는 강조했다.
미국의 경우 전자파를 이용한 영상기술은 2000년부터 학계에서 기초연구를 시작, 현재 2㎝ 수준의 유방암을 진단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를 구축한 정도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국내에서는 2007년부터 개발을 시작해 시스템 개발에 성공했다"며 "전기적 물질특성(유전율, 전도율)의 영상정보를 얻을 수 있어 기존의 방식보다 정확한 판독이 가능해 오진율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국내에서 많이 이용하는 X선 촬영은 유방을 장비에 압착하기 때문에 진단받는 사람들이 불편해했으나 이 시스템은 검사대에 수 초간 엎드린 상태에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진단할 수 있다.
국내 유방암 권위자인 서울대학교 문우경 교수는 이 시스템 기술을 높이 평가하면서 임상에서 80% 정도의 정확도를 갖고 있는 X선 촬영과 병행해 사용할 경우 정확도를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이 기술은 국내 2개 업체가 이전받아 임상시험을 거쳐 상용화할 예정이다.
방통위는 이번 유방암 영상진단시스템의 개발로 7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는 국내 전자의료기기 산업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 (서울=연합뉴스 제공) 정주호 기자
- jooho@yna.co.kr
- 저작권자 2009-07-30 ⓒ ScienceTimes
관련기사